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찬송에 숨겨진 이야기>그저 내 모습 이대로

김남수 교수 / 침신대 교회음악과

큰 죄에 빠진 날 위해(새282/통339)

작사: 샬롯 엘리엇(Charlotte Elliot, 1789~1871)

작곡: 윌리엄 브래드버리(William Batchelder Bradbury, 1816~1868)

 

프랑스의 시인이자 목회자인 헨리 말란(Henri Malan)은 영국 브라이튼에 있는 친구의 집을 찾아갔다. 절친한 사이인 성공회 신부 헨리 엘리엇의 몸이 불편한 여동생을 위로하기 위해 방문한 것이었다.

친구의 동생 샬롯 엘리엇(Charlotte Elliot)이 어렸을 때는 밝은 성격과 믿음을 가진 예쁜 소녀였다. 그러나 30세 쯤 됐을 때 병에 걸려 전신을 움직일 수 없는 불구자가 됐다. 그녀는 날이 갈수록 불평이 늘고 세상을 비관하기 시작했다. 성격은 날카로워졌고 신앙을 내동댕이치기에 이르렀다. 집 밖에는 나오지도 않고 방안에서 혼자 지냈으며, 식구들과 대화조차 끊어진지도 오래였다. 그야말로 엘리엇은 힘들고 외로운 시간을 보내고 있었다.


이런 엘리엇에게 멀리서 온 말란 목사의 말이 한마디도 들릴 리 없었다. 모든 말들이 허공에 메아리칠 뿐이었다. 그렇지만 말란 목사가 시를 쓰는 것에 대해 이야기를 시작하자 그녀의 닫힌 마음이 조금씩 열리기 시작했다. 이때다 싶어 말란 목사는 말을 계속 이어갔다.

엘리엇, 누구든지 아픔이 있지만 하나님은 견딜 수 있는 어려움을 주십니다. 그리고 하나님은 고난에서 승리한 사람을 사용하십니다. 지금의 당신 그대로를 하나님께 드리세요.”


네 모습 그대로 드리라는 말이 그녀의 마음을 두드렸다. 그때 그녀는 고개를 내저으며 말했다. “몸조차 가눌 수 없고, 마음도 삐뚤어졌고, 믿음도 없는 나같이 아무 쓸모없는 사람을 하나님이 어떻게 사용하신단 말이에요? 그럴 수 없어요!” 하지만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것이 그녀의 심정이었다. 왠지 하나님이 나같이 못난 자를 쓰실 수도 있다는 생각이 맴돌았다. 갑자기 눈물이 흐르기 시작했다. 그녀는 자신도 모르게 흐르는 회개의 눈물을 그칠 수 없었다. 말란이 다녀간 후 엘리엇은 죄에 빠져 허덕이는 자신을 사랑해 주시는 하나님을 목 놓아 찬양했다. 밀려오는 기쁨을 무엇으로도 표현할 수 없었다. “그저 내 모습 이대로주님께 거저 갑니다.” 그녀는 예수님의 보혈의 은혜로 내 모습 이대로 주님께 갈 수 있다고 몇 번이고 되새겼다.


엘리엇은 몸조차 가눌 수 없지만 하나님께서 약한 자를 들어 강한 자를 부끄럽게 하실 수 있음을 깨달았다. 이 믿음의 고백이 바로 찬송 큰 죄에 빠진 날 위해이다. 원어 찬송의 가사는 모든 절의 첫 행과 마지막 행이 같다. ‘그저 내 모습 이대로로 시작하여 , 하나님의 어린양이여, 제가 갑니다로 마친다. 이것은 날마다 하나님께 드리는 우리의 순수한 고백이 되어야 한다. 우리는 모든 연약함을 하나님께 맡겨야 한다.

 

그저 내 모습 이대로Just as I am

, 하나님의 어린양이여 O Lamb of God,

제가 갑니다. 제가 갑니다. I come, I come.

 

20세기 유명한 부흥사인 빌리 그레이엄 목사는 이 찬송을 부르며 회심했다고 한다. 그는 1934년에 노스캐롤라이나 샬롯(Charlotte)에서 열린 부흥사 햄(Mordecai Hamm)이 인도하는 집회에 참석하여 지옥과 심판을 선포하는 메시지와 찬송 큰 죄에 빠진 날 위해를 듣고 주님을 영접하게 됐다. 이 찬송에서 받은 감동으로 빌리 그레이엄 목사는 후에 집회를 인도할 때마다 청중들에게 있는 그대로 주님께 나오라고 초청하며 이 찬송을 수없이 불렀다.


하나님께서 한국 땅에 침례교회를 심은 선교사 말콤 펜윅(Malcolm Fenwick)을 처음 한반도로 부르셨을 때 펜윅은 자신의 연약함을 내세워 몇 번이고 주저앉았다. 며칠 뒤 저녁 예배에서 인도 지역 선교사인 로버트 와일더(Robert Wilder)가 사막에서 물을 구하다가 갈증으로 죽어가는 사람들을 예화로 들어 설교했다. 그 메시지를 들은 펜윅은 주님의 강한 부르심을 깨닫고 주님 뜻대로 살 것을 확고히 결심했다.


내가 비록 정규교육과 신학교육을 받지 못했고, 녹슬고 찌그러진 깡통 같지만 생명의 물을 나를 것입니다라고 응답했다. “주께로 거저 갑니다와 같은 고백이었다. 마침내 그는 주님의 부르심에 순종하여 선교사로서 첫발을 내딛었다. 1889, 미지의 땅 한국에 온 그는 죽어가는 수많은 영혼들에게 복음을 전해줬다.

 

큰 죄에 빠진 날 위해(282/339)

작사: 샬롯 엘리엇(Charlotte Elliot, 1789~1871)

작곡: 윌리엄 브래드버리

(William Batchelder Bradbury, 1816~1868)

 

1. 큰 죄에 빠진 날 위해, 주 보혈 흘려주시고

    또 나를 오라 하시니, 주께로 거저 갑니다

 

2. 내 죄를 씻는 능력은, 주 보혈밖에 없으니

    정하게 되기 원하여, 주께로 거저 갑니다

 

3. 큰 죄악 씻기 원하나, 내 힘이 항상 약하니

보혈의 공로 믿고서, 주께로 거저 갑니다

 

4. 내 죄가 심히 무거워, 구하여줄 이 없으니

   내 의심 떨쳐버리고, 주께로 거저 갑니다

 

5. 죄 용서하여 주시고, 내 마음 위로하심을

   나 항상 믿고 고마워, 주께로 거저 갑니다

 

6. 주 예수 베푼 사랑이, 한없이 크고 넓으니

   내 뜻을 모두 버리고, 주께로 거저 갑니다





총회

더보기
최인수 총회장 “희망과 변화를 이끌어내겠다”
115차 총회 81대 총회장 이·취임 감사예배가 지난 10월 24일 경기도 화성 라비돌리조트에서 총회 임역원과 교단 목회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1부 감사예배는 총회 전도부장 박한성 목사(세종꿈의)의 사회로 총회 군경부장 이길연 목사(새서울)가 대표로 기도하고 경기도침례교연합회 대표회장 이병천 목사(지구촌사랑)의 성경 봉독, 배진주 자매(공도중앙)의 특송 뒤, 이동원 목사(지구촌 원로)가 “깊은 데로 나아갑시다”(눅 5:1~6)란 제목으로 설교했다. 이동원 목사는 설교를 통해, “침례교 목회자의 특징이라고 하면 단순하게 말씀을 사랑하고 가르치는 것이며 그 말씀을 붙들고 최선을 다해 복음 전도에 우선순위를 다하는 것”이라며 “침례교회가 다시 부흥의 계절, 아름다운 침례교회의 계절을 맞이하기 위해서는 오직 말씀에 순종하고 복음을 전하는 일에 전념하는 총회가 돼야 하며 새로운 교단의 미래를 열어가기 위해 정직한 성찰과 회개로 과거를 극복하고 주님의 말씀만을 향해 나아가는 총회가 되기를 소망한다”고 전했다. 2부 축하식은 사회부장 윤배근 목사(꿈이있는)의 사회로 81대 총회장 최인수 목사(공도중앙)가 80대 총회장 이욥 목사(대전은포)에게 이임패를 증정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