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아나뱁티스트(Anabaptist) (2)

‘도한호 목사의 목회와 상식’- 135

-기원-

개혁교회 종교개혁의 두 주류는, 알다시피 제네바의 칼뱅과 취리히의 츠빙글리이다. 츠빙글리는 대학을 나온 청년들을 모아서 예언모임을 만들어 에라스무스의 그리스어 신약성경을 읽으면서 미사제사, 성인숭배, 면죄부 판매, 고해성사, 연옥교리, 및 비성서적 교황제도 등 67개 조의 개혁과제를 토론하면서 로마가톨릭교회와 맞서 개혁을 이끌었다. 예언모임에 참여했던 사람들은 콘라드 그레벨, 펠릭스 만쯔, 게오르게 불라우락 등이었으며 이 모임은 후에 스위스 형제단으로 발전해서 아나뱁티스트 운동의 모체가 됐다. 그런데, 츠빙글리가 아나뱁티스트의 국가관을 비판한 것으로 보아 그 당시에 이미 아나뱁티스트로 불리는 다른 종교집단들이 있었던 것 같다.


츠빙글리는 신자의 뱁티즘을 주장한 그의 제자들과는 달리 유아세례를 지지했고 1525117일부터 시작된 제3차 신학 공개토론회에서는 유아세례를 거부하고 오직 신자에게만 세례를 베풀어야 한다고 주장한 제자들을 심하게 꾸짖기까지 했다. 이 사건을 계기로 츠빙글리와 스위스 형제단은 결별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로부터 며칠 후인 121일 밤에 스위스 형제단회원들이 펠릭스 만쯔의 집에 모였을 때 가톨릭교회 신부 게오르게 불라우락(George Blaurock)이 그레벨에게 신앙고백에 근거한 신자의 세례를 받고 싶다고 하자 그레벨이 그 자리에서 뱁티즘을 베풀었다. 뱁티즘의 형식은 세례(洗禮, aspersion)였다.

그레벨은 며칠 후에는 12명의 신도들에게 관수례(灌水禮, affusion)를 베풀었으며, 또한 그가 여행 중에 만나서 전도한 볼프강 울리만(Wolfgang Ulimann)에게는 부근의 라인강에서 침수례(浸水禮, immersion)를 베풀기도 했다.


그레벨과 스위스 형제단신자의 뱁티즘을 주장했지 뱁티즘의 형식을 문제 삼지 않았다. 그래서 그들이 베푼 뱁티즘의 형식은 분수례, 관수례, 침수례 등으로 다양했다.

그레벨과 스위스 형제단재세례파로 불리어진 것은 그들이 유아세례를 받은 사람에게 다시 세례를 베풀었기 때문이었다. 아나뱁티스트들이 역사적으로 가톨릭교회뿐 아니라, 개신교회로부터도 박해를 받은 것은, 입회자들에게 무조건 재 세례를 베풀고 국방과 조세의 의무를 거부하고 공동체 생활을 강요한 반사회적 공동체 운동으로 잘못 알려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심지어 아나뱁티스트들은, 1534년에 일어난 전대미문의 반사회적 종교폭력시위인 뮌스터 폭동을 주도한 얀 맛디스와 얀 반 라이덴 같은 광신적 무정부주의자들과 같은 무리로 오해 받기도 했다. ‘신자의 뱁티즘을 베풀어 온 침례교회도 역사적으로 많은 박해와 희생을 감수해야 했다.

*참고문헌 중 최근의 것으로는 김승진의 종교개혁가들과 개혁의 현장들”(나침반, 2015)이다.



총회

더보기
최인수 총회장 “희망과 변화를 이끌어내겠다”
115차 총회 81대 총회장 이·취임 감사예배가 지난 10월 24일 경기도 화성 라비돌리조트에서 총회 임역원과 교단 목회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1부 감사예배는 총회 전도부장 박한성 목사(세종꿈의)의 사회로 총회 군경부장 이길연 목사(새서울)가 대표로 기도하고 경기도침례교연합회 대표회장 이병천 목사(지구촌사랑)의 성경 봉독, 배진주 자매(공도중앙)의 특송 뒤, 이동원 목사(지구촌 원로)가 “깊은 데로 나아갑시다”(눅 5:1~6)란 제목으로 설교했다. 이동원 목사는 설교를 통해, “침례교 목회자의 특징이라고 하면 단순하게 말씀을 사랑하고 가르치는 것이며 그 말씀을 붙들고 최선을 다해 복음 전도에 우선순위를 다하는 것”이라며 “침례교회가 다시 부흥의 계절, 아름다운 침례교회의 계절을 맞이하기 위해서는 오직 말씀에 순종하고 복음을 전하는 일에 전념하는 총회가 돼야 하며 새로운 교단의 미래를 열어가기 위해 정직한 성찰과 회개로 과거를 극복하고 주님의 말씀만을 향해 나아가는 총회가 되기를 소망한다”고 전했다. 2부 축하식은 사회부장 윤배근 목사(꿈이있는)의 사회로 81대 총회장 최인수 목사(공도중앙)가 80대 총회장 이욥 목사(대전은포)에게 이임패를 증정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