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도한호 교수의 목회와 상식’- 70

소개와 호칭

인사와 소개

안면이 있는 사람끼리 만나면 서로 인사하면 되려니와 낯 선 사람을 만나면 누구인가 소개해야 한다. 그런데 우리 사회는 동행인을 소개하는 데 익숙하지 않아서 예를 그르치는 일이 잦은 것 같다.

어떤 모임에 초청을 받고 참석했는데 초청인이 자기를 소개해주지 않으면 참석자는 자신이 가지 못할 자리에 갔거나 무시당했다고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사적인 자리에서 소개를 받지 못하자 스스로 일어나서, “저는 라고 합니다하고 자기 소개를 하는 이도 보았다.

공사(公私) 간에 동행인과 함께 낯 선 사람을 만날 때는 상대방에게 자기의 동행인을 소개해야 한다. 기성 목회자들은 누구나 소개 받고 소개하는 것에 대해서는 달인의 경지에 있을 것이다. 목회실습 기간에 눈여겨보면서 익혀둘 항목이다.


바른 호칭

1960년대 말 한미전도대회에 참가하는 텍사스 주 전도단을 맞이하기 위해 김포 공항에 간 일이 있었다. 그들을 만나서 함께 주차장에서 차를 기다리는 중에 전도단 인솔자 칼빈 비치 목사가 내게, “하우 켄 아이 어드레스 유?” 하고 말했다. 나는 그가 나의 집이나 일터의 주소를 묻는 것으로 생각하고 그런 쪽으로 대답을 얼버무렸다.

그런데 그 질문이 석연치 않아서 당시 연희동과 수색 지역을 담당했던 구두원(Goodwin) 선교사에게 물었더니 그것은 주소를 묻는 말이 아니라 호칭을 묻는 말이니, “콜 미 한호[한호라고 불러주세요]” 하라고 일러주었다.

이튿 날 그들을 만나서 정정기사를 내고 한 참 웃은 일이 있었다. 이것은 필자가 영어를 알아듣지 못해서 일어난 실수였으나 전체적으로 한국인은 호칭을 결정하지 못하고 우물쭈물 넘기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 직장인이면 직함을 부르고 신자인 경우 교회의 직분을 부르면 무난하겠지만 상대방이 직무와 관련된 일을 할 때나 공적인 장소에서는 그의 사회적 직함을 불러주는 것이 좋을 것이다.


호칭이 어려운 겻은, 여성의 경우 “00하고 이름을 불러야 할지, 그 집 아이들 이름으로 “00 어머니해야 할지 당황스러운 경우가 종종 있다. 처음 만난 사람들이 서로 어떻게 부를까요?” 라든가, “이렇게 불러 주세요하고 적극적으로 의사를 표시하지 않는 한 상대방이 가지고 있었거나 현재 가지고 있는 가장 명예스러운 직함이나 신분과 연관된 호칭으로 불러주는 것이 좋을 것이다. “호칭 사용으로 사람을 잃을 수도 있고 얻을 수도 있다는 사실을 명심하고 목회 초기부터 잘 익혀두어야 할 덕목이다.

(정정: 칼럼41예언과 성취” 5, 아담의 범죄로 뱀과 땅은 저주 받았으나, 인간은 형벌 받은 것으로 정정합니다.)



총회

더보기
최인수 총회장 “희망과 변화를 이끌어내겠다”
115차 총회 81대 총회장 이·취임 감사예배가 지난 10월 24일 경기도 화성 라비돌리조트에서 총회 임역원과 교단 목회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1부 감사예배는 총회 전도부장 박한성 목사(세종꿈의)의 사회로 총회 군경부장 이길연 목사(새서울)가 대표로 기도하고 경기도침례교연합회 대표회장 이병천 목사(지구촌사랑)의 성경 봉독, 배진주 자매(공도중앙)의 특송 뒤, 이동원 목사(지구촌 원로)가 “깊은 데로 나아갑시다”(눅 5:1~6)란 제목으로 설교했다. 이동원 목사는 설교를 통해, “침례교 목회자의 특징이라고 하면 단순하게 말씀을 사랑하고 가르치는 것이며 그 말씀을 붙들고 최선을 다해 복음 전도에 우선순위를 다하는 것”이라며 “침례교회가 다시 부흥의 계절, 아름다운 침례교회의 계절을 맞이하기 위해서는 오직 말씀에 순종하고 복음을 전하는 일에 전념하는 총회가 돼야 하며 새로운 교단의 미래를 열어가기 위해 정직한 성찰과 회개로 과거를 극복하고 주님의 말씀만을 향해 나아가는 총회가 되기를 소망한다”고 전했다. 2부 축하식은 사회부장 윤배근 목사(꿈이있는)의 사회로 81대 총회장 최인수 목사(공도중앙)가 80대 총회장 이욥 목사(대전은포)에게 이임패를 증정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