미주 한인교회 시니어 한국보다 삶 만족도 높아

  • 등록 2025.08.20 11:56:34
크게보기

초고령사회로 접어든 한국과 미주 한인교회의 시니어 세대를 비교한 조사에서, 미주 한인교회 시니어들이 일상생활과 신앙생활 전반에서 한국 교회 시니어보다 더 높은 만족도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목회데이터연구소가 California Prestige University와 함께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2월까지 만 60세 이상 미주 한인교회 성도 71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다.


조사에 따르면 미주 한인교회 시니어들은 일상에서 가장 큰 관심사로 ‘본인 및 가족의 건강’(62%)과 ‘종교 신앙생활’(55%)을 꼽았다. 이는 한국 교회 시니어와 비슷한 순위지만, 건강에 대한 관심은 한국 쪽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또 영어로 소통하는 데 불편을 느낀다는 응답이 59%에 달해, 언어 장벽이 여전히 삶의 제약 요인임이 드러났다.


삶의 만족도를 묻는 질문에서 미주 시니어들은 배우자 관계(60%), 자녀 관계(69%) 등 전반적인 영역에서 한국 시니어보다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신앙 성장에 도움을 받은 요인으로는 두 집단 모두 ‘담임목사 설교와 예배’를 꼽았지만, 미국 시니어는 56%로 한국의 71%보다 낮아 목회자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신 소그룹, 봉사, 신앙서적 등을 통한 성숙이 더 다양하게 분포했다.


그러나 부정적 경험도 확인됐다. 미주 한인 시니어의 30%가 ‘젊은 사람들이 모인 곳에 가면 눈치가 보인다’고 답했으며, 19%는 ‘나이가 들었다고 무시당한다는 느낌을 받는다’고 응답했다. 한국 시니어 역시 유사한 비율을 보였다. 이는 세대 간 벽을 허물고 자연스럽게 어울릴 수 있는 교회 문화 조성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눈에 띄는 점은 사역과 선교에 대한 적극적 의지다. “건강이 허락되는 한 교회 사역을 감당하겠다”는 항목에 미주 시니어의 64%가 동의해 한국 시니어(53%)보다 10%p 이상 높았다. 또 해외 선교 참여 의향도 한국보다 두 배 이상 높아, 은퇴 후에도 여전히 공동체에 기여하려는 태도가 강하게 나타났다.


교회 프로그램 참여율은 남녀 선교회 모임(63%), 소그룹(55%), 성경공부(54%)가 가장 높았으나, 전문 노인대학 프로그램 참여율은 35%에 그쳤다. 만족도 역시 보통 수준(3.5~3.7점)에 머물렀고, 절반 이상(52%)은 “프로그램이 다양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시니어들이 원하는 프로그램으로는 ‘노년 생활에 도움이 되는 배움’(46%), ‘영성 훈련’(45%), ‘건강 관리’(42%) 등이 꼽혔다.

범영수 부장

관리자 기자 bpress7@hanmail.net
- Copyrights ⓒ침례신문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7238 서울 영등포구 국회대로 76길 10, 11층 침례신문사 (02) 2681-9703~5 Fax (02) 2681-9706 bbbbb9191@naver.com l bpress7@hanmail.net 등록번호 : 서울, 다06725 | 등록일 : 1977년4월14일 | 발행인 : 침례신문사 강형주 | 편집인 : 강형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