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를 명확하게 바라보기 위해서는 현실을 정확하게 관찰하는 훈련이 필요합니다. 또 현실을 정확하게 바라보기 위해서는 과거를 올바르게 해석할 수 있어야 합니다. 본래 볼 수 없는 사람은 알 수 없습니다. 알 수 없다면 또한 할 수도 없습니다. 눈이 먼 소경은 아무도 인도할 수 없습니다. 혹시 인도한다 할지라도 둘 다 구렁텅이에 빠질 확률이 높습니다. 그러므로 미래의 지도자란 과거를 올바르게 해석할 수 있어야 하고, 현실은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어야 하며, 미래를 정확하게 내다볼 수 있어야 합니다. 다시 말씀드리면 과거와 현실과 미래를 올바로 바라볼 수 있는 사람이 미래의 지도자입니다. 만약에 과거와 현실과 미래가 무엇인가를 명확하게 얘기할 수 없다거나 내다 볼 수 없다면 그 사람은 아무도 인도할 수 없는 소경과 같습니다. 소경은 인도자가 될 수도 없고 길가는 나그네에게 이정표를 설명할 수 없습니다. 그런데 소경이 소경을 인도하듯이 앞을 내다볼 줄 아는 능력도 없는 사람이 길가는 이들에게 이 말 저 말을 하는 이들이 있습니다. 해가 서산에 뉘엿뉘엿 넘어가고 있는데 사흘길이 되는 길을 떠나라고 재촉하는 지도자도 있습니다. 빗자루 들고 마당 쓸러 나가는 사람에게 마
요한은 예수님의 공생애를 통해 나타난 영광을 “아버지의 독생자의 영광”이라고 말한다. ‘독생자’로 번역된 단어(‘모노게네스’)는 본래 “단 하나의” 혹은 ‘유일무이한’이라는 의미의 형용사이다. 요한은 예수의 존재의 특별한 성격 곧 하나님과 유일한 관계를 가진 존재를 나타내기 위하여 이 단어를 사용한다(1:18; 3:16, 18). “아버지의 독생자” 혹은 “하나님의 독생자”란 하나님과의 관계에 있어서 세상의 어느 누구도 혹은 세상의 어떤 존재도 가질 수 없는 특별하고 유일무이한 관계의 존재 곧 창세 이전부터 하나님과 함께 계셨고, 하나님과 동일한 신성의 존재이셨으며, 화육하셨고, 죽으셨으며, 부활하심으로 아버지 하나님께로 돌아가셨고, 아버지와 아들의 신비한 연합이 완결되셨으며, 이제는 보혜사 성령의 존재로 그의 제자들에게 다시 오시는 예수 그리스도를 가리킨다. 그런데 독생자라는 용어에서 중간에 위치한 ‘생’은 육신을 가진 인간으로의 출생을 가리킨다. 하나님의 아들이 인간으로 출생한 것은 동정녀 출생의 신학에서 부각된 것이다. 그렇지만 앞에서도 언급되었듯이, 요한은 동정녀 출생의 신학과는 다른 화육의 신학을 부각시킨다. 화육의 신학에서는 인간으로 태어난 것이
중생과 칭의의 동시성 개념은 하나님이 사람들에게 새로운 신분을 제공하여 의롭게 만드는 칭의와 새 생명 곧 새로운 본성을 부여하는 중생이 서로 분리되지 않는다는 뜻이다(롬5:18; 요5:24). 이처럼 카너는 ‘의롭게 만드는’ 칭의의 경험적 측면을 통해 중생과의 관계를 설명했다. 반면에 무디는 중생의 당연한 결과로서 칭의가 발생하지만, 이는 서로 분리되지 않는 관계라고 간략하게 표명했다. 2. 중생과 성화와의 관계 대그는 중생을 성화와 연결하여 설명하기를 선호했다. 이는 그가 중생과 성화의 행위가 지속적인 과정이라는 사실을 강조하기 위함이었다. 그 이유는 바울이 중생한 자들에게서 일어나고 있는 성령과 육신의 소욕 사이의 지속적인 적대행위를 증언하기 때문이라고 한다(갈5:17). 그래서 대그는 중생과 성화의 시작을 동시적인 것으로 파악했다(빌2:13). 보이스는 대그와 달리 중생이 성화보다 선행한 것으로 간주했다. 그가 중생을 성화보다 앞선 것으로 보는 이유는 사람이 중생을 통해 새로운 본성을 획득해야만 거룩함을 추구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는 중생과 성화가 본성적으로 하나의 변화라는 점을 강조했다. 이같은 강조는 중생과 성화 모두가 시작부터
이사준비에 참 바빴다. 전세든 우리 예사랑교회 장소를 옮겨야 한다. 어디로 옮길 것인가? 노영식 목사님의 세 번 초청으로 청계산 기도원에서 장기 금식기도 중 서울 말죽거리 개척을 중단하고 부산에 내려갔더니 동래구 거제동 남문구 길가 2층에 10여명 모이는 교회에 부임해 그 후 7번이나 개척 교회당 이사를 옮긴 후 사직동 중앙교회당을 건축한 70년대의 기억이 새롭구나! 서울교회에 와서는 사택을 7번 이사한 경험도 떠올랐다. 침례교 전국여성선교연합회 건물수리 관계로 예사랑교회는 수원역 화서로 옮기도록 기도와 답사 끝에 50여 평 남짓한 이층으로 계약하고 7월 초에 이사해 새로운 복음전도의 계기가 되길 소망한다. 예수님이 십자가를 앞둔 수난주간 마지막 세 예화 중(마25장)에 열 처녀의 비유를 오늘 설교 준비하면서 떠오른 기름준비의 말씀이 나의 심령을 두드렸다. 교회당 이사준비로 몇 주간 깊이 생각하고 이사준비하고 실행하는데 준비처럼 나와 성도들의 천국 이사준비는 어떤가? 천국과 지옥의 실존에 이어 천국 소망에 대해 설교했고, 기름 준비 없이 깜박거리는 등불만 들고 기다리는 교인들이 있어 이는 오늘의 우리가 아닌가? 세상의 돌아가는 종말적 징조는 너무나 농후한데
율법은 사람이 할 수 없는 줄 알면서도 해보라고 하고, 신약은 할 수 없는 일인데 해보라하지 않는다 (Law would tell us something even though it was impossible for us to do. Gaspel would not tell us to do something if it were impossible to do.). 구약율법은 우리에게 못 올라갈 나무에 올라가 보라고 말하고 신약의 복음은 못 올라갈 나무라면 아예 올라가라고 말하지 않는다. 율법은 “너는 안된다”라는 것을 가르친다. 복음은 “너는 된다”라는 것을 가르친다. 복음이 이렇게 말하는 이유는 복음은 사람이 할 수 있는 것을 하라고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복음은 고린도전서 13장의 사랑의 실천과 에베소서 5장21~33절의 부부생활의 성공을 이뤄낼 수 있으니까 해보라고 한 것이다. 율법은 안 되는 줄 알면서 시켜본 것이고 신약은 되는 줄 알기에 해보라는 것이다. 어째서 복음은 이렇게 할 수 있었는가. “그러므로 이제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자에게는 결코 정죄함이 없나니 이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생명의 성령의 법이 죄와 사망의 법에서 너를 해방 하였음이라 율
사람을 위해 돈을 만들었는데 돈에 너무 집착하다 보니 사람이 돈의 노예가 됩니다. 몸을 보호하기 위해 옷이 있는데 너무 좋은 옷을 입으니 내가 옷을 보호하게 됩니다. 사람이 살려고 집이 있는데 집이 너무 좋고 집안에 비싼 게 너무 많으니 사람이 집을 지키는 개가 됩니다. 이런 것을 전도몽상(顚倒夢想)이라고 합니다. 자기도 모르게 어느 순간 거꾸로 되는 것입니다. 인생에 너무 많은 의미를 부여하니까 의미의 노예가 되고 행복하지 못한 겁니다.전도(顚倒)는 모든 사물을 바르게 보지 못하고 거꾸로 보는 것이고 몽상(夢想)은 헛된 꿈을 꾸고 있으면서도 그것이 꿈인 줄을 모르고 현실로 착각하고 있는 것을 말합니다. ① 많은 것을 곁에 두고 다 써보지도 못하고 죽어가는 이상한 현대인(現代人) ② 미래의 노후 대책 때문에 오늘을 행복(幸福)하게 살지 못하는 희귀병에 걸린 현대인(現代人) ③ 나누면 행복(幸福)이 온다는 지극히 평범한 사실을 알고도 사랑하지 못하는 장애를 가진 현대인(現代人) ④ 사랑할 수 있는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고도 사랑하지 못하는 바보 같은 현대인(現代人) ⑤ 늘 행복(幸福)을 곁에 두고도 다른 곳을 해매며 찾아다니다가 일찍 지쳐버린 현
“문장에 파란이 없는 것은 여인에게 곡선이 없는 것과 같다. 천하에 살아 있는 것들은 모두 곡선이지만. 죽은 것들은 모두 뻣뻣하다. 자연계는 곡선을 좋아한다. 연기와 같이 피어오르는 안개, 뭉실뭉실 솜 같은 구름, 담을 넘어 삐죽 고개를 내민 꽃가지, 구불구불한 시내… 반면에 인조물은 직선을 좋아한다.” 임어당 저(著) 김영수 역(譯)“여인의 향기”(아이필드, 130쪽) 중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건축예술의 거장 안토니 가우디는 이런 말을 했습니다. “직선은 인간이 만든 선이고, 곡선은 신이 만든 선이다.” 니체 또한 “진리는 모두 곡선”이라고 했습니다. 직선’은 ‘곡선’을 이길 수 없습니다. 세상의 모든 아름다움은 직선이 아니라 곡선에서 나옵니다. 산 능선에서 고요하고 은근하게 이어지는 어머니의 눈썹과 같은 곡선을 보십시오. 꽃은 모두 곡선이고 난초는 더욱 그러합니다. 사람의 귀는 곡선으로 생겼기 때문에 직선의 언어보다는 곡선의 노래가 더 잘 들어옵니다. 나무도 그러합니다. 올곧게 뻗은 나무들보다는 휘어 자란 나무가 더 멋스럽습니다. 곧은 나무의 그림자보다는 굽은 나무의 그림자가 더 사랑스럽습니다. 새들도 곧은 가지보다 굽은 가지에 더 많이 날아와 앉고, 함
생전 처음 명동에 간 나는 양장점과 구두 가게들이 즐비한 거리를 외계인처럼 두리번거리며 걷고 있었다. 그런데 갑자기 동생이 어떤 진열장에 걸려 있는 흰색 원피스를 가리키며 입어 보겠다고 했다. 마침 그 가게 앞에는 내가 올라갈 수 없을 정도로 너무 높은 문턱이 있어서, 나는 그냥 밖에서 기다리기로 했다. 문 밖에 서서 안쪽을 들여다보니, 아주 아름다운 중년 여인이 만면에 미소를 띠며 동생을 반겼다. 그런데 동생을 탈의실로 안내한 후 무심히 돌아서던 그녀가 문에 기대서 안을 들여다보고 있는 나를 보고는 흠칫 놀라는 것이었다. 그녀의 아름다운 얼굴이 갑자기 일그러지면서 내뱉듯이 말했다. “나중에 와요. 손님 있는 거 안 보여요?” 그제나 이제나 눈치 없기로 소문난 나는 영문도 모른 채 그저 눈만 멀뚱멀뚱 뜨고 있었다. 그러자 그녀가 이번에는 한 옥타브 더 높은 목소리로 소리쳤다. “나중에 오라는 말 안 들려요? 지금은 동전이 없다구요!” 순간 그 소리를 들은 동생이 옷을 입다 말고 탈의실 문을 박차고 나왔다. “뭐라고 그랬어요, 지금. 우리 언니를 뭘로 보는 거냐구요!” 나는 그제야 주인 여자가 나를 가게 앞에서 구걸하는 거지로 착각했다는 것을 깨달았다. “사람
지난 전국사모회 제12차 총회와 교육수련회가 6월 3~5일 부산 해운대 글로리 콘도에서 열려 폐회설교 부탁을 받고 처음으로 동참하게 됐는데 200여명 넘는 사모님들이 참석했다. 돌이켜보니 2년전 총회 주소록을 받고 교단 전체교세가 없어 주소록에서 대충 헤아려봤더니 115지방회의 4810교회에 목회자 수는 6226명으로 기억됐는데 따져보니 평균 30:1 비율로 200여명이 참석했었다. 듣자니 지난번 교단 홀사모 위로회는 40여명 중에 30여명이 참석했다고 들었는데, 이번 사모회는 좋은 강사진과 알찬 진행으로 영적 은혜를 많이 받은 집회에 소수로 모여 아쉬움이 남는다는 참석자들의 얘기를 들었다. 새로운 집행부는 명년에도 갑절로 참석토록 행사위주의 진행보다 열매맺는 영적 집회가 되도록 더욱 잘 준비하기를 기대해 본다. 엄부자모란 말이 있는데 아버지는 엄중하고 어머니는 자애롭다는 뜻이다. 그런데 사모님은 사모님(師母任)? 사모(事母)님? 사(思)모님? 무슨 뜻인지? 목사의 어머님, 스승 같은 어머님? 일하는 어머님? 사모하는 어머니란 뜻인가? 그렇게 생각하니 어떤 사모는 목사가 설교를 길게 하면 뒷쪽에 앉았다가 일어나서 손으로 X표를 하는가하면 노골적으로 설교가 뭐
“마음이 설레지 않는 옷을 입고 행복할까? 설레지 않는 책들을 쌓아둔다고 행복을 느낄 수 있을까? 절대 착용하지 않을 장신구를 갖고 있는 것으로 행복한 순간이 찾아올까?(중략) 마음이 설레는 물건만으로 채워진 자신의 공간과 생활을 상상해 보자. 그것이 바로 자신이 누리고 싶은 이상적인 생활이 아닐까? 마음이 설레는 물건만 남기고, 나머지는 전부 과감히 버리자. 그 순간부터 당신에게 새로운 인생이 시작될 것이다.” 곤도 마리에 저(著) 홍성민 역(譯) “인생이 빛나는 정리의 마법”(더난출판, 58~59쪽) 중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정리의 여왕으로 불리우는 일본의 곤도 마리에는 “설레지 않으면 버리라”는 통쾌한 선언을 합니다. 그녀는 두근거리지 않는 것들에 둘러싸여 많은 에너지를 빼앗긴다고 하며, 두근거림이 없는 물건들을 미련 없이 버렸습니다. 그 이후에는 좋아하는 것들로 삶이 채워지는 체험을 합니다. 인생의 고통은 얻지 못해서가 아니라 버리지 못해서인 경우가 많습니다. 진정한 승리자는 많은 것을 얻은 자가 아니라, 의미 없는 것을 버린 자입니다. 어리석은 새는 반짝이는 것을 무엇이든 주워 모으는 습성이 있다고 합니다. 주워온 유리 조각 쇳조각들로 둥지가 엉망이
율법의 복은 조건부 복이다. “…행하면…” “…순종하면…” 등 사람 편에서 어떤 자세를 취할 때 여호와 하나님이 복을 주사라고 했다. 물론 이말 속에는 “…행하지 않으면…복을 안주는 정도가 아니라 저주를 쏟아붓는다고 했다(신28장). 이에 비해 복음의 복은 조건이 없다. 조건이 있다면 그 조건은 하나님이 충족시켜 놓은 조건이다(요일 3:16, 요일 4:10). 하나님이 우리를 먼저 사랑하신 그 사랑으로 인해 우리의 모든 것에 눈을 감으시고 복을 주었다. 눈 감으신 것이 아니라 눈을 뜨셨지만 우리의 초라한 모습을 보지 못하셨으니 곧 우리의 허물과 죄를 간과 하셨다는 것이니 하나님의 눈에는 우리들의 허물과 죄 위에 보혈 밖에 아무것도 없다는 것이다. 구약 율법이 주는 조건부 복을 나열해 보자. 성읍에서 복을 받고 들에서도 복을 받고(신28:3), 온갖 인생과 짐승의 소생이 복을 받고(신28:4), 광주리와 떡 반죽 그릇이 복을 받고 (신28:5), 들어와도 복을 받고 나가도 복을 받고(신28:6), 적이 한길로 침입했으나 네 앞에서 일곱 길로 혼줄나게 쫓겨 가고(신28:7), 꾸어 줄지언정 주지 않고(신28:12), 남의 머리가 될지 언정 꼬리가 안 되고 위에만
부활하신 예수님을 영접하여 믿으면 인격의 새로운 변화를 가져온다. 마음과 생각, 말과 행동은 인격의 사대요소이므로 우리는 십자가로 심사언행(心思言行)을 삼간 후 예수의 부활로 새로운 인격의 변화로 성령 충만한 초대교회의 위대한 신앙과 선교의 계기가 되길 소망한다. “무릇 지킬 만한 것보다 더욱 네 마음을 지키라 생명의 근원이 이에서 남이니라”(잠4:23) 여기서 사람은 무엇보다 첫째로 마음을 지켜야 한다. 사람은 마음의 바탕에서 생각이 떠오르며 생각에서 말이 나오고 말한 대로 행동하게 되므로 “심사언행”이라 본다. 하와가 마귀의 유혹으로 금단의 열매 선악과를 쳐다보니 견물생심(見物生心)이라 마음에 먹고 싶은 생각대로 따먹고 아담도 함께 범죄케 했다. 무엇보다 우선 심령이 변화돼야 한다. 예수님은 “네 마음을 다하고 목숨을 다하고 뜻을 다하여 주 너의 하나님을 사랑하라 이것이 크고 첫째 되는 계명이요”(마22:37~38)라고 첫 번째 계명을 말씀하셨고, 바울사도는 “너희 안에 이 마음을 품으라 곧 그리스도 예수의 마음이니”(빌2:5) “노하심을 격동하여 광야에서 시험하던 때와 같이 너희 마음을 강팍케 하지 말라”(히3:8)라고 권면했다. 다윗 왕은 궁궐에서 건
기독교한국침례회 원로목사회 위문잔치 모임이 교역자복지회(회장 황인정 목사) 주관으로 지난 4월 말 2박 3일 일정으로 가평 필그림하우스에서 있었다. 연세가 70, 80, 90세가 된 200여 원로목사님 내외분들이 모였다. 모든 프로그램이 부담 없이 휴식처럼 되어 있지만 그래도 한 프로그램만은 예배 중심과 설교자의 말씀 전하는 시간이었다. 마침내 강사가 등단했다. 오시느라고 수고하셨다는 예의 인사와 간단한 자기소개가 끝난 뒤 바로 말씀선포로 직행했다. 주제는 “천로역정에 나타난 기독교 7대 영성”이었다. 그 자리에 참여한 나는 순간 ‘아차’했다. 언제 천국 갈지도 모를 목회 노년의 노 목사 부부들에게 어울리지 않는 주제를 유인물로 해서 전한다는 것이 노 목사들에게는 부적절한 내용이 아니겠느냐는 나 나름대로의 제법 재치있는 판단이 앞섰기 때문이었다. 가령 노년까지 살아오시기에 어떤 수고가 있었느냐니 혹은 이젠 노년에 편안히 쉬시고 하늘소망 가지시라고 하면 노 목사 부부에게 어울릴 것 같은데 강의 내용은 딴판이었다. 천로역정 기독교 7대 영성을 유인물에 있는 대로 한 자 한 구도 빠지지 않고 설명해나갔다. 이 강사는 노년 목사라도 복음 선포자로 완주(完走)해야 한
사람은 만물 중에 하나님께서 만드신 최고의 걸작품이다. 성경은 하나님이 자기 형상 곧 하나님의 형상대로 사람을 창조하시되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시고(창1:27) 아담에게서 취하신 그 갈빗대로 여자를 만드시고(창2:22)라고 말씀하셨다. 천지창조 다음으로 하신 기적은 만물의 영장이라 불리는 사람의 창조이다. 흙을 주물러서 남자인 아담을 만들고 아담의 갈빗대로 여자, 하와를 만드셨다. 남녀를 만든 재료가 근본적으로 다르다. 하나님께서는 사람을 창조하신 후에, 하나님이 그 지으신 모든 것을 보시니, 보시기에 심히 좋았더라(창1:31)고 말씀하셨다. 1950년대 러시아에서 생화학자들이 기독교를 박멸하기 위해 엄청난 재원을 들여 인체의 구성요소를 합성하여 사람의 육체 모양은 만들었으나 살려낼 수는 없어 생명은 연소(燃燒)에 있다고 믿고 불꽃 속에 있는 생명을 코로 불어넣으려 했으나 성공하지 못하고 많은 재원만 낭비하고 결국 실패했다고 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흙으로 사람을 지으시고 생기를 그 코에 불어 넣으시니 사람이 생령”(a living soul, 生靈, 창2:7)이 됐다. 2004년 12월 6일 타임지에서 ‘우주의 수수께끼’(Cosmic Conundrum)라는
동내에서도 소문난 가정이 있다. 몇 십 년을 싸우며 칼부림도 나고 작은 마을 사람들이 다 듣도록 고래고래 고함을 지르기도 했다. 드디어 몇 달 전부터는 변호사에게도 여러 번 갔고 끝내는 법원 민원실까지 가서 서류를 들고 나왔다. 그런데 연세가 칠십을 넘기신 분들이시다. 진도에 내려와 전도 대상자로 지목하고 기도하던 사람들이었다. 선교지와 같은 마을에서 전도의 문을 열기 위해 지역에서 영향력이 있는 분들을 지목하고 기도했던 것이다. 지난 달부터 더 심해서 이제 끝장이라는 상황에 우리 부부가 알게 되고 늦은 밤까지 찾아가기도 하고 찾아 오기도 하며 이야기를 나눴다. 어느 땐 서로 숨기고 각자 찾아와 하소연을 하기도 했다. 주위 사람들은 모두가 그렇게 힘들면 끝내라고 말한다며 내일은 결정하겠다고까지 으름장(?)을 놓기도 했다. 그러나 우리를 이곳에 보내신 하나님을 전해주고 싶다며 한번 도전해 보자고 울기도 하고 애걸했다. 성경의 하나님을 소개하며 시간이 흘러 두 분 모두 나중 더 힘이 빠졌을 때를 생각하고 이겨 보자고 당부를 했다. 그렇게 우여곡절 끝에 고비를 넘기고 나서 지금은 만날 때 마다 “어떠시냐?”고 넌지시 물으면 미소를 지으시며 “좋아요.” 대답을 듣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