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원칙과 균형의 아름다움 : 바흐의 피아노 평균율의 교훈

최현숙 교수의 문화나누기

침신대 피아노과

살다보면 불합리하고 비상식적인 일들을 겪게 되는 불가피한 상황에 맞닥뜨릴 때가 있다. 또 많은 사람들을 만나다보면 일방적이고 본인 중심적인 시각으로 판단하고 행동하는 이들과 대면하게 된다. 그뿐인가? 그리스도인들의 공동체 속에서도 어떻게 그렇게 할 수 있느냐고 반문할 수밖에 없는 일들을 보게 되기도 한다. 그럴 때마다 우리는 분노하고 답답해하며 그런 부당함을 성토하지만 정작 결정적인 행동에는 주저하거나 포기하면서 더 큰 분란과 혼란을 위한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고 스스로를 위로하곤 한다. 물론 자신의 것을 지키고 싶고 손해보고 싶지 않는 마음은 누구나 다 같을 것이고 또 비난할 일도 아니다. 그러나 불의나 부당함에 대한 입장과 태도는 분명해야 하고 상황을 보는 시각에는 일관되고 균형 있는 원칙이 있어야 한다.


제4차 산업혁명을 지나고 있는 현시대에 가장 필요한 가치가 바로 변질되거나 타협하지 않지만 큰 시야로 상황을 보는 통찰력이며 좌로나 우로 치우치지 않는 균형 잡힌 사고력일 것 같다.
일관된 원칙과 균형은 창작 예술에서도 필요한 것으로 작품의 정통성과 완성도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이다. 개인의 자유로운 상상 속에서 나오는 작품에 시대를 초월하는 유한 가치를 부여하는 것도 원칙과 균형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 대표적인 작품이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의 피아노 작품인 평균율(Well-Tempered Clavier)들일 것이다.


평균율이란 원래 건반악기의 조율방법을 의미하는 용어로 피아노 음악에서의 평균율의 사전적 의미는 “서양음악의 장,단음계의 음정을 12개로 균등하게 나누는 방식에 의해 24개 조성을 기초로 한 음악”이다. 바흐는 전주와 푸가를 한쌍으로 하여 모든 장, 단음계를 사용한 피아노 작품을 만들었고 이것들을 통해 당시 새롭게 시도되었던 건반악기의 효율성을 입증하고 연주법을 교육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런 목표를 가진 작품들이 48곡이나 만들어졌고 오랜 세월이 지난 지금까지도 피아노의 “구약성서”라고 불리며 피아니스트들에게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연주적 영감의 근원이 되고 있다.


바흐의 평균율 48곡은 바흐가 가장 많은 노력을 기울인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는데 바흐 연구의 대표주자인 슈바이처는 “이 작품들은 단순한 감상의 즐거움을 넘어 종교적 감동을 주는 음악으로 듣는 이에게 희노애락의 모든 감성을 일깨워준다”라고 했다. 바흐의 평균율이 이런 찬사를 받는 이유는 비단 그의 음악이 갖는 중요성이나 영향력 때문만은 아니다. 바흐의 음악이 가지고 있는 매우 특별한 가치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그 가치가 바로 쉽게 변하지 않으며 작품 전체에서 공평하게 다루어지는 음악적 원칙, 그리고 과하지도, 덜하지도 않은 균형이다.


바흐의 평균율은 결코 쉽게 습득할 수 있거나 가볍게 다룰 수 있는 음악은 아니다. 성실함과 인내, 그리고 악보 앞에서 자신을 낮추어야 비로소 보이는 아름다운 소리의 생성을 위한 요소들을 가지고 있다. 바흐는 이 작품들을 통해 엄격한 절제와 인내의 과정을 거쳐야만 음악 본연의 아름다운 소리를 만날 수 있음을 가르치고 있다. 이것은 그리 길지 않은 이 세상에서의 삶을 잘 살아내는 방법이기도 하다. 우직하다 할 만한 성실성을 가지고 옮음을 위한 오래 참음의 마음으로 하나님과 사람 앞에서 겸손할 수 있다면 우리가 사는 세상은 그래도 살아볼 만한 세상일 것 같다. 원칙을 무시하고 진영논리에 갇혀 상식적인 모든 균형을 무너뜨리면서 손안 가득 잡았다고 생각했던 이익들은 모래처럼 빠져나가는 신기루와 같은 것임을 잊지 말아야겠다. 바흐의 평균율을 들으며 우리가 지켜야 할 진정한 가치에 대한 생각을 다시 해보아야겠다.



총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