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북한가락 찬송가를 편찬한 통일문화예술원 이정자 이사장

실제 북한교회서 불리는 가락을 중심으로 총 61곡 만들어



“북한에도 하나님을 찬양하는 지하교회 성도들에게 이 찬송가가 희망이며 등불이 되길 소망합니다. 작은 울림과 떨림이 통일의 놀라운 함성이 되길 소망합니다.”
(사)통일문화예술원 이정자 이사장이 최근 출간한 “통일세대를 위한 북한가락 찬송가”는 한반도 통일을 위해 헌신한 통일문화예술원에서 북한 선교를 위해 기도하던 와중, 지난 2014년 1월 기도의 응답을 통해 준비된 작품이다.



북한 선교사들을 통해 접한 증언을 토대로 북한 지하교회 성도들이 자주 부르고 애창하는 찬송가를 녹음해 이를 악보로 옮기고(채보) 편곡 등의 여러 과정을 거쳐 61곡의 북한가락 찬송가를 완성하게 됐다.


이정자 교수는 이번 찬송가 편찬과 관련, “그동안 통일 분야에서 여러 활동하면서 10년을 헌신해왔다. 마지막으로 하나님께 영광돌릴 수 있는 무엇인지 고민하고 금식 기도하던 와중, 북한에도 하나님을 찬양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으로 북한 찬송가를 수집하게 됐으며 죽음을 무릅쓰고 채보한 자료를 들으며 벅찬 감동을 받기도 했다”고 전했다. 하지만 지하교회 성도들이 부르는 찬송에는 여러 한계가 있어 북한에서 널리 부리고 있는 민요나 대중음악에 성경말씀을 토대로 가사를 붙여 추가로 찬송가를 만들어 수록하게 됐다.


북한가락찬송가의 또 다른 숨은 조력자는 목숨을 걸고 북한을 탈출한 새터민들이었다. 북한교회에서 복음을 접한 이들부터 북한 민요나 대중음악을 직접 전하면서 찬송가 편찬에 힘을 실어줬다. 특히 북한 가락 ‘휘파람’에 성경말씀을 붙여 ‘성령의 휘파람’은 새터민에게도 고향의 향수를 느끼며 자연스럽게 복음을 접할 수 있는 심정을 담았다.


이 교수는 앞으로 이 찬송가를 녹음해 소형 휴대 저장도구를 활용해 북한에 대량으로 공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찬송가가 북한 지하교회에 제대로 전달될 수 있을지는 앞으로 기도하며 전심으로 제작해 배포할 것입니다. 북한 선교사들을 통해 북한 지하교회에 놀라운 찬양의 메아리가 울려퍼질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통일의 기운을 한 층 더 빨리 다가오지 않을까 기대해봅니다.”
/ 이송우 차장



총회

더보기
총회 현안에 왜곡․확대 해석은 공멸의 길
존경하는 3500여 침례교회 동역자 여러분! 무더운 여름의 끝자락에서 불철주야 목회의 사명을 감당하고 계시는 동역자들을 위로하고 격려합니다. 114차 총회는 115차 정기총회를 준비하며 교단의 현안을 제대로 바라보고 우리의 문제와 위기를 직시하며 모든 것을 하나님의 뜻으로 여기기 위해 만반의 준비를 다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총회를 비롯해 한국침례신학대학교 관련 현안에 대해 사실과는 다른 이야기로 왜곡되거나 잘못된 방향으로 확대 해석되는 상황들이 벌어지고 있어, 총회장으로서 이 문제를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한국침신대가 ‘평가 인증 유예’에 대해 대의원들이 알아야 할까요? 지난 2025년 6월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평가에서 한국침신대가 ‘인증 유예’ 결과를 받게 됐습니다. ‘인증 유예’라는 생소한 단어 때문에 한국침신대를 사랑하는 모든 침례교 목회자들은 의구심과 혼란에 빠졌습니다. 더 안타까운 사실은 왜곡된 정보, 제한된 정보, 진영에 입각한 해석에 근거한 정보가 인터넷 언론과 SNS 등을 통해 무차별적으로 유포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우리 침례교단은 과거 왜곡된 정보와 제한된 정보, 진영에 입각한 해석에 근거한 정보로 교단의 자랑이었던 침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