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지구촌교회

지난 7월 교단을 대표하는 지구촌교회 최성은 담임목사의 갑작스러운 사임 소식에 교단 뿐만 아니라 한국교회에도 적잖은 당혹스러움을 안겨줬다. 임시 사무처리회를 통해 알려진 바에 따르면 교회가 진행하고 있는 다음세대를 위한 느헤미야 프로젝트의 집행에 대한 리더십 문제 등으로 자진 사임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가 과연 담임목회자 직의 사임까지 갈 수 있는 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와 유튜브 플랫폼에는 최 목사의 사임에 대한 다각적인 해석과 명확하게 확인되지 않는 내용들이 퍼져나가고 있다. 하지만 지구촌교회가 그동안 교단과 한국교회에서 선견자적 역할을 감당하고 있는 것들까지 정죄의 대상으로 삼을 수 없다. 무엇보다 전임 목사의 사임으로 교회가 설교를 비롯한 전임목사의 행적을 철저하게 비공개 처리한 것은 과연 무엇을 의미하는가 묻지 않을 수 없다. 


더욱이 이번 사임에 대해 최성은 목사의 입장을 직접 성도들 앞에 이야기할 수 없는 것은 사임배경에 대한 왜곡된 루머의 확대, 재생산을 부추기고 있는 것이 아닌가라는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침례교회는 회중주의를 원칙으로 교회의 정관과 규정을 통해 사역을 전개하고 있다. 담임목회자를 비롯해 개교회의 회원들이 교회가 추구하는 비전과 목적에 따라 하나님의 지상명령을 수행한다. 논의가 필요하거나 회원들의 요구가 있을 경우, 사무처리회를 통해 하나님의 뜻을 찾아가는 것이 침례교회이다. 담임목회자를 세우고 동역하는 것 또한 담임목회자 개인이 주도적으로 교회 사역을 이끌어가는 것이 아니라 교회 회원들의 협력과 협동으로 이뤄지는 것이다. 이것이 진정한 침례교회 추구하는 개교회주의일 것이다. 우리는 이 원칙을 지키기 위해 노력해왔다.


지구촌교회도 목회지원부를 중심으로 교회의 대소사를 처리해왔으며 제직회와 사무총회(사무처리회)를 거쳐 회원으로 속해 있는 성도들의 뜻을 반영해 사역을 전개했다. 코로나 팬데믹을 겪으며 교단을 비롯해 교회가 속한 지역과 해외 선교지까지 돌보며 교단의 위상을 세우는 일에 힘을 보탰으며 침례교회의 협동정신으로 제대로 알리고자 노력해온 것을 우리는 기억한다.


하지만 지금의 지구촌교회 상황은 침례교회적 상황과는 다소 괴리감을 느낄 수밖에 없다. 다시 한 번 절차와 과정을 꼼꼼히 살펴보며 차후 발생하는 문제들을 지혜롭게 대처해주기를 바란다. 새로운 30년을 준비하기 위해 ‘미래위원회’를 구성하며 교회 정상화를 위해 힘을 모으고 있는 것에 다시 한 번 힘을 모아주고 싶다. 담임목사 사임이후, 교회 사역들의 공백들은 필연적인 상황이다. 그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구촌교회 사역자들과 중직들이 나서 이 문제를 풀어나가고 있다. 가장 큰 혼란을 겪고 있는 이들은 지구촌교회 성도 회원들이다. 목양을 책임지는 목자의 부재에 흔들리지 않기를 바란다. 또한 현재 칩거 중에 있는 최성은 목사도 다시 사역의 길이 마련됐으면 한다. 목회자의 삶은 일생동안 길을 잃은 양들을 찾아 안전한 우리로 보내는 일이다. 과거 교회를 개척하고 선한 사마리아인의 사명을 감당했던 초심을 다시 한 번 되새기며 기도해야 할 때이다. 우리는 지구촌교회를 위해, 성도들을 위해, 전임 담임목사를 위해 합심 기도하며 가짜뉴스에 흔들리지 않고, 지구촌교회가 그 사명을 잘 감당해주기를 기대한다.



총회

더보기
총회 현안에 왜곡․확대 해석은 공멸의 길
존경하는 3500여 침례교회 동역자 여러분! 무더운 여름의 끝자락에서 불철주야 목회의 사명을 감당하고 계시는 동역자들을 위로하고 격려합니다. 114차 총회는 115차 정기총회를 준비하며 교단의 현안을 제대로 바라보고 우리의 문제와 위기를 직시하며 모든 것을 하나님의 뜻으로 여기기 위해 만반의 준비를 다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총회를 비롯해 한국침례신학대학교 관련 현안에 대해 사실과는 다른 이야기로 왜곡되거나 잘못된 방향으로 확대 해석되는 상황들이 벌어지고 있어, 총회장으로서 이 문제를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한국침신대가 ‘평가 인증 유예’에 대해 대의원들이 알아야 할까요? 지난 2025년 6월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평가에서 한국침신대가 ‘인증 유예’ 결과를 받게 됐습니다. ‘인증 유예’라는 생소한 단어 때문에 한국침신대를 사랑하는 모든 침례교 목회자들은 의구심과 혼란에 빠졌습니다. 더 안타까운 사실은 왜곡된 정보, 제한된 정보, 진영에 입각한 해석에 근거한 정보가 인터넷 언론과 SNS 등을 통해 무차별적으로 유포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우리 침례교단은 과거 왜곡된 정보와 제한된 정보, 진영에 입각한 해석에 근거한 정보로 교단의 자랑이었던 침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