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코로나19 팬데믹에 한국교회 신뢰도 11%p 급락

국민 86% 종교의 자유 제한 찬성해 충격

    

지난 1년간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으면서 한국교회의 신뢰도가 급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종교의 자유를 공익을 위해 제한할 수 있다는 응답이 지난해 859%에서 올해 186%로 대폭 상승한 것으로 조사돼 큰 충격을 주고 있다.

목회데이터연구소(대표 지용근)는 지난 112~15일 일반국민 1000명을 대상(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3.1%p)으로 코로나19 정부방역조치에 대한 일반 국민평가조사를 발표했다. 조사방식은 온라인으로 진행됐다.

 

이번 설문조사에 따르면 코로나19 발생 직전인 20201, 기윤실에서 측정한 한국교회 신뢰도는 32%였다. 1년 후인 20211월 동일한 문항으로 조사한 한국교회 신뢰도는 21%1년간 무려 11%p가 하락한 것이다. 이는 코로나19로 인해 한국교회가 신뢰도에 얼마나 큰 타격을 받았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한국교회 신뢰도를 개신교인비개신교인으로 나눠 살펴보면, ‘개신교인70%, ‘비개신교인9%로 극명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회데이터연구소는 비개신교인의 한국교회 신뢰도가 10%도 안 되는 상태로 떨어졌는데, 이 정도면 전도와 선교 활동에 매우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고 우려했다. 지난 121일 질병관리청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교회발 확진자 비율은 전체 감염자 중 11%로 종교시설 확진자인 17%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그런데 이번 목회데이터연구소의 조사에 따르면 국민들이 느끼는 교회발 감염 비율이 44%로 과장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목회데이터연구소는 한국교회의 적극 적인 대국민 홍보와 언론 대책이 아쉬운 대목이 라고 지적했다.

국민들은 코로나19 기간 중 개신교 내에서 논란이 됐던 종교의 자유를 국가가 제한할 수 있느냐는 물음에 86%그렇다고 응답해 교회를 향한 국민들의 분노가 무시할 수준이 아님을 짐작케 했다. 지난해 8월 예장합동에서 실시한 조사 당시 국민 59%가 종교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다고 응답한 바 있다.

 

목회데이터연구소는 교회 내적 활동의 위기도 위기지만 더 큰 위기는 교회에 대해 일반 국민이 혐오의 대상이라고 할 정도로 기피의 대상이 됐다는 것이라며 모든 교회나 교계 단체는 기독교가 존망의 기로에 서 있다는 위기의식을 가지고 개교회주의에서 벗어나 교계 지도력을 세워야 한다고 촉구했다.

범영수 차장



총회

더보기
FMB, 7회 선교포럼 통해 미전도종족 선교 비전 공유
우리교단 해외선교회(이사장 김종성 목사, 회장 주민호 목사, FMB)는 지난 10월 13~15일 2박 3일간 천안 소노벨리조트에서 ‘7회 FMB 선교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선교포럼은 “아직도, 아무도 선교하지 않은 곳! 미전도, 비접촉종족”이란 주제로 파송·후원 교회 리더들이 한자리에 모여 구체적인 방향성을 공유하고, 급변하는 시대 속에서 우리 교단이 감당해야 할 새로운 선교의 길을 모색했다. FMB 이사장 김종성 목사(부산)는 환영사를 통해 “선교포럼이 시작된 이유는 선교 인프라를 좀 더 확장하기 위함”이라며, “이제 다양한 미래 환경의 도전 앞에 머리를 맞대고 주님의 인도와 지혜를 모아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개회예배는 FMB 주민호 회장의 사회로 시작했다. 김종성 이사장의 기도 후 우리교단 총회장 최인수 목사(공도중앙)가 “보냄을 받은 예수 그리스도”(요한 12:1~2)란 제목으로 설교했다. 최 목사는 설교를 통해 “우리가 붙들어야 할 진리는 예수 그리스도만이 유일한 구원의 이름이라는 사실”이라며 “이 믿음이 성령을 통해 각자의 영혼에 담겨, 예수 잘 믿는 선교포럼으로 이어지기를 축복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총회 총무 김일엽 목사는 격려사를 통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