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월 총회 주일을 맞이하며


1889년 침례교단을 창설하고 교단명을 여러 번 변경했다.


1. “대한기독교회

1906년 제1회 대화회(大和會, 총회)를 강경교회에서 개최하고 교단 명칭을 대한기독교회라고 하고 펜윅 선교사를 초대 감목(총회장)으로 추대했다. 또한 대화회는 선교본부를 원산에 두고 전도지역을 한국과 남북 만주, 러시아, 시베리아 지역으로 확장키로 했다.

 

2. “동아기독교회

1921년 제16회 대화회를 경북 광천교회에서 개최하고 교단 포교(전도)지역인 동아시아 지역을 확장됨에 따라 교단 명칭을 동아기독교회로 변경했다. 이유는 일본제국이 한국을 강제 침탈하고 대한은 소멸됐으니 사용하지 못하도록 온갖 핍박을 가했을 뿐 아니라 침례교회를 대한독립운동을 하는 단체로 여겨 일본의 강요로 부득이 교단명을 변경했다.

 

3. “동아기독대()”

1933년 제29회 대화회를 원산에서 개최하고 교단 명칭을 동아기독대()로 변경하기로 가결했다. 이유는 교회라는 명칭을 기독교외 종교단체에서도 사용하고 또 교회가 날로 세속화되어 하나님의 성별 단체를 구별할 수 없게 됨으로 성경상 양() 무리라는 뜻을 따라 대()라고 변경하기로 했다.

 

4. “동아기독교회

1940년 제35회 대화회를 원산에서 개최하고 교단 명칭을 동아기독교회로 환원하기로 가결했다. 이유는 일본이 태평양 전쟁을 일으킬 시기가 다가오면서 조선 강토가 군대 일색으로 변했고 교단 명칭이 대()라고 한 것을 일본이 군대 조직화하는 것으로 생각해 항시 주목하고 교회 탄압이 막대하게 되어 교단 명칭을 환원하기로 했다.

1940년에서 19466년간은 일본군의 교단 탄압으로 32명의 교단 지도자들이 투옥되고 교회종은 일본의 전쟁 무기 생산을 위해 강탈당했으며 교회 재상은 국방헌금이라는 명분으로 몰수하고 교단이 폐쇄 당해 대화회가 열리지 못했다.

그러던 와중에 19469월 제36회 대화회를 강경에서 개최하고 교단 직제 명칭을 변경했다. 당시 교단 직제는 대화회와 감목, 교회정치 등으로 있던 것을 대화회는 총회로, 감목을 총회장으로, 교회정치를 회중정치로 변경했다.

 

5. “대한기독교침례회

194939회 총회를 강경교회에서 개최하고 교단 명칭을 대한기독교침례회로 변경, 가결했다. 이유는 우리 교단이 타교단에서나 일반사회에서 침례교회라고 인식되기 시작했으며 앞으로 사업을 더욱 확장할 계획으로 해외교회와도 공통성이 있고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명칭으로 고친 것이다.

또 한 가지 주목할 부분은 195040회 총회를 경북 점촌에서 개최하고 미국 남침례교 외국선교부에서 에버네티 선교사(John Abernathy) 내외가 대한민국으로 파송받아 내한했다.

 

6. “대한기독교침례회연맹

1952년 제42회 총회를 부여 칠산에서 개최하고 교단 명칭을 대한기독교침례회연맹으로 변경, 규약을 제정, 통과했다.

또한 이 해는 재단법인을 설립하고 이사장에 안대벽 목사, 설립 이사에 에버네티 선교사외 5인을 선정했다.(문교부 문화 345, 1952225)

1953년에는 총회 첫 기관지인 “뱊티스트창간호가 발행됐다.

 

7. “기독교한국침례회

1976114일 총회는 교단 명칭을 기독교한국침례회로 변경,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다.

한국침례교회는 일본제국주의의 온갖 핍박과 억압 속에서도 굴하지 않았으며 한국전쟁 중에도 공산당에 신앙의 절개를 굽히지 않고 순교의 길을 걸어온 교단이다. 이런 자랑스런 침례교회의 역사를 모두가 함께 올바로 공유하고 계승·발전 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2월 총회 주일을 맞이해 복음과 세계선교를 주도하는 침례교회가 되도록 총회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격려를 부탁한다.

 

박남윤 목사 총회 전 재단사무국장



총회

더보기
총회 현안에 왜곡․확대 해석은 공멸의 길
존경하는 3500여 침례교회 동역자 여러분! 무더운 여름의 끝자락에서 불철주야 목회의 사명을 감당하고 계시는 동역자들을 위로하고 격려합니다. 114차 총회는 115차 정기총회를 준비하며 교단의 현안을 제대로 바라보고 우리의 문제와 위기를 직시하며 모든 것을 하나님의 뜻으로 여기기 위해 만반의 준비를 다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총회를 비롯해 한국침례신학대학교 관련 현안에 대해 사실과는 다른 이야기로 왜곡되거나 잘못된 방향으로 확대 해석되는 상황들이 벌어지고 있어, 총회장으로서 이 문제를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한국침신대가 ‘평가 인증 유예’에 대해 대의원들이 알아야 할까요? 지난 2025년 6월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평가에서 한국침신대가 ‘인증 유예’ 결과를 받게 됐습니다. ‘인증 유예’라는 생소한 단어 때문에 한국침신대를 사랑하는 모든 침례교 목회자들은 의구심과 혼란에 빠졌습니다. 더 안타까운 사실은 왜곡된 정보, 제한된 정보, 진영에 입각한 해석에 근거한 정보가 인터넷 언론과 SNS 등을 통해 무차별적으로 유포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우리 침례교단은 과거 왜곡된 정보와 제한된 정보, 진영에 입각한 해석에 근거한 정보로 교단의 자랑이었던 침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