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기독교한국침례회 115차 정기총회에서 “기독교한국침례회 신앙고백서” 채택을 요청합니다

1889년 12월 8일 캐나다 독립 선교사였던 말콤 펜윅(Malcom C. Fenwick)이 제물포에 도착해 이 땅에 침례교회의 씨앗을 뿌린 이래로 135년의 세월이 흘렀습니다. 기독교한국침례회 총회를 기준으로 올해는 115차 정기총회가 열리는 해이기도 합니다.


한국 침례교 135년의 역사는 하나님의 은혜와 축복의 시간이었습니다. 구한말 고요한 아침의 나라 조선에 뿌려진 복음의 씨앗은 암울했던 일제강점기 기간 신사 참배를 반대하다 교단이 폐쇄되는 어려움 속에서도 꽃을 피웠습니다.


1950년 동족상잔의 비극이었던 한국전쟁 기간 중 미국 남침례회(The Southern Baptist Convention)의 협력으로 재건한 기독교한국침례회는 현재 139개 지방회, 약 3,500개의 소속교회, 70만 성도로 성장했습니다.


한국 침례교회의 성장은 세계 침례교 역사상 유례가 없을 만큼 빠르고 성공적인 성장이었습니다. 물론 이런 성장의 이면에는 기독교한국침례회에 속한 목사님들과 성도님들의 복음에 대한 열정과 헌신이 밑거름되었음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이와 더불어 지난 135년 동안 급변하는 시대적인 요구 속에서도 복음적이고 정통적인 침례교 신학과 신앙을 타협하지 않고 지켜온 신앙의 선배들과 지금을 살아가고 있는 우리 모두의 노력과 수고가 있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또한 한국전쟁의 참화 속에서 한국 침례교회를 재건하고 한국을 돕고자 시작됐던 미국 남침례교 성도들의 기도와 선교적인 노력과 헌신을 기억해야 할 것입니다. 기독교한국침례회 115차 정기총회를 앞두고 기독교한국침례회 규약위원회와 이에 동조하는 지방회들은 지난 135년의 한국 침례교 역사를 되돌아보면서 다음과 같은 이유로 형제 교단인 미국 남침례회가 2000년 6월 14일 남침례회 총회에서 채택한 “침례교 신앙과 메시지(The Baptist Faith and Message)”를 기초로 한국 침례교회의 특징을 살린 “기독교한국침례회 신앙고백서” 채택을 정식 안건으로 상정합니다.

 

1. 기독교한국침례회는 135년의 역사에도 불구하고 “침례교회의 신앙과 주장”이라는 8개 항의 선언 이외에 신앙고백서를 채택하지 않았습니다. 이것은 400년 역사 속에서 지속적으로 신앙고백서를 채택해 왔던 침례교회들의 전통과 맞지 않는 것입니다.

 

2. 400년 역사를 지닌 침례교회들은 자신들이 속한 침례교단 차원에서 자신들의 교회가 정통적이며 복음적인 교단이라는 것을, 신앙고백서를 통해 지속적으로 밝혀왔습니다.
“기독교한국침례회 신앙고백서”에는 성경의 절대적인 권위, 삼위일체, 예수 그리스도의 신인성, 오직 하나님의 은혜로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말미암는 구원, 중생한 신자들로 이뤄진 교회, 신자들의 양심의 자유와 같은, 침례교회가 타협할 수 없는 귀중한 진리들을 담고 있습니다.

 

3. 침례교 400년 역사에서 침례교회들은 시대마다 다양한 신학적이며 시대적인 요구들과 문제들에 직면해 왔습니다.
미국의 남침례회와 기독교한국침례회에 속한 교회들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런 신학적이며 시대적인 요구들과 문제들에 직면하여 미국의 남침례회는 세 번에 걸쳐 신앙고백서를 채택함으로써 복음적이며 정통적인 침례교회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도 매 시대가 요구하는 문제들에 대해 성경적인 답을 제시해 왔습니다.
기독교한국침례회도 이런 전통에 따라 미국 남침례회와 신학적이며 신앙적인 정체성을 같이하면서도 한국 침례교회의 특징을 살린 신앙고백서를 채택할 때가 됐습니다.

 

4. “기독교한국침례회 신앙고백서”는 침례교회가 소중히 여겨온 자유를 억압하려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믿는 자유가 무엇인지 명확히 밝히고 있습니다.
침례교인들은 400년 역사 이래 지속적으로 신앙고백서를 통해 자신들이 믿는 자유가 무엇인지 밝혀 왔습니다. 우리가 믿는 자유는 진리 안에서의 자유이며, 중생의 역사로 말미암는 자유이며, 복음 안에서 누리는 자유이고, 성령 안에서 누리는 자유이며, 국가 혹은 그 어떤 단체도 억압할 수 없는 양심의 자유입니다.

 

5. “기독교한국침례회 신앙고백서”는 복음적이며 정통적인 침례교회로서 교회의 정체성을 지키면서도 성도들을 가르치고 양육하며 외부로부터의 공격에 대처할 수 있는 성경적 기준을 제시합니다.
우리가 믿는 성서 해석의 자유는 성서를 아무렇게나 해석할 수 있는 자유를 의미하지 않으며, 오히려 성경이 명확히 말하고 있는 진리를 그 무엇도 강요하거나 억압할 수 없는 자유를 의미합니다. 이는 “오직 성경”이라는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의 절대적인 권위에 대한 침례교인들의 믿음과 확신에 기초합니다.

 

6. “기독교한국침례회 신앙고백서”는 세세한 부분에서 서로의 다름을 존중하면서도 중요하고 핵심적인 진리에 있어서 우리의 같음을 고백하고 있습니다.
침례교회는 역사적으로 신앙고백서를 통해 복음적이며 정통적이고 침례교적인 우리의 정체성을 명확히 밝혔을 뿐 아니라, 이를 기초로 다른 교단 및 단체들과 협력해 왔습니다. 그러므로 “기독교한국침례회 신앙고백서”는 우리의 신학적이며 신앙적인 정체성을 분명히 밝힐 뿐 아니라, 다른 복음적이며 정통적인 교단 및 단체들과 협력하는 기초가 됩니다.

 

임마누엘교회
전 한국침신대 교수
(조직신학)



총회

더보기
총회 선거관리위원회 의장단 공개토론회
총회 선거관리위원회(위원장 홍석오 목사, 서기 윤찬호 목사)는 지난 9월 4일 여의도 총회빌딩 13층 대예배실에서 115차 총회 의장단 후보자 공개토론회를 열었다. 이날 공개토론회는 선관위 백남천 목사(천안중앙)의 사회로 시작해, 서기 윤찬호 목사(우리)의 기도와 홍석오 위원장의 인사말이 이어졌다. 홍 위원장은 “공개토론회를 열 수 있도록 마음을 모아 주신 데 감사드리며, 공정하게 선거운동에 임해 준 두 후보에게 진심으로 감사한다. 오늘 이 자리를 통해 어떤 후보자가 교단을 위해 총회장의 직무를 잘 감당할 수 있을지를 깊이 고민하는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날 토론은 선관위 부서기 서광선 목사(서광)의 진행으로, 기호 1번 김선배 목사(디딤돌 협동)와 기호 2번 최인수 목사(공도중앙)의 약력 소개 후 토론 방식이 안내됐다. 이어 공통질문으로 △총회장 출마 목적과 비전·정책 △임기 동안 우선 추진할 핵심 사역 △다음 세대 이탈 현상에 대한 대책 △은퇴 목회자 지원 방안 △미자립교회 지원 정책 △한국침례신학대학교 당면 과제 해결 방안 등에 대한 문답이 있었다. 후보자들은 각 질문에 대한 입장과 공약을 발표한 뒤, 상호 교차 질문과 답변을 주고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