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 은섭이는 미숙아로 태어났고 모든 것이 더디고 힘들었지만, 하나님께서 너무 이뻐하고 사랑하는 아들인 것을 항상 느낄 수 있었습니다. 태어날 때는 엄마의 임신중독증은 산모가 위험한 병이라는 의사의 이야기를 엄마 뱃 속에서 들었는지 다음날 이 땅에 태어났고, 7살쯤 신촌세브란스병원에서 7시간 가량의 ‘양쪽 고관절 수술’을 할 때도 의젓하게 잘 견뎌줬고, 8살 분당서울대병원에서 사시수술을 할 때도 웃음을 잃지 않고 잘 버텨줬습니다. 초등학교에 다닐 때도 수업을 거의 빠지지 않고 참석했고, 학교에서 친구들과도 잘 어울리며 즐겁게 학교생활을 했습니다. 매일 수업이 끝나면 치료를 다니고 돌봄어린이집에 다니면서도 항상 밝게 웃는 ‘미소천사’였습니다. 그러던 중 엄마의 갑작스러운 뇌출혈은 어린 은섭이에게 충격이었지만, 매일 엄마가 깨어나기를 위해 기도했습니다. 그리고 거의 2년 동안 하루도 빠지지 않고 엄마를 보기 위해 병원에 갔습니다. 엄마와 함께 병원밥도 맛있게 먹었고, 엄마가 조금씩 나아지는 것을 보며 하나님의 살아계심을 경험했습니다. 12년이라는 엄마의 빈자리를 아빠 혼자서 채워 줬지만 아들은 한 번도 불평하지 않았고 오히려 엄마를 걱정하는 아주 착한 크리스천이
2014년 2월 16일, 저희 가족에게는 잊지 못할 아픈 기억이 존재합니다. 제법 알려진 대로, 동생이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고 저희 곁을 떠난 날입니다. 주일예배를 마치고 집에 돌아오면 보통 저녁 9시 정도 됩니다. 그러면 저희 아래층에 계시는 부모님께 인사를 드리고 2층으로 올라갑니다. 손 발을 씻고 편안한 옷으로 갈아입은 뒤에 텔레비전을 틀었습니다. 아이들은 자신들이 좋아하는 개그콘서트를 함께 보다가 잠이 들었고, 그제서야 이리저리 채널을 돌리다가 뉴스를 보게 됐는데, 갑자기 속보 한 줄이 화면 아래에 굵게 자리하였습니다. 한국인 성지순례객이 이집트 타바 국경에서 폭탄테러를 당했다는 내용이었는데, 뉴스를 보다 속보라고 뜨는 내용이야 수도 없이 봐왔기 때문에 아내와 함께 다친 사람이 적었으면 좋겠단 이야기를 나눈 뒤 잠자리에 들었습니다. 그런데 통곡소리가 들려 누가 이렇게 울부짖냐 하니 아내가 1층에서 들리는 소리 같다고 말하는 것이었습니다. 뛰어 내려가니 아버지께서 저를 보시자마자 “우리 막둥이가 죽었다”고 큰 울부짖음으로 말씀하십니다. 깜짝 놀라 TV를 바라봤습니다. 아무리 확인을 해봐도 한국인 사망자 명단에 동생의 이름이 보이지 않았습니다. 그게 당연
아내인 조은영은 1999년 대학원을 다닐 당시에 동기 전도사의 소개로 만나게 됐습니다. 모교회인 대흥교회 청년부를 출석하는 자매였습니다. 아내와 저는 비전과 꿈이 같았고 아내는 사회복지에 관한 일과 상담 관련 직장에 다니고 있었습니다. 저는 아르바이트로 과외를 하며 빠듯한 생활을 하면서 부푼 꿈을 꾸며 신학생으로 열심히 공부해 앞으로 유학을 가서 더 많은 것을 배우고 싶었습니다. 그런 저희는 2000년에 결혼해 가정을 이뤘고, 오랫동안 기도했던 아들을 주셔서 2001년 3월에 출산을 했습니다. 당시 아내가 사회복지 공무원으로 잦은 야근과 과다 업무로 인해 ‘임신중독증’이라는 산모에게 치명적인 병이 걸립니다. 산모와 태아가 모두 위험했는데 감사하게도 아들이 2개월 먼저 태어났고 둘 다 중환자실로 가게 됩니다. 아들 은섭이는 인큐베이터에서 1.73kg 미숙아로 태어나 한 달을 보냈습니다. 교회와 동기 전도사들의 간절한 기도로 퇴원했지만, 아들은 뇌가 심하게 손상돼 ‘백질연화증’으로 중증뇌병변장애아가 됐습니다. 충남대학교 재활의학과 교수는 아들이 이 땅에 살 동안은 평생 혼자 걷지도 못하고 아무것도 할 수 없다고 판정을 내렸습니다. 하늘이 무너지고 힘이 들었지만
이 분위기는 제가 선배들 신경 쓰지 않아도 될 3학년 졸업할 때까지 계속 이어졌는데, 졸업을 하고 떠난 사람이라도 흑석동 건일이 형의 존재는 정말 대단했습니다. 많은 시간이 흘러 3학년 수능시험을 몇 주 앞둔 어느 날 이었습니다. 위의 선배라는 사람을 한 명 데리고 건일이형이 학교로 저를 찾아왔습니다. “진혁아, 잘 지냈냐, 인사드려라 동석이(가명)형이다.” 덩치가 정말 어마어마했습니다. “우리 학교 선배님이시기도 하다.” “네.” “일단 어디로 가자.” 동석이형은 이미 술이 좀 취해 있었는데, 학교 앞 도로에서 제 교복을 벗어 달라더니 자기 바지까지 다 벗어서 저에게 던져줍니다. 수많은 사람들 앞에서 팬티 한 장 걸친 채 옷을 갈아입고, 형들이 안내하는 지하 술집으로 향했습니다. “야! 얌마!! 거기 교복 어디가!” 화장실 쪽에서 나오던 사장님이 우리를 불러 세웁니다. “사장님 저에요, 동석이” “동석이 왔는가? 이게 뭐여 깜짝 놀랐네.” 조그만 밀실 같은 곳으로 들어가니, 이미 술이고 뭐고 다 세팅이 되어 있고, 제 자리까지 마련되어 있습니다. “진혁이라고 했냐? 한 잔 받아라.” 옆에 있던 건일이 형이 양주잔을 하나 들어 저에게 주며 말을 잇습니다. “
“왕에게 아뢰되 왕이 만일 좋게 여기시고 종이 왕의 목전에서 은혜를 얻었사오면 나를 유다 땅 나의 조상들의 묘실이 있는 성읍에 보내어 그 성을 건축하게 하옵소서 하였는데” 미국 오하이오의 시골 마을에서 가난한 집안의 12남매 중 다섯 번째로 태어난 아이가 있었다. 여기에 간질과 학습장애 그리고 말까지 어눌해 3년인 고등학교 과정을 7년 만에 졸업했다. 이런 사람이 할 수 있는 사업이나 일이 세상에 몇 개나 있을까? 그러나 이 아이는 성인이 되어 자신의 이름을 딴 ‘롱거버거 바구니’를 만드는 회사를 창업해 매출 10억 달러(1조원)를 넘는 회사를 세웠다. 게다가 50년 넘는 역사를 바탕으로 마을에 바구니 모양의 여러 조형물과 공장을 만들어 가난하고 별 볼일 없는 시골마을, ‘드레스덴’을 유명 관광지로까지 만들었다. 롱거버거는 자신이 이런 성공 비결은 엄청난 포부나 재능이 있었던 것이 아니라 찾아온 기회를 놓치지 않았을 뿐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우리 주위에 기회는 얼마든지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기회가 찾아와 문을 두드릴 때 일어나 달려가 문을 열고 맞아들이는 것입니다.” 하나님이 주신 꿈을 이룰 수 있는 기회가 언제 올지 아무도 알 수 없다. 그렇기에 처한
[주일설교] 왕의 노래, 왕의 수업 사무엘하 5장 3절, 17~25절 최병락 담임목사
[주일설교] 끝까지 변질되지 않는 믿음 열왕기상 11장 1~11절 안희묵 담임목사
[주일설교] 불 가운데서 받은 것 같으리라 고린도전서 3장 10~15절 국명호 담임목사
[주일설교] 출애굽기 17장 8~16절 여호와 닛시 승리의 깃발 되시는 하나님 김준태 담임목사
[주일설교] 성숙한데로 나아가려면 히브리서 6장 1~12절 임성도 담임목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