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집사’도 아니고 ‘목사’도 아닌 것이

염정옥 사모
백양로교회(장근철 목사)

저는 1958년도에 산 속에 있는 작고 가난한 교회 전도사의 여섯 딸 중의 셋째 딸로 태어났습니다. 사례비도 거의 없는 작은 교회라서 니콜스 선교사님이 미국으로 입양을 권유했으나 다행히 여기에 남게 됐습니다. 에벤에셀 하나님을 찬양합니다.


제 인생에 첫 번째 신앙적인 변화는 중3 때 일어났습니다. 여름 방학 때 나무 그늘에 배를 깔고 누워서 방학숙제를 하고 있었습니다. 그날의 나의 고민은 이런 것이었습니다. 어느 날 갑자기 내가 하나님 앞에 섰을 때 부끄럽지 않으려면 무슨 일을 하면서 살아야 할까? 돈을 많이 벌어서 헌금을 해볼까? 여군이 되어서 나라를 위해 일해볼까? 기타 등등 선풍기도 없이 너덜너덜하게 찢어진 부채를 열심히 부쳐대도 땀이 줄줄 흐르는 한낮의 폭염 속에서, 어머니는 한복을 입으시고 아버지는 검은 양복 차림으로 심방을 다녀오셨습니다. 어머니는 그날 그 더위에 제대로 열을 받으셨습니다. 


대문 안에 들어서자마자 심방 가방을 냅다 마루로 휙~ 던지면서 “에잇! 빌어먹을 것 못해 먹겠다!” 하시는 겁니다. 저는 어머니의 그 모습을 보고 크게 깨달았습니다. 아하! 하나님의 일은 하기 싫어서 저렇게 억지로 해도 복을 받는구나! 나도 사모가 되어야지~! 사모로 살면 하나님 앞에 섰을 때 부끄럽지 않겠지? 그날부터 사모가 되기를 기도했고 억지로 십자가를 진 구레네 시몬이 저의 신앙 모델이 됐습니다.


그때 당시 저의 아버지는 교회를 옮길 때마다 어머니를 앞에 앉혀놓고 신신당부를 하셨습니다. “여보, 이사 가면 제발 욕 좀 하지 마시오. 교인들 부끄러워서 목회를 못하겠소.” 그 약발이 1주일 갔습니다. 그 아름다운 1주일이 지나면 어머니의 입에서는 방언 터지듯이 욕이 터져 나왔습니다. “야, 이년들아, 이 썩을 년들아, 말 좀 들어라!” 등등.


우리 여섯 명의 딸들은 어머니의 욕을 먹고 자랐습니다. 점점 내성이 생겨서 어머니가 아무리 욕을 해도 끄떡없었습니다. 어머니가 불러도 여전히 대답하지 않고 못들은 척 했습니다. 어머니는 우리 교회에서 욕을 제일 잘하는 ‘욕쟁이 사모님’ 이란 별명이 생겼습니다.


제 인생에서 두 번째 변화가 일어났습니다. 사모가 되기로 기도한 지 11년 만에 남편 될 사람을 만났습니다. 그 남자의 팔꿈치가 너무 예뻐서 반했습니다. 만 4년을 연애하고 이제 결혼을 해야 하는데 시아버지 되실 분이 반대를 하시는 겁니다. 


당시에 시아버님은 부산 침례교단 전체에서 제1호 안수집사님이셨고, 가난하지만 정말 정직하시고 돈 관계도 깨끗하시고 성실하시고 성격이 곧으시고 믿음으로 살기를 힘쓰고 애쓰는 분이셨습니다. 울진 출신의 장후택 시아버님은 다섯 형제 중에서 맨 처음으로 예수님을 믿으셨고 형제들을 다 전도했으며, 막내 동생 앞에서는 무릎을 꿇고 예수님을 전하셨다고 들었습니다. 그래서 저희 시댁 집안 전체가 예수님을 믿고 목회자와 선교사 집사가 무수히 많이 나왔습니다. 하나님의 나라는 작은 겨자씨에서 시작해 큰 나무 되게 하시는 은혜였습니다. 


하나님을 찬양합니다.
 



총회

더보기
총회 선거관리위원회 의장단 공개토론회
총회 선거관리위원회(위원장 홍석오 목사, 서기 윤찬호 목사)는 지난 9월 4일 여의도 총회빌딩 13층 대예배실에서 115차 총회 의장단 후보자 공개토론회를 열었다. 이날 공개토론회는 선관위 백남천 목사(천안중앙)의 사회로 시작해, 서기 윤찬호 목사(우리)의 기도와 홍석오 위원장의 인사말이 이어졌다. 홍 위원장은 “공개토론회를 열 수 있도록 마음을 모아 주신 데 감사드리며, 공정하게 선거운동에 임해 준 두 후보에게 진심으로 감사한다. 오늘 이 자리를 통해 어떤 후보자가 교단을 위해 총회장의 직무를 잘 감당할 수 있을지를 깊이 고민하는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날 토론은 선관위 부서기 서광선 목사(서광)의 진행으로, 기호 1번 김선배 목사(디딤돌 협동)와 기호 2번 최인수 목사(공도중앙)의 약력 소개 후 토론 방식이 안내됐다. 이어 공통질문으로 △총회장 출마 목적과 비전·정책 △임기 동안 우선 추진할 핵심 사역 △다음 세대 이탈 현상에 대한 대책 △은퇴 목회자 지원 방안 △미자립교회 지원 정책 △한국침례신학대학교 당면 과제 해결 방안 등에 대한 문답이 있었다. 후보자들은 각 질문에 대한 입장과 공약을 발표한 뒤, 상호 교차 질문과 답변을 주고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