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국침례교 실천신학의 특성 이해와 발전 방향 - 5

이명희 교수
전 침신대 신학과
(실천신학)

이 기간에 침례교회는 점차 자립심을 배양시켜 갔고,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침례교 정체성을 갖추게 됐다. 윈스톤 크로우리(J. Winston Crawley)는 1950대와 60년대를 거치면서 한국침례교회는 진정한 침례교회로 정돈될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그리고 타교단에서 넘어온 목회자들과 성도들에게 침례교적인 신앙정신과 교리적인 교육을 통해서 성경 중심적이고 복음전도적인 침례교 신앙을 심어주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3) 한국침례교회 발전기(1968년 이후)에 대한 실천신학적 평가
1968년 재결합한 한국침례교회는 “한국침례회연맹”(이후 1976년 한국침례교총회로 명칭을 변경하였다)이라는 이름으로 뭉쳤다. 1970년 교회기금대여위원회가 발족해 교회개척과 확장에 필요한 재정적 필요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됐고, 후일 국내선교회로 발전했다. 그리고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침례교 신앙으로 무장된 많은 사역자가 배출되면서 교회개척 사역이 더욱 열기를 띄었고, 그것은 교단 발전에 큰 밑거름이 됐다.


1970년대와 80년대로 이어진 한미연합전도대회는 교회들의 양적 성장과 질적 성장을 가져다줬다. 1970년 한국침례교회는 미국 루이지애나 주 총회와의 연합 사업으로 한미전도대회를 시작했다. 한미전도대회는 단순히 전도활동만 같이 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국면에서 교회와 성도들에게 영향을 끼쳤다.


미국 형제들은 다양한 통로로 기도하고, 협력하고, 헌금하고, 전도적 열정을 품도록 영향을 줬다. 미국에서 온 형제자매들의 소박한 구원간증과 진솔한 전도 활동 그리고 헌신적인 봉사와 단순 명료한 복음 메시지 등은 한국침례교회에 신선한 거울이 됐다. 진정 한미전도대회는 한국침례교회들 속에 영적 각성과 부흥을 가져다줬다. 이후 국내선교회는 미국 앨라배마 주 총회와 플로리다 주 총회 등과의 계속적인 연합 활동으로 한미전도대회는 계속됐고 괄목할만한 결실을 거두어 오고 있다. 필자가 신학교 교수사역하기 전에 개척하여 목회하던 횃불교회에서도 1984년 한미전도대회를 통해 많은 새신자를 얻었고 교회가 기틀을 잡는데 큰 도움을 얻을 수 있었다.


1980년대는 또 교단적으로 전도훈련과 제자훈련이 왕성하게 전개됐다. 연쇄전도훈련(CWT) 교재를 출간하면서 전도훈련과 동시에 전도하는 프로그램이 활성화됐다. 최선의 삶(Master Life)은 제자훈련 교재로서 괄목할 만한 것이다. 총 26주간 매주 한 번씩 모임으로서 제자훈련의 기본을 다지는 교재이다. 진흥원에서 펴낸 새신자훈련총서는 신앙의 기본을 형성하는 데 그만인 아주 탁월한 교재이다.


1980년대는 아울러 한국침례교회에 선교의 싹이 움튼 시기였다. 동아기독교의 선교적 정신이 오랜 기간 잠들어 있다가 드디어 1979년 해외선교회, 1982년 동남아선교회, 1983년 중국선교회, 1986년 피지선교회 등으로 표출됐고, 1987년 모든 선교회를 통합해 한국침례교 해외선교회를 결성했다. 해외선교회는 66개국에 680여 명의 선교사를 파송하고 있다. 세계선교를 향한 한국침례교회의 사명은 중대하다.


한국침례교회의 실천신학적 발전을 위한 자료는 주로 교회진흥원과 침례신학대학교를 통해 출간됐다. 교회진흥원은 1954년 부산에서 신훈회와 형제회 그리고 여전도회 훈련을 위한 교재 출간을 그 시작으로 보고 있다. 1959년 침례회출판부가 발족해 주일학교 교재와 교단적인 성격의 책들이 출간됐다. 그리고 1973년 미국 남침례교의 주일학교(Sunday School Board)를 모델로 하여 교회진흥원으로 발전하게 됐다.


1960년대 교회진흥원은 교회행정 잡지를 격월간으로 발간해 전도, 청지기, 교회조직, 지도력, 교회의식, 목회자와 집사의 직무, 교회의 기능 등 다양한 영역의 자료들을 소개했다. 그리고 ‘선한 청지지’, ‘기본 전도학’, ‘모범교회학교’, ‘표준주일학교’, ‘선한 청지기’, ‘침례교인의 이상’, ‘구원의 교리’, ‘교회입문’, ‘교회보전’, ‘선생 예수’, ‘침례교 발전사’ 등등 침례교 신앙 증진과 교회생활에 필요한 매우 중요한 책들을 출간했다. 침례교 교회진흥원은 교육목회 지원 사역, 성경교육 프로그램 사역, 교회음악 프로그램 사역, 제자훈련 프로그램 사역, 도서출판과 보급 사역, 수양관 사역 등을 역동적으로 펼치고 있다.


침례신학대학교출판부는 침례신학대학교 교수들을 통해 실천신학분야의 많은 저술을 출간했다. 그리고 1978년부터 시작해 논문집 복음과 실천을 총 60차례 출간했는데, 총 897개의 논문이 게재됐고, 그중 383개의 논문이 실천신학적이라고 할 수 있다. 실천신학 전공교수들이 쓴 논문이 328개임에 비추어 볼 때 결과적으로 실천적인 논문의 비중이 높다고 하겠다. 이것은 침례교 신학이 실천적인 점과 침례신학대학교 교수들의 신학적 성향이 그래도 실천적임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한국침례교는 주님의 나라 확장과 세계복음화를 위해서 더욱 준비되고 헌신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사명적인 교회가 돼야 하고 필요한 교육과 훈련을 실천해야 한다. 총회적으로도 적절한 기구를 편성하고, 지방회적으로도 유효한 조직과 사업을 펼쳐야 한다. 무엇보다도 총회모임의 성격에 대한 진지한 성찰이 필요하다고 본다. 대부분의 관심이 총회장을 비롯한 일꾼 선임에 치우쳐 있는 현상으로부터 탈피해야 한다. 총회모임 자체가 교회들의 연합 활동을 통한 사명 성취에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



총회

더보기
“예수 다시 사셨습니다”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 하나님을 찬송하리로다 그의 많으신 긍휼대로 예수 그리스도를 죽은 자 가운데서 부활하게 하심으로 말미암아 우리를 거듭나게 하사 산 소망이 있게 하시며” (벧전 1:3) 2024년 부활절을 맞이하여 3500침례교회와 목회 동역자. 성도들 위에 그리스도의 부활의 생명과 기쁨과 회복의 은총이 충만하시기를 축원합니다. 예수님의 부활은 우리가 죄인으로 영원한 심판을 받을 수밖에 없는 존재에서 예수님의 죽으심과 다시 살아나심으로 영원한 생명으로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역사적인 순간입니다. 이 부활의 기쁨과 감격이 없다면 우리는 아무것도 아닌 존재입니다. 이 땅의 창조주이신 하나님께서 우리의 삶에 직접 주관하시고 인도하시며 이제는 구원의 완성으로 진정한 하나님 나라의 백성을 몸소 가르치시고 보여주시기 위해 그의 아들을 보내주신 사실을 믿고 기억해야 합니다. 그 분은 이 땅에서 하나님 나라를 선포하셨고 가르치셨으며 가난한 자, 병든 자, 소외된 자, 고난 받는 자를 치유하시고 회복시키셨습니다. 그 회복을 통해 우리는 이 땅에 믿음의 공동체를 세웠습니다. 그 공동체의 핵심은 예수님의 십자가 고난과 부활의 놀라운 소식입니다. 이 소식이 복음의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