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에덴(창2:4)

유수영 목사와 함께하는 창세기 여행 ⑥

창세기 2장 3절에서 하나님의 안식을 읽고 나면 모든 창조가 끝나야 할 것 같은데, 바로 이어지는 2장 4절에서 다시 한 번 창조 이야기가 시작됩니다. 더욱 당황스러운 것은 앞선 창조이야기와 어딘가 다르다는 점이죠. 


2장 4절은 사실 두 문장으로 보는 것이 맞습니다. 개역개정은 한 문장으로 번역했지만 새번역은 두 문장으로 번역해서 보다 정확하게 의미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앞 문장은 앞선 2장 3절까지의 창조이야기의 끝마무리로 볼 수 있습니다. 문장 마지막에 마침표를 찍듯이 1장 1절로부터 시작된 창조 이야기를 마지막으로 정리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어지는 다음 문장은 앞선 창조 이야기를 잊기나 한 듯이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시작된 또 다른 창조 이야기가 2장 말미까지 계속되죠. 결과적으로 1장과 2장에 창조 이야기가 두 번 나오는 셈인데, 특히나 앞선 이야기에서는 사람 창조 이전에 식물이 만들어진 반면, 두 번째 창조에서는 사람 창조 이후에 식물이 나타난 것으로 나오다 보니 독자 입장에서는 더욱 헷갈립니다. 새번역처럼 2장 4절이 두 문장으로 분리되면 그나마 다른 이야기로 느껴지지만 개역개정처럼 한 문장으로 써 놓으면 앞뒤 구분이 되지 않아 더욱 혼란스러운 상황이 됩니다. 장과 절의 구분은 16세기 이후에 붙여진 것인데 가끔 우리는 성경의 저자가 처음부터 장 절까지 의도하고 책을 쓴 것으로 착각하기 쉽기에 이런 혼란이 발생하곤 하죠. 


우선 1장 1절부터 2장 4절 전반부까지의 글과 2장 4절 후반부 이후의 글이 서로 다른 글이라는 점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다시 한 번 유심히 읽어본다면 두 이야기 모두 창조를 설명하지만 드러내고자 하는 주제가 조금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창조이야기는 우주와 세계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를 중점적으로 다룹니다. 순서에 맞춰 하루씩 창조가 이뤄지는 가운데 사람의 창조도 여섯 번째 날에 창조된 것들 가운데 하나로 다뤄지죠. 따라서 아담과 하와라는 구체적인 이름도 등장하지 않고 아담이 먼저 창조되고 아담의 갈비뼈에서 하와가 창조됐다는 상세한 설명도 없으며 이들이 사는 장소인 에덴동산도 등장하지 않습니다. 여기서 보이는 사람은 고유명사가 아닌 대명사로서 존재하죠. 


반면 두 번째 창조이야기는 에덴에서 살아가는 아담과 하와가 겪은 이야기를 들려주기 위해 쓰였습니다. 그들이 어떻게 창조됐는지, 남자와 여자는 어떻게 달랐는지, 에덴은 어디에 있으며 그 안에서 무슨 일이 벌어졌는지를 설명하기 위해 창조부터 풀어낸 겁니다. 따라서 1장의 창조이야기와는 전혀 다른 목적을 가진 글입니다. 흥미로운 것은 두 글이 한 권의 책으로 묶이는 과정에서 내용이 전혀 섞이지 않고 독립적으로 배치됐다는 점입니다. 혼란을 피하려면 두 글의 내용을 발췌해 하나의 글로 만들 수도 있었는데, 그렇게 하지 않았어요. 각각의 글이 가지는 고유한 특성을 모두 존중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더불어 두 개의 글이 오랫동안 따로 존재해왔고 고유한 가치가 있음을 인정받았다고 추측할 수도 있고요. 이렇게 생각하면 두 번째 창조에서 식물들이 사람보다 늦게 등장하는 것도 쉽게 설명이 됩니다.


두 번째 창조이야기는 창조의 구체적 순서에는 크게 관심이 없습니다. 하나님이 창조하신 사람이 에덴 안에서 겪는 사건에 더 관심이 있죠. 따라서 식물에 대한 언급도 에덴동산에서 살아갈 사람을 위해 주어졌다는 취지로 나오게 됩니다. 창조된 순서보다는 중요성에 맞춰 쓰다 보니 사람 창조 이후에 등장하게 됐습니다.



총회

더보기
총회 현안에 왜곡․확대 해석은 공멸의 길
존경하는 3500여 침례교회 동역자 여러분! 무더운 여름의 끝자락에서 불철주야 목회의 사명을 감당하고 계시는 동역자들을 위로하고 격려합니다. 114차 총회는 115차 정기총회를 준비하며 교단의 현안을 제대로 바라보고 우리의 문제와 위기를 직시하며 모든 것을 하나님의 뜻으로 여기기 위해 만반의 준비를 다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총회를 비롯해 한국침례신학대학교 관련 현안에 대해 사실과는 다른 이야기로 왜곡되거나 잘못된 방향으로 확대 해석되는 상황들이 벌어지고 있어, 총회장으로서 이 문제를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한국침신대가 ‘평가 인증 유예’에 대해 대의원들이 알아야 할까요? 지난 2025년 6월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평가에서 한국침신대가 ‘인증 유예’ 결과를 받게 됐습니다. ‘인증 유예’라는 생소한 단어 때문에 한국침신대를 사랑하는 모든 침례교 목회자들은 의구심과 혼란에 빠졌습니다. 더 안타까운 사실은 왜곡된 정보, 제한된 정보, 진영에 입각한 해석에 근거한 정보가 인터넷 언론과 SNS 등을 통해 무차별적으로 유포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우리 침례교단은 과거 왜곡된 정보와 제한된 정보, 진영에 입각한 해석에 근거한 정보로 교단의 자랑이었던 침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