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누구를 위한 규약개정인가

내가 대학을 다니던 시절은 운동권이 힘을 발휘하지 못하던 시기였다. 지방이기도 했고 노무현 정부 시기라 민주화운동을 할 것도 아니고 취업도 어려운 상황이니 데모 같은 것은 담배값 인상에 반대하는 현수막 정도에 그쳤다.


어느 따사로운 봄날, 대학생이 된 후 처음으로 캠퍼스 안에서 데모하는 모습을 목격했다. 우리 캠퍼스에서 그나마 머리 좀 돌아간다는 한의대생들이었다. 그들은 차상위계층 장학금 신설을 반대하기 위해 북을 들고 강의실 밖을 나섰다. 주된 요지는 ‘왜 우리가 열심히 공부해서 받는 장학금을 차상위계층에게 줘야 하느냐’는 것이다. 그들의 시위 결과는 참담했다. 학생들 눈에 한의대생들의 시위는 집단이기주의로만 인식될 뿐이었다.
결국 한의대 학생회는 사과 대자보를 내건 후 백기를 들었다. 돌려막기 식 장학금 신설이라는 한의대생들의 외침도 어느 정도 일리는 있었지만 학생들의 공감대 형성에는 미흡한 부분이 많았다.


지난 9월 총회에서 규약개정안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이대위 구성과 관련된 규약 하나 빼고 나머지 다 통과되지 못했다. 그 모습을 보고 이해가 되지 않았다. 교단의 발전을 위해선 규약개정이 어느 정도 필요할 법도 한데 개의안으로 통과된 것도 아니고 아예 불발됐다. 지난 총회 임원회와 지방회 사이의 소통이 부족했던 것일까? 대의원들이 보기에는 규약개정의 필요성이 크게 다가오지 않았을까?


현 107차 총회 임원회도 총회 규약개정을 위해 힘을 쏟겠다는 각오다. 특별히 총회는 이를 위해 각 기관과 지방회의 협조를 요청하고 있다. 아무리 좋은 제품이라도 마케팅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물건이 팔리지 않는다. 무엇 때문에 규약을 개정해야 하는 지 설득하고 참여를 독려하는 소통이 없다면 내년 9월 총회에서 통과될 리 만무하다.  안희묵 총회장은 규약개정 인사탕평을 통해 교단의 일꾼들을 고루 뽑아 개혁을 단행해 주기 바란다. 권역별 공청회를 통해 침례교 구성원 모두가 납득하고 필요한 규약개정안을 도출해보면 어떨까 싶다. 각계를 대변하는 규약개정 TF도 구성해보면 좋겠다. 개인적인 바람으로는 청년과 여성, 그리고 평신도들이 총회에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규약이 신설됐으면 좋겠다.


범영수 기자



배너

총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