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국침례교회의 시작을 찾아 통일선교 비전을 세울 때

열방을 향한 통일선교-2
육근원 목사
세종시민교회
통일선교협 사무총장

한국 침례교단은 말콤 펜윅(Malcolm C. Fenwick) 선교사가 1889년 12월에 내한하면서 시작됐다. 이후 1945년 해방 때까지 침례교회(동아기독교)는 북한에 60개, 남한에 40개, 재만・재러에 150개의 교세를 형성했다. 이는 선교지 분할협정(comity)으로 인해서 장로교와 감리교는 서강동약(西强東弱)의 특징으로 평안남북도와 황해도에 강한 교세를 형성했지만, 우리 침례교단은 원산 총부를 중심으로 함경남북도에 교회를 집중적으로 세운 동강서약(東强西弱)의 교세를 형성했다. 1945년 해방된 지 3년이 지난 1948년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수립이 된 이후 북한의 침례교회(동아기독교)는 해체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한국전쟁 이후 북한의 교회는 침례교를 비롯해 장로교・감리교는 모두 사라졌고 북한 당국이 공인한 봉수교회와 칠골교회 외에 가시적 교회는 사라졌다. 그러나 두 가지 형태로 북한에서 교회는 존재하고 있다. 그 첫째는 분단 이전 신앙을 가졌던 사람들과 그의 자손들을 중심으로 한 ‘그루터기 교회’이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고난의 행군 시기 이후 급성장한 새로운 교회의 형태인 ‘지하교회’이다. 고난의 행군 시기인 90년대 중반 이후 남한으로의 탈북한 사람들 중 그루터기 신자와 지하교회 신자가 현재 남한에서 신앙생활을 하고 있다. 또한 탈북한 사람들 중 남한에서 처음으로 신앙생활을 시작한 이들도 존재하고 있다. 


북한을 떠나온 북한이탈 성도들은 남한에서 교회를 세우고 교회를 중심으로 삶의 터전을 형성하여 북한 및 통일선교의 자양분이 되고 있다. 이는 1903년 원산에서 시작해 1907년 평양에서 절정을 이룬 한국의 오순절이라고 불리는 평양대부흥운동의 영적인 체험과 믿음의 뿌리를 내리게 됐다. 과거 한국전쟁 시 피난민 가운데 평양대부흥을 경험한 신앙인들이 남한의 교회 부흥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그리고 현 탈북 신앙인들의 남한 내 교회들에게 새로운 북한 및 통일선교의 장을 열어주고 있다.


해방 후 78년의 세월은 장로교와 감리교의 여러 역사의 발자취를 찾아 학문적으로 정리가 견고한 반면에, 침례교회는 역사적 자료 수집, 정리 그리고 평가가 미비하다. 그래서 분단 전후 북한 지역의 침례교회 현황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전개해 나가야 한다. 이를 통해 열방을 향한 통일선교 사명과 통일시대를 준비하기 위한 토대를 형성해 나가야 한다.


특히 복음의 순수성을 지키기 위해 일제에 항거운동을 확산시킨 북한 동아기독교의 지도자 김영관 감목(총회장)의 생애와 자료 및 원산교회, 고읍교회, 라진교회 등 북한의 동아 기독교 60개 교회를 재건하는 비전을 주목한다. 그리고 제12회(1917년 10월 17~23일) 대화회(총회)를 개최했던 용정 종성동교회는 북한 동아기독교의 정신이 깃든 우리 교단의 귀중한 유산이고 이를 유지해야 하는 사역이 과제로 남아있다.


한국 침례교단은 열방을 향한 통인선교의 방안에 관한 중장기적인 계획과 역사 인식을 분명히 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전문성과 정체성을 갖춰 과거 북한 지역 침례교 믿음의 유산을 찾아 계승하며, 다음세대들을 위한 한국 침례교 신앙의 자부심을 심어 주고 열방을 향한 통일 선교 사명을 감당해야 하겠다. 


이와 같은 사명을 감당하기 위해 통일선교협의회는 한국침례신학대학교 안희열 교수를 전문위원으로 위촉해, 통일선교 관련 침례교회의 역사와 신앙의 유산 자료를 찾아 학문적인 체계를 세워 통일한국 침례교회의 미래를 준비하고자 한다. 


하나님이 한국침례교회 가운데 행하신 역사를 정리하고, 이를 통해 하나님의 확실한 뜻을 찾아 미래를 준비하는 밑거름이 되는 역사자료 정리는 통일선교협의회의 여러 사역 중 중요한 부분이다. 침례교단의 모든 교회들이 많은 관심과 협조에 동참하기를 기대한다.



총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