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하나님이 주신 지구를 어쩌나

행복한교회 행복바이러스-90


땅이 혼돈하고 공허하며 흑암이 깊음 위에 있을 때 하나님께서 빛이 있어라 하시니 빛이 생겼고 하나님은 보시기에 좋았다고 하셨다. 하늘과 땅과 그 가운데 있는 모든 만물이 창조될 때 마다 보시기에 좋았더라를 연발하셨는데 지금도 하나님께서 지구를 보시면서보시기에 좋았더라라고 하실까? 하는 물음표가 붙는 것을 왜일까?

 

현재 우리가 사는 지구는 화석연료사용으로 인한 공기 오염과 지구 온난화로 빙하가 녹아내리고 지구의 기온은 상승하고 육식을 위해 나무숲을 베고 초지를 조성하면서 사막 화가 가속화되고 인간이 버린 쓰레기로 지구는 몸살을 앓고 있다. 필자는 설 연휴를 지나고 난 뒤에 엄청난 양의 쓰레기가 쏟아져 나왔다는 기사를 보고 울산제일일보에 쓰레기 줄이기 위한 범시민 운동이라도 벌이자는 글을 썼었다. 쓰레기 줄이기 운동에 우리 그리스도인들이 앞장 서야 한다고 생각한다.

 

코로나19로 인해 집에 외식이나 매장방문은 줄고 인터넷 주문과 배달 주문이 증가하면서 택배와 배달 식품 포장용 스티로폼 박스나 포장용 비닐 쓰레기가 급증했다고 한다. 재활용 쓰레기로 분리해서 배출하지만 재활용 쓰레기 수출이 막히면서 전국에 120만 톤이상의 쓰레기가 산더미처럼 쌓여 있다는 보도도 있었다.

 

필자는 자녀들이 다 결혼해서 분가하고 두식구만 생활하고 이런 저런 모임들로 인해 밖에서 식사하는 경우도 종종 있고 인터넷 주문도 음식 배달도 별로 하지 않는데도 한보름만 지나면 마트에서 구입해 온 식품 포장용 스티로폼 상자 플라스틱, 우유병, 과일 상자에 들어 있는 스티로폼 뽁뽁이, 비닐포장지, 세제용기, 요구르트 병 등 재활용 쓰레기가 수북이 쌓인다.

 

대형마트에 가보면 수천종의 상품들과 식품들이 모두 플라스틱이나 비닐용기에 포장이 되어 있으니 상품을 구매할 때 쓰레기가 될 포장도 함께 구매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소비가 늘면 따라서 쓰레기도 늘어난다. 환경부는 오는 20226월부터 전국 커피 전문점과 패스트푸드점에서 일회용 컵 보증 금제를 실시하고 플라스틱 빨대 사용을 금지하기로 했다고 한다.

 

필자의 생각에는 상품을 생산 유통하는 회사에 쓰레기유발 부담금을 물려서라도 포장을 줄이도록 유도하고 가능하면 비닐 스티로폼 플라스틱 포장은 지양하고 종이재질의 상자로 포장하도록 정부가 제도를 만들어야 한다. 쓰레기가 분해되는 기간을 보면 쓰레기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종이 2~5, 우유팩 5, 담배필터 10~12, 플라 스틱 백 10~12, 일회용 컵 20, 가죽구두 25~40, 나일론 천 30~40, 플라스틱용기 50~80, 금속 캔 100, 일회용 귀저기 100년 이상, 플라스틱 병 100년 이상, 칫솔 100년 이상, 알루미늄캔 500년 이상, 스티로폼 500 년 이상, 유리병 1000만년 이상 걸려야 분해가 된다고 하니 우리가 편리성 때문에 쉽게 사용하고 버리는 쓰레기를 그냥 버리면 육지와 강과 바다에서 오랜 세월 동안 사람과 모든 생물에게 해를 끼치게 된다.

 

알바트로스라는 새는 두 날개를 다 펼치면 최대 3m가 되는 최고 긴 날개를 가진 새로 태평양 연안에 위치한 이즈제도의 鳥島(조도)와 센카쿠열도의 동중국해에서 서식하는 아름다운 새인데 인간이 바다에 버린 플라스틱 쓰레기를 물고기인 줄 알고 먹고 새끼에게도 물어다 주어서 소화를 시키지 못하고 죽었다고 한다.

 

알바트로스가 죽은 자리에는 플라스틱 쓰레기들이 수북이 남아 있는 사진을 촬영한 미국 사진작가 크리스 조던의 작품이 울산박물관에 전시했을 때 보고 쓰레기 문제가 얼마나 심각한지 충격을 받았다.

 

지난 424일 방송을 보니 목포의 시장에서 아귀 한 마리를 사와서 요리를 하려고 배를 가르니 500ml 생수병이 섞은 물이 들어 있는 상태로 나왔다고 했다. 바다 속에 떠다 니는 해양 쓰레기 중에 생수병을 물고기인줄 알고 아귀가 통으로 삼켰는데 그 아귀가 어부에게 잡혀서 시장에까지 나오게 된 것이었다. 작은 플라스틱 조각들은 강과 바다에 많이 떠다니는데 물고기들이 잡아먹게 되고 그것을 사람들이 먹게 되니 쓰레기 문제는 우리 모두가 심각하게 생각해야 할 문제다.

 

우리와 우리 후손들에게 하나님이 창조해 주신 아름다운 지구를 물려주기 위해 우리 그리스도인들이 쓰레기 줄이기에 앞장 서야 한다. 관공서나 기업체 단체와 교회에서 보내는 우편물은 비닐봉투가 아닌 종이봉투를 사용하고 주소가 보이도록 비닐 필름이 붙은 봉투도 사용하지 말기를 바란다.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들도 포장을 최소화하며 친환경 포장제를 개발하고 구매자도 포장이 친환경적 인지를 보고 상품을 구매하며 쓰레기를 최소 화하려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젊은이들이 펼치는 용기 내 챌린지운동은 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용기를 가지고 식당에 가서 용기 내 용기를 건네고 가져간 용기에 구매한 음식을 담아오는 운동이다. 지구는 하나님이 인간에게 주신 최고의 선물이며 이곳에서 생육하고 번성하며 정복하고 다스리라고 하셨으니 이 지구를 지킬 책임이 우리 인간에게 주어진 것이다.

하나님이 그들에게 복을 주시며 하나님이 그들에게 이르시되 생육하고 번성하여 땅에 충만하라, 땅을 정복하라, 바다의 물고기와 하늘의 새와 땅에 움직이는 모든 생물을 다스리라 하시니라”(1:28)

 

유병곤 목사

새울산교회



총회

더보기
“생명의 복음을 전하는 침례교회로 세워지길”
기독교한국침례회 115차 정기총회가 9월 22일 전주새소망교회(박종철 목사)에서 “일어나 함께 가자”란 주제로 1581명의 대의원이 등록한 가운데 개회했다. 오후 3시부터 시작된 개회예배는 총회 전도부장 이황규 목사(주우리)의 사회로 호남제주침례교연합회 회장 장길현 목사(성광)가 대표로 기도하고 총회 교육부장 김성렬 목사(만남의)의 성경봉독, 새소망교회 청년들의 특송(소프라노 이주영, 플롯 이용희, 피아노 안인경)이 있은 뒤, 우리교단 74대 총회장을 역임한 박종철 목사(새소망)가 “생명의 말씀을 전하라”(빌 2:14~18)란 제목으로 설교했다. 박종철 목사는 설교를 통해, “우리의 복음 사역을 통해 많은 생명들이 살아나는 역사가 일어나기를 소망하며 거룩한 성령의 역사가 일어나야 할 때”라며 “침례교회의 목회자와 성도들이 헌신하고 희생하며 오직 생명을 다해 복음을 전하는 사역에 매진하며 하나님 앞에 죽도록 충성하는 교회가 되기를 소망한다”고 전했다. 이어 우리교단 77대 총회장을 역임한 고명진 목사의 축도로 개회예배를 마쳤다. 2부 환영 및 축하는 총회 총무 김일엽 목사의 사회로 이욥 총회장(대전은포)이 환영사를, 미남침례회 한인교회 이태경 총회장과 문화체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