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계의 상황에서, 소위 킹제임스성경 유일주의(King James Bible Onlyism)를 추종하는 부류는 크게 둘로 나뉜다. 90년대 초에, 탁명환과 최삼경으로부터 공격을 받았던 서달석, 그리고 곧바로 등장한 이송오, 이 두 사람과 그 각각의 진영은 일종의 급진파로서 1611년 킹제임스성경을 철저하게 추종하지 않는 사람들을 참된 구원이 없는 사람들, 즉 진짜 기독교인들이 아니라고 여긴다. 이들은 자신들을 ‘성경을 믿는 자들’(Bible-believers)이란 용어로 지칭함으로써, 자신들 이외의 신자들을 ‘성경을 믿지 않는 자들’이라고 간단히 정리한 셈이다. 간단히 말하자면, 자신들만이 바울의 안디옥교회 전통, 말씀을 말씀 그대로 믿는 신앙전통과 유산을 계승한다고 믿으며, 자신들 이외의 사람들을 오리겐처럼 철학에 의해 신앙을 변질시킨 알렉산드리아 전통을 계승한다고 믿는다. 오리겐이 변개한 ‘거짓된 성경’을 콘스탄티누스 황제가 기독교를 공인하고 국교화해 황제주의적 기독교를 창안하는데 이용했고, 이 사탄적 교회가 로마 가톨릭으로 성장했고, 여타의 개신교회들은 사실상 로마 가톨릭의 변종들이라고 믿는다.
킹제임스 유일주의라는 동일한 신조를 고수하지만, 서달석과 이송오보다 온건한 부류에 속한다고 분류되는 사람이 사랑침례교회를 세우고 목회하는 정동수라는 사람이다. 정동수가 온건파로 여겨지는 까닭은 서달석과 이송오가 개역한글을 사탄이 변개한 성경으로 간주하고, 거짓 성경이기에 아무리 읽어도 하나님을 알 수 없고 구원을 받을 수 없다고 노골적으로 반대하는 데 반해 정동수는 서달석과 이송오의 행태를 거부하고 반대한다. 정동수는 최대한 정통주의 교회 쪽으로 다가오는 모습을 보이고자 한다. 여기에서 상대적으로, 정동수는 모순을 내포하게 된다. 기본적으로 ‘킹제임스성경 유일주의’ 논리를 채택하면서도 그 자연스러운 논리적 귀결을, 그 과격한 지점에 도달하기 직전에 돌연 중단하거나 엉뚱한 길로 대체하려고 시도하기 때문이다.
엄밀하게 따져보면, 킹제임스 유일주의자들은 1611년 킹제임스성경의 비할 수 없는 탁월성을 인정하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실상은 딴판이다. 이들은 미국식 무속신앙이라고도 할 수 있을, ‘세대주의자(들)’ 이외의 다른 누구도 아니다. 그저 세대주의자들일 뿐이며, 그 성경관이란 것이 그저 1909년에 출간된 ‘스코필드’ 성경을 추종하는 것에서 조금도 벗어나지 않는다. 이들은 1611년판 킹제임스 성경을 과격파에서는, 유일하게 영감받은 신성한 책, 말 그대로의 ‘Holy Bible’로 간주하고 온건파도 크게 다를 것이 없지만 실상은, 1909년 스코필드 성경의 영어본문을 고집하는 것에 불과하다. 그런 점에서 이들이 1611년 킹제임스 성경을 내세우는 ‘킹제임스성경 유일주의’는 ‘조작된 신화’라고 부를만한 것이라는 것이 필자의 확신이다.
그렇다면 필자는 왜 ‘킹제임스성경 유일주의’를 조작된 신화라고 단언하는가? 과연 그렇게 단언할 수 있는 것인가?
1603년 3월 24일, 향년 69세의 잉글랜드 국왕이며 잉글랜드 역사에서 두 번째 여왕인 엘리자베스 1세 여왕이 44년의 통치를 마치고 숨을 거뒀다. 이로써 헨리 8세의 직계자손이 단손됐다. 관례대로 왕가의 족보를 거슬러 올라가니 생존한 가장 가까운 친족이 스코틀랜드 국왕 제임스 6세였다. 잉글랜드 국회는 1567년 7월 24일부터 스코틀랜드 국왕으로 재위하고 있던 제임스에게 잉글랜드 국왕직을 제안했다. 제임스는 그 제안을 수락해 1603년 3월 24일자로 잉글랜드 국왕직을 겸하게 된다.
제임스 국왕은 영국 역사 최초로, 스코틀랜드 국왕직과 잉글랜드-웨일즈 국왕직을 겸한 국왕이 됐다. 다른 말로 하면, 브리튼 섬의 세 왕국을 모두 통치한 최초의 국왕이 된 것이다. 이로써 잉글랜드는 튜더 가문에서 스튜어트 가문으로 왕가가 바뀐다.
1603년에 스코틀랜드를 떠나 잉글랜드 런던으로 향하던 제임스에게 잉글랜드 개혁주의자들인 청교도들이 소위 ‘천인의 청원’이라는 집단소청을 제출했다. ‘천인의 소’라고도 불리는 이 청원은 잉글랜드 교회와 사회를 종교개혁 원리에 맞춰 강력하게 개혁해달라는 요청이었다. 그리고 이 요청은 사실상 ‘로마 가톨릭’과 로마 교황청에 깊이 뿌리를 박고 있는 기득권 세력, 귀족세력을 뿌리 뽑으라는 요청에 다름 아니었다.
스코틀랜드 왕국에서는 개혁주의자들의 그늘에 눌려 자신의 속마음을 감추고 있을 수 밖에 없었던 제임스가 스코틀랜드의 2배나 되는 왕국의 수장이 되자 마음속 깊은 곳에 감추고 있던 야망을 실현할 기회를 엿보았다. 이런 상황에서 잉글랜드 청교도들이 국왕에게 요청한 ‘천인의 청원’은 제임스1세의 입장에서는 ‘반역’의 청원을 접수한 셈이었다. 일단, 천인의 청원을 거절하겠다는 의사를 밝혔지만, 청교도라는 잠재적 반역집단을 와해시킬 묘책과 기회를 찾았다. 그 기회는 그 이듬해인 1604년에 찾아왔다. 청교도인 레이놀즈가 새로운 성경번역을 시도하도록 허락을 구했다. 성경의 번역 및 출판은 국왕에게 재가권이 있는 사안이다. 제임스 국왕은 스위스 제네바에 피난처를 마련한 개혁 세력과 그곳에서 출판한 탁월한 영어 주석성경인 ‘제네바 성경’의 영향력을 근절하기 위한 묘책으로 새로운 성경번역 사업을 윤허했다.
왕의 윤허로 구성된 번역위원회는 2개의 목적을 실현하는 성경번역을 완수해야 했다. 첫째, 당대 최고의 영어성경인 제네바 성경을 능가하는 영어성경이어야 할 것. 둘째, 영국교회를 로마 가톨릭으로 복귀시키는 방향성을 가진 영어성경이어야 할 것.
번역위원회가 이 두 가지 목표를 완수하는 것은 실제로는 간단했다. 첫째, 당대 최고의 영어성경인 제네바 성경을 능가하기 위해서는 제네바 성경을 거의 그대로 수용하고 제네바 성경번역자의 노하우를 받아들여, 조금만 개선하면 된다. 둘째, 새로운 영어성경을 사용하는 영국교회를 로마 가톨릭으로 복귀시키기 위해서는 ‘로마 가톨릭의 공식 성경’ 즉, 라틴 벌게이트를 많이 참조하고, 그 틀을 가져오면 된다.그렇다고 해서 1611년에 출간된, 새로운 ‘영어성경’을 만든 ‘번역위원회’의 번역위원들이 나태하고 무지한 위인들이 아니다. 당대 최고의 석학들을 최대한 끌어모았던 것이다. 하지만 성경번역은 일반적인 번역작업과 전적으로 다른 작업이다. 과거의 모든 번역결과물을 폐기하고 원점에서 시작한다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한 작업이다. 놀랍도록 탁월한 고대 성경사본이 출토됐다고해서, 지금까지의 모든 번역결과물을 폐기하고 그 사본에 전적으로 의존해 번역 작업을 하는 그런 방식을 사용하지도 사용해서도 안 된다.
그런데 제임스 국왕은 새로운 성경번역 작업과 그 작업을 위한 성경번역위원회 구성에 대해서는 윤허했다. 그러나 그 결과물에 대한 보고를 청취하고 승인했다는 기록은 어디에도 없다. 그리고 새롭게 완성된 영어성경의 이름에 자신의 이름 King James라는 명칭을 사용하도록 윤허한 기록이 없다. 잉글랜드 국회 혹은 스코틀랜드 국회에서도 ‘King James Bible’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성경을 공인한 기록이 없다. King James Bible만을 잉글랜드-스코틀랜드의 유일한 성경이라고 법제화하거나 공포한 적도 없다. 새로운 번역작업을 완료해 1611년 영어성경이라고 할만한 책에 ‘King James’라는 이름을 붙이게 된 것은 성경판매를 책임진 서적상의 아이디어였다. 다시 말하자면, 이 성경책의 초판 인쇄본 표지의 가운데에 있는 “구약과 신약을 포함하는 본 성경전서는 제임스 폐하의 특별 명령에 따라 원어에서 번역했으며 또한 이전 역본들을 부지런히 비교하고 수정해 번역했음. 교회에서 낭독하도록 지정받음”이라는 문구가 새겨지도록 작동한 가장 큰 힘은 ‘마케팅’이었다. 그러나 이 문구는 정직하다. 다만, 착각을 불러일으키고, 신화를 창조할 뿐이다. 국왕의 윤허 즉, 특별한 명령으로 번역작업이 시작된 것은 맞다. 하지만 그 결과물에 대해 국왕이 기쁘게 비준했다거나 그 수준을 국왕의 권위로 보장한다는 문구는 없다. 하지만 왠지 그럴 것만 같다는 주관적 느낌을 떨쳐내기가 어렵다.
그래서 신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