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성애 합법화 반대한다
동성애자를 널리 지칭하는 게이(gay)는 어떤 말에서 유래했을까? 영어의 게이는 ‘기쁨, 즐거운’이라는 뜻을 가진 프랑스어 ‘게(gai)’에서 나온 말이다. 19세기에 게이에 성관계로 쾌락을 즐긴다는 의미가 추가됐고, 동성애자를 가리키는 말로 확장되었다.
동성애자들이 비정상적이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호모(homo)’보다 게이라고 불리는 게 낫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여성 동성애를 뜻하는 레즈비언(Lesbian)은 에게해에 있는 레스보스(Lesbos) 섬에서 유래한 말이라고 한다. 고대에 이 섬의 여성들 사이에 동성애가 활발했다고 한다.
미 연방대법원이 동성결혼을 합법화하자 백악관은 동성애 단체들이 즐겨 사용하는 무지개 색으로 백악관 조명을 밝혔다. 왜 무지개 색이 동성애를 상징화게 됐을까? 맨 처음 주창한 사람은 화가 길버트 베어커였다. 그는 1978년 영화 오즈의 마법사 주제곡인 ‘무지개 저편’(Over the rainbow)에서 영감을 얻었다. 무지개가 성적인 다양성을 표현할 수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 베어커가 만든 깃발은 7가지 무지개 색에 분홍색을 더해 8가지로 구성돼 있다. 하지만 분홍색과 남색 천은 구하기 어렵다는 점 등이 감안돼 현재는 6가지 색깔이 쓰인다.
미국이 동성 간 결혼을 합법화함에 따라 동성 결혼이 법적으로 가능한 나라가 21개국으로 늘어났다. 어떤 나라가 맨 처음 동성 결혼을 허용했을까? 동성끼리 함께 살 수 있는 제도를 처음 마련한 나라는 덴마크다. 1989년 덴마크는 동반자 등록제를 만들어 동거하는 동성 커플을 가족의 형태로 인정했다. 2001년 네덜란드가 세계 최초로 동성 결혼을 합법화했다. 2003년 벨기에가 두 번째로 합법화했고, 이후 다른 대륙 국가들도 동참했다. 한국에서도 동성애자 등 성 소수자들이 주최한 제16회 퀴어문화축제가 6월 28일 서울 도심에서 행진을 하고 폐막됐다. 퀴어문화축제 조직위원회는 서울광장에서 90여개의 부스를 설치하고 행사를 진행했다.
행사에는 각종 성소수자 단체와 기업, 주한 외국 대사관 관계자 등이 참가했으며 서울 도심거리 (2.6)km 행진도 진행했다. 경찰은 애초 시민 통행과 차량 소통에 불편을 줄 수 있다는 이유로 거리 행진을 허락하지 않았다. 하지만 지난 16일 법원이 퀴어문화축제 조직위가 경찰을 상대로 낸 옥외 집회 금지통고 처분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받아들이면서 행진이 열렸다.
개막식이 메르스 여파로 축소, 개최됐던 것과 달리 행사에는 7,000여명 (경찰 추산)이 참가했다. 주치 측 관계자는 “지난 26일 미국 연방대법원이 도든 주에서의 동성 결혼을 허용하면서 국내 성소수자들이 고무돼 참석자가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한 것 같다”고 전했다. 이날 행사에는 마크 리퍼드 주한 미국대사를 비롯해 동성애나 동성 결혼을 법적으로 인정한 프랑스, 독일, 노르웨이, 핀란드, 덴마크 대사 등이 참석해 자국 대사관이 설치한 부스를 들러봤다.
한편 기독교 단체와 보수단체는 이날 서울광장 주변에서 동성애를 반대하는 맞불 집회를 열었다. 1만여 명 (경찰 추산)의 집회 참가자들은 ‘동성애, 동성혼 OUT’ 등의 구호를 외치는 한편 동성애 규탄 공연도 열렸다. 전 세계적으로 동성결혼을 합법화를 인정했거나 하려고 하는 나라들이 적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우리나라도 박원순 서울 시장을 비롯해, 국회의원들도 적지 않게 동참하면서 동성결혼을 합법화를 서두르고 있는 실정이다.
성경에서는 동성애나 결혼은 저주 받을 것을 경고하고 있다. 특히 강조하고 싶은 것은 동물들은 수컷과 수컷끼리, 그리고 암컷과 암컷끼리 교미하지 않는다. 하물며 만물 중에 으뜸이 되도록 하나님이 창조했는데, 짐승만도 못한 짓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은 해괴한 짓을 하도록 방조하고, 바른 신앙 교육을 하지 못한 책임이 교회에 있다 할 것이다. 교회가 바른 진리의 메시지를 선포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