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지구 없이 교회가 존재할 수 있겠는가?

한국교회 탄소중립 캠페인-7
이박행 목사
생명신학포럼 총무

지금은 지구 비상사태이다.
매우 이례적으로 극단적인 이상기후 현상의 빈도수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살인적인 폭염, 엄청난 폭우와 대홍수, 통제 불능의 태풍, 빈번한 산불, 극심한 가뭄 등 지구 조절 시스템이 붕괴 직전이다.


지금 우리는 매우 긴박한 ‘기후 비상사태’에 처해 있다. 이 같은 위기의 원인은 산업화 이후 인간이 내뿜는 ‘탄소’다. 그래서 전 세계는 지금 화석연료 사용을 줄이고 2050년까지 탄소 순 배출량을 ‘제로’로 만들자며 탄소중립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하지만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회(IPCC)가 최근 발표한 제6차 보고서에서 보듯, 전 세계적으로 탄소 감축을 위해 합의한 행동이 지켜지지 않고 있다. 더구나 무한 경쟁과 무한 성장을 추구하며 대량생산, 대량소비, 대량 폐기를 반복하고 있는 탐욕의 악순환은 끊어내기가 쉽지 않다. 지금 당장 소비를 통해 자신의 존재가치, 사회적 지위, 행복감을 확인하는 소비지향적 삶을 끊어내고 기후 위기에 비상하게 대처해야 한다. 


함께 지속 가능한 경제적 책임을 다해야!
전 세계 과학자들은 2028∼2034년에 지구 평균 온도가 산업화 이전보다 1.5℃ 높아질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예상 시기보다 10년이 앞당겨졌다. 1.5℃를 넘어서면 기후재앙이 일상화하고, 상황을 돌이킬 수도 없게 된다. 1.5℃는 인류 생존을 위한 일종의 마지노선이다.


이를 지키기 위해, 온실가스 배출과 자연 파괴를 최소화하는 생태적 경제체제로 바꿔야 한다. 즉, 대량생산 대량소비 대량폐기로 인해 자원이 고갈되고 온실가스와 쓰레기는 한없이 늘어나는 단선형 경제에서 벗어나, 생산 소비 폐기의 과정이 순환되는 순환 경제로 전환하는 일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한국교회가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하는 생태적 삶을 실천해 에너지 수요를 줄이고, 재생에너지 생산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육류보다는 곡 채식 위주의 식사를 하며, 일회용품과 플라스틱, 과포장 등의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고, 대중교통을 즐기며 전기차로의 전환에 힘쓸 것을 호소한다. 


생태사회로 전환을 촉구하는 정치 윤리적 책임을 수행해야!
전 세계가 2030년까지 2019년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을 43% 감축하고, 2050년까지 배출량을 제로화하는 탄소중립을 목표로 노력하고 있다. 이 일은 각국의 정부와 기업이 힘든 희생을 각오하면서 실행하려고 할 때 비로소 이룰 수 있다. 이에 정부와 기업은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노력을 획기적이고도 과감하게 축소하여 화석연료에 기반을 둔 산업체계에서 지속 가능한 재생에너지에 기반한 산업체계로 구축할 것을 촉구한다. 


과연 지구 없이 교회가 존재할 수 있을까? 새 하늘과 새 땅이 어떻게 올 것인가? 종말에 이 세상은 불타 없어지지 않고 총괄 갱신될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창조 세계 안에서 하나님이 창조하신 목적을 기억하며, 모든 생명과 더불어 공생 공존하는 삶을 살아나가야 할 것이다. 



총회

더보기
115차 선관위, 총회 의장단 후보 출정 예배
115차 총회 선거관리위원회(위원장 홍석오 목사, 서기 윤찬호 목사, 선관위)는 지난 8월 28일 총회 의장단 후보 본등록을 진행한 뒤, 총회 대예배실에서 의장단 후보 출정예배를 드렸다. 이날 총회장 후보 본등록에 기호 1번 디딤돌교회 김선배 협동목사와 기호 2번 공도중앙교회 최인수 목사가 각각 총회장 후보로 등록했으며 1부총회장과 2부총회장은 후보자가 없어 등록이 이뤄지지 않았다. 출정예배는 선관위 서기 윤찬호 목사(우리)의 사회로 선관위 부위원장 이선경 목사(예그린)가 대표로 기도하고 선관위 배정숙 목사(브니엘)가 성경을 봉독한 뒤, 이욥 총회장(대전은포)이 “하나님이 세워주시는 총회”(시 127:1~2)란 제목으로 설교했다. 이욥 총회장은 설교를 통해, “펜윅 선교사의 복음 사역으로 세워진 교단이 오늘까지 이어져 온 것은 전적으로 하나님의 은혜”라며 “총회장으로 1년을 섬기면서 절실하게 깨달은 것은 하나님께서 세워주시고 지켜주시지 않으면 우리의 모든 수고가 헛되다는 사실이다. 선관위는 선거법에 따라 억울한 피해를 당하는 후보가 나타나지 않도록, 후보는 비방과 고소고발보다 정책을 가지고 교단을 바로 세우는 일에 집중하는 선거가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