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복음으로, 다시 세상 속으로”

  • 등록 2025.07.14 20:07:25
크게보기

한교총, 한국기독교 140주년 심포지엄 개최

 

한국교회총연합(한교총)은 지난 7월 14일 한국프레스센터 프레스클럽에서 ‘교회와 사회, 미래를 향한 성찰과 도전’을 주제로 한국기독교 140주년 기념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날 심포지엄은 김종혁 목사(한교총 대표회장, 예장합동 총회장)의 기조강연으로 시작됐다. 김 목사는 “한국 교회가 성장의 정체, 영성의 침체, 사회적 신뢰 상실이라는 위기 앞에 있다”며, “복음의 본질과 십자가의 능력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교회의 본질 회복, 다음 세대와의 연결, 공적 책임 회복 등을 통해 미래로 나아가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날 본격적인 심포지엄에서는 이덕주 교수(감신대 명예교수, 교회사), 임희국 교수(장신대 명예교수, 교회사), 김판호 교수(영산신학연구원 총장, 조직신학)가 각각 발제를 맡았다.

 

이덕주 교수는 ‘한국기독교 선교 140년: 회고와 전망’을 주제로 발표하며 “한국 개신교의 역사는 서양 종교가 아니라 우리 민족의 역사와 함께하는 종교로 자리 잡았다”고 평가했다. 그는 “140주년을 맞은 지금, 외형적 성장보다 내적 지도력 회복과 민족적·복음적·토착적 신앙 전통의 재건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자유와 민주, 평화를 한국기독교 역사 속 소중한 가치로 꼽으며 “이러한 정신적·신앙적 가치를 축소·소멸시키려는 도발적 위험을 극복하기 위해 봉건 잔재, 식민 잔재, 분단 잔재를 청산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임희국 교수는 ‘한국기독교 140년의 역할’이라는 발제를 통해, 한국 교회가 공공신학적 사회책임을 실천해온 발자취를 조명했다. 특히 그는 “장로교의 대의민주주의 체제가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에까지 영향을 미쳤다”며, 교회 헌법과 민주주의 원리를 통해 사회 발전에 기여한 점을 강조했다.

 

 

김판호 교수는 ‘한국기독교 140년의 도전, 성장과 정체 진단’을 통해 한국 교회의 폭발적 성장과 이후의 정체 원인을 분석했다. 그는 세속화와 탈종교화, 다음 세대와의 단절 등을 주요 위기로 진단하며, “삼위일체적 공동체 개념에 기반한 세대 간 통합 신학, 리더십 재구성, 전인적 신앙 교육 모델 도입이 시급하다”고 제안했다.

 

 

논찬자로 나선 허은철 교수(총신대, 역사교육학)는 선교 기점 논쟁을 언급하며 “1885년 이전의 선교 활동에 대한 성찰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지형은 목사(성락성결)는 “핵 개인화 시대에 젊은 세대에게 실질적인 권한을 이양하는 교회 구조의 혁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고, 곽호철 교수(연세대 의료원 원목실장)는 “민족 중심 구조를 넘어 글로벌 공동체로의 확장과 디지털 플랫폼 활용 전략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한편 심포지엄 개회식에서는 예장통합 총회장 김영걸 목사가 축사를 전했다. 그는 “한국기독교 선교 140년을 맞은 지금, 우리는 복음의 본질과 복음에 헌신한 이들을 기억해야 한다”며 “그들의 삶과 사역을 기념하고, 한국교회와 국가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이정표를 세우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범영수 부장

관리자 기자 bpress7@hanmail.net
- Copyrights ⓒ침례신문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7238 서울 영등포구 국회대로 76길 10, 11층 침례신문사 (02) 2681-9703~5 Fax (02) 2681-9706 bbbbb9191@naver.com l bpress7@hanmail.net 등록번호 : 서울, 다06725 | 등록일 : 1977년4월14일 | 발행인 : 침례신문사 강형주 | 편집인 : 강형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