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아 지앤엠글로벌문화재단(이사장 문애란, 지앤엠)은 지앤컴리서치에 의뢰해 최근 기독교인 700명을 대상으로 “한국 개신교인의 성경읽기 실태조사”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성경의 의미 △성경 읽기 △성경책/앱 보유 △기독교 서적 △교회 출석 등 10가지 주제를 가지고 56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로 최근 지앤엠이 출시한 드라마바이블 앱 콘텐츠 확산 및 활용 방향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성도들의 성경일기를 독려하고자 하는 목회자들에게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조사했다.
성경의 정의에 대해서는 71.5%가 ‘하나님의 말씀’이며 72.6%가 ‘성경에서 삶의 답을 찾았다’고 응답했다. 그러나 성경을 읽을 때의 느낌에 대한 응답에서는 ‘깨달음이 있다’(긍정)가 54.6%, ‘이해가 안간다(부정)’가 38.8%, ‘감동된다’(긍정)가 36.5%, ‘분량이 많다’(부정)가 35.4% 등 긍정과 부정의 느낌이 혼용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기독교인 중 성경을 가끔씩이라도 읽는 비율은 74.4%, 지난 1주일간 성경을 읽는 비율은 71.8%, 1주일 평균 성경읽기 시간은 1시간 45분으로 나타났다.
한편 성경읽기 위한 시간을 확보하는데 64.%의 응답자가 어려움을 토로했으며 가장 큰 이유로는 ‘의지가 약해서(게을러서)’( 39.4%)가 꼽혔다. ‘하나님의 말씀’이며 ‘성경에서 삶의 답을 찾을 수 있다’는 응답자 중에도 성경읽기의 어려움에 대한 부정적 의견이 3명 중 1명이다. 최근 100여 명의 연기자들이 성경을 드라마로 만든 드라마바이블 무료앱을 출시해 20여만명이 내려받기를 기록해 성경을 보다 쉽고, 생생한 감동으로 읽기 위한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또한 주일 설교가 성경읽기를 대체할 수 없다는 의견은 60.7%로 나타났으며 기독교인의 다수는 해석과 예화를 섞이게 되는 설교와는 별개로 직접 말씀을 읽고 깨닫는 개인적인 성경읽기 시간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성경을 긴 시간 동안 함께 읽고 함께 낭독하는 초대교회 성경봉독 방식인 커뮤니티 성경읽기에 대한 인지도는 절반가량(48%)으로 집계됐고 이 방식이 현재 교회의 예배나 기도회, 성경공부 시간에 필요하다는 의견도 75.7%로 커뮤니티 성경읽기에 대한 필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이송우 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