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왕 VS 전능의 왕 빅토리아 여왕의 재위 60주년을 축하하기 위해 열린 잉글랜드의 ‘군사력 전시회’는 인류 역사상 아주 큰 행사로 알려진다. 영국의 시인들은 여왕으로 가장 오래 군림한 78세의 빅토리아 여왕에게 시를 헌정하여 존경을 표했다. 여왕을 찬양하는 열정적이고 감상적인 시들이 많이 기고되었지만 ‘런던 타임지’는 영향력 있는 시인이자 소설가인 조셉 키플링(Joseph Rudyard Kipling, 1865?1936, 영어권 작가로는 처음으로 1907년 노벨 문학상을 받음)이 공식적인 축하시를 써야한다고 주장했다. 키플링의 할아버지 두 분은 모두 감리교 목사였다. 돈독한 신앙을 유산으로 받은 그가 하나님이 아닌 세상의 왕을 찬양한다는 것이 그의 신앙에 맞지 않았다. 그래서 온 나라가 ‘군사력 전시회’로 떠들썩할 때 그는 조용히 ?용감한 선장?(Captains Courageous, 1897)이라는 소설을 쓰고 있었다. 기념제가 끝났지만 ‘런던 타임지’는 여전히 키플링의 축하시를 원했다. 거절하다 못해 그는 한 편의 시를 지었다. 곧 타임지 1면에 사람들이 바라던 키플링의 “퇴장찬송”(Recessional)이라는 시가 실렸다. 만군의 주 하나님이시여,
최근 일제강점기가 배경인 영화 <귀향>과 시인 윤동주의 삶을 그린 <동주>가 잔잔한 파문을 일으키고 있다고 합니다. 특별히 영화 <동주> 덕분에 젊은이들 사이에서 시집 읽기가 유행이라고 하니, 한국 사람들의 1년 간 책 읽는 양이 전 세계 최하위권이라고 하는데 그나마 다행인 것 같습니다. 기독교인들을 일컬어 흔히들 말하기를 ‘말씀의 사람들’이라고 합니다. 특별히 성경의 절대성을 신조로 삼는 침례교인들은 ‘책의 사람,’ 즉 ‘성경의 사람들’이 분명합니다. 우리 교회만 해도 매해 성경 일독을 실행하시는 ‘말씀의 사람들’이 많이 계십니다. 그리고 이 존경하는 믿음의 지체들은 가끔 이런 권면을 하십니다: “나이 들면 성경 읽고 싶어도 못 읽어요. 눈이 침침해 잘 보이지가 않아요. 건강할 때 성경 많이 읽어요.” 독서량이 전 세계 최하위권에 머문다는 우리나라! 그래도 성경통독 양만을 그렇지 않은 것 같습니다. 바야흐로 꽃샘추위의 심술도 끝나 가는 것 같습니다. 실내보다 실외가 더 따뜻한 계절... 창조주 하나님의 어김없는 초침 소리가 들리는 듯합니다. 꽃봉오리들을 쓰다듬는 바람의 소리도, 나무들에게 속삭이는 새들의 봄소식도 들리는 것
1. 만입이 내게 있으면 그 입 다 가지고 내 구주 주신 은총을 늘 찬송하겠네 2. 내 은혜로신 하나님 날 도와주시고 그 크신 영광 널리 펴 다 알게 하소서 3. 내 주의 귀한 이름이 날 위로 하시고 이 귀에 음악 같으니 참 희락되도다 4. 내 죄의 권세 깨뜨려 그 결박 푸시고 이 추한 맘을 피로써 곧 정케하셨네 1736년 1월, 존 웨슬리와 찰스 웨슬리를 태운 여객선은 영국을 떠나 신대륙의 조지아와 사우스캐롤라이나 사이에 흐르는 사바나 강(Savannah River)으로 향하고 있었다. 배에는 신대륙에 막 정착한 이주민들을 돕기 위해 가는 웨슬리 형제와 26명의 모라비아 교도들이 타고 있었다. 모라비아 교인들은 박해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예배할 수 있는 아메리카대륙을 찾아 가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갑자기 폭풍이 휘몰아 쳤다. 거센 바람은 순식간에 돛대를 두 동강 냈고 바닷물은 갑판을 거칠게 두들겨댔다. 선실의 승객들은 비명을 지르며 이리저리 날뛰었다. 죽음의 공포가 모든 탑승객들을 사로잡았지만 모라비아 교도들은 그 와중에도 흐트러짐 없이 갑판 위에서 찬송을 불렀다. 그들의 굳센 평온함에 홀린 웨슬리 형제는 흔들리는 난간을 꼭 붙든 채 신기하게 쳐다보기만
1. 죄 짐 맡은 우리구주 어찌 좋은 친군지, 걱정근심 무거운 짐 우리 주께 맡기세 주께 고함 없는 고로 복을 받지 못하네. 사람들이 어찌하여 아뢸 줄을 모를까 2. 시험걱정 모든 괴롬 없는 사람 누군가, 부질없이 낙심 말고 기도드려 아뢰세 이런 진실하신 친구 찾아 볼 수 있을까, 우리 약함 아시오니 어찌 아니 아뢸까 3. 근심걱정 무거운 짐 아니 진자 누군가, 피난처는 우리 예수 주께 기도드리세 세상친구 멸시하고 너를 조롱하여도, 예수 품에 안기어서 참된 위로 받겠네 1886년 8월 10일, 캐나다 라이스 호수(Lake Rice) 지역 주민들에게 짙은 먹구름 같은 슬픔이 들이닥쳤다. 존경받던 한 주민이 싸늘한 시체가 되어 호숫가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그 남자의 이름은 조셉 스크리븐(Joseph Scriven)이다. 66세인 그는 라이스호 지역에서 40년간 살아왔다. 스크리븐은 한 곳에 머무르지 않고 여러 친구들의 집을 이리저리 돌아다니며 살았다. 그런 그를 잘 알던 동네 사람들은 그의 죽음이 너무도 안타까웠다. 아일랜드의 수도 더블린(Dublin)에서 태어난 스크리븐은 부유한 가정에서 자라났다. 그는 더블린의 트리니티대학을 졸업하고 어여쁜 아가씨와
내 너를 위하여(새311/통185) 작사: 프란시스 하버잘 (Frances Ridley Havergal, 1836-1879) 작곡: 필립 블리스 (Philip Paul Bliss, 1838-1876) 불에 타지 않는 종이 1. 내 너를 위하여 몸 버려 피 흘려 네 죄를 속하여 살 길을 주었다 널 위해 몸을 주건만 너 무엇 주느냐 2. 아버지 보좌와 그 영광 떠나서 밤 같은 세상에 만백성 구하려 내 몸을 희생했건만 너 무엇 하느냐 3. 죄 중에 빠져서 영 죽을 인생을 구하여 주려고 나 피를 흘렸다 네 죄를 대속했건만 너 무엇 하느냐 4. 한없는 용서와 참 사랑 가지고 세상에 내려와 값없이 주었다 이것이 귀중하건만 너 무엇 주느냐 몸이 아주 허약한 아가씨가 한 미술관에 앉아있었다. 22세 된 영국인 프란시스 하버잘(Frances Havergal)이었다. 하버잘은 아버지의 권유로 학교를 쉬며 여행을 하던 중 친구 집을 방문하기 위해 독일 뒤셀도르프에 머물고 있었다. 미술관을 둘러보다 곧 피곤을 느낀 그녀는 우연히 십자가에 달려있는 예수님이 그려진 그림 앞에 앉아쉬게 되었다. 그림에는“보라 이 사람이로다”(ECCE HOMO; 에케 호모)라는 제목이 붙어 있었다.
작사 새뮤얼 스테넷 (Samuel Stennett, 1727~1795)작곡: 토마스 헤이스팅스 (Thomas Hastings, 1784~1872)5대를 이어 목회한 가문1. 빛나고 높은 보좌와, 그 위에 앉으신, 주 예수 얼굴 영광이, 해 같이 빛나네2. 지극히 높은 위엄과, 한없는 자비를 뭇 천사소리 합하여, 늘 찬송 드리네3. 영 죽을 나를 살리려, 그 영광 떠나서 그 부끄러운 십자가, 날 위해 지셨네4. 나 이제 생명 있음은, 주님의 은혜요 저 사망 권세 이기니, 큰 기쁨 넘치네5. 주님의 보좌 있는데, 천한 몸 이르러 그 영광 몸소 뵈올 때, 내 기쁨 넘치리 한 젊은 목사는 런던 ‘리틀 와일드가 침례교회’에서 10년 동안 부목사로 섬겨왔다. 31세가 된 그는 이제 막 담임목사로서 사역을 시작하게 되었다. 전 담임목사인 조셉 스테넷 2세(Joseph Stennett II)가 세상을 떠나자 교회는 지금까지 최선을 다해온 젊은 부목사를 새로운 목회자로 청빙한 것이다. 그는 얼마 전에 돌아가신 전 담임목사의 아들 새뮤얼 스테넷(Samuel Stennett) 이었다. 젊은 새뮤얼 스테넷은 자신이 전임자만큼 좋은 사역자가 되어야한다는 부담감과 함께 사역을 물려
10월의 달력을 살펴보다가 눈에 띄는 날이 마지막 날이었다. 책상 위에 달력에는 올 해 10월의 마지막 토요일에 작은 글씨로 ‘종교개혁일’이라고 적혀있었다. 이 날은 공교롭게도 고대 켈트인의 삼하인(Samhain) 축제에서 비롯된 할로윈 데이라는 지극히 미신적인 축제일과 겹치는데 그래서 이 날이 더 의미 있게 다가온다. 마틴 루터가 1517년 비텐베르크 성안 교회당 정문에 95개조의 논조라는 문서를 붙인 사건을 기념하는 날이 종교개혁일이라는 것이 보편적인 사전적 이해이다. 그러나 이 날은 예수 그리스도의 메시야 되심이 다시 선포되고 복음이 제대로 전달되어 질 수 있는 통로가 만들어 진 날이기에 세월이 지나도 기독교인들이 기억하고 기념해야 하는 날이다. 이 날의 중요성과 의미를 음악으로 표현한 작곡가가 있다. 바로 독일의 작곡가, 멘델스존(Jakob Ludwig Felix Mendelssohn-Bartholdy, 1809~1847)이다. 유대인이지만 개종한 기독교인으로 평생을 음악을 통해 하나님을 찬양한 작곡가 멘델스존은 5개의 교향곡을 작곡했는데 그 중 마지막 5번 교향곡이‘종교개혁 교향곡’작품 107번이다. 이 작품은 1830년 종교개혁 300년을 기념 축
작사: 찰스 웨슬리 (Charles Wesley, 1707-1788) 작곡: 시메온 마쉬 (Simeon Butler Marsh, 1798-1875) 멈추지 않고 찬송을 쓰다 1. 비바람이 칠 때와 물결높이 일 때에, 사랑 많은 우리 주 나를 품어 주소서 풍파 지나가도록 나를 숨겨주시고, 안식 얻는 곳으로 주여 인도하소서 2. 나의 영혼 피할 데 예수 밖에 없으니, 혼자 있게 마시고 위로하여 주소서 구주의지 하옵고 도와주심 비오니, 할 수 없는 죄인을 주여 보호하소서 3. 전능하신 예수께 나의 소원 있으니, 병든 자와 맹인을 고쳐주심 빕니다 나에게는 죄악이 가득하게 찼으나, 예수께는 진리와 은혜 충만 하도다 4. 나의 죄를 사하는 주의 은혜 크도다. 생명수로 고치사 나를 성케하소서 생명수는 예수니 마시게 하시옵고, 샘물처럼 내맘에 솟아나게 하소서 1788년 3월 29일 따스한 봄날이었다. 80세의 찰스 웨슬리는 런던의‘시티 로드 채플’(City Road Chapel)에서 마지막 설교를 마쳤다. 그의 임종은 가까워 왔고, 29명의 친구들이 마지막을 함께하기 위해 찾아왔다. 가까운 지인들에게 둘러싸인 찰스 웨슬리는 시편 한 구절을 읊었다. “내게 호흡이 있는 동
작사: 주요한(1900-1979) 작곡: 구두회(1921-) “자녀이신 여러분, 주 안에서 여러분의 부모에게 복종하십시오. 이것이 옳은 일입니다. ‘네 부모를 공경하여라’고 명령한 계명은 약속이 딸려 있는 첫째 계명입니다. ‘네가 잘 되고, 땅에서 오래 살 것이다’ 한 약속입니다”(엡 6:1~3).이 땅에 사는 모든 사람들에게 부모님은 마음과 정서의 고향이다. 몇 년 전 상영된 영화‘엄마’는 어지럼증으로 차를 타지 못하는 늙은 어머니의 이야기이다. 막내딸의 결혼식에 참석하기 위해 전라도 해남에서 목포까지 이백리 길을 3박4일 동안 걸어서라도 가신 분이 우리의 어머니이다.“너를 낳은 아비에게 청종하고, 네 늙은 어미를 경히 여기지 말지니라”(잠 23:22). 또한“네 부모를 즐겁게 하며 너를 낳은 어미를 기쁘게 하라”(25절)고 성경은 말씀하고 있다. 자녀는 낳아주신 부모의 기쁨이 되어야 한다. 하나님의 말씀을 거역하는 것이 아니라면 부모님의 말씀에 순종해야 한다.시어머니의 기쁨이 된 룻은 젊은 나이에 남편을 잃고, 홀로 된 시어머니를 모시고 살았다. 시어머니인 라오미는 무엇하나 해 줄 능력도 없고 희망도 사라져 룻에게“살길을 찾아서 이제 내 곁을 떠나라”(
아침저녁으로 느껴지는 제법 서늘한 기운은 이제 가을이 깊어가고 있음을 알려준다. 가을이 되면 누구나 철학자가 된다고 했던가? 가을은 뒤를 돌아보게 하고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게 하는 이상한 힘을 가진 계절이라는 의미라는 뜻인 것 같다. 아무튼 가을이 오면 우리는 뭔가에 이끌리듯 감성적인 많은 일들을 하려고 한다. 올해도 어김없이 가을이 거는 마법과 같은 지극히 개인적인 의식을 치르며 조금 씩 가을이 물들어간다.누구나 조금은 쓸쓸해지고, 또 조금은 차분하게 가라앉는, 이런 가을을 위해 작곡된 것 같은 음악이 있다. 바로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의 클라리넷 협주곡 K. 622번이다. 이 작품의 2악장은 시드니 폴락 감독의 1985년 영화, “Out of Africa”의 배경음악으로 등장해 더 유명해 진 음악이다.클래식 작곡가 중에서 가장 유명한 인물 중에 한 사람인 모차르트는 질풍노도의 시기였던 18세기에 오스트리아에서 태어난 신동 음악가라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우리는 그가 지나치게 열성적인 아버지와 음악에 재능을 나눈 누나가 있었고 4살의 어린 나이에 대중 앞에서 연주를 하였을 뿐 아니라 작곡까지 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