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오직 예수그리스도만을 바라본 그 청년의사!

‘청년의사 빌 왈레스의 내게 사는 것이 그리스도니’

 

지은이 제시플레쳐옮긴이 이재순·조정화요단13,000

일본이 중국을 침략하여 전쟁 중이던 격변기 때 중국 우초우에서 질병과 고난에서 헤매던 중국 민족들을 하나님의 사랑으로 돌보다가 순교한 청년 의사 빌 왈레스. 그는 무엇보다 하나님께 받은 분명한 소명의식으로 중국에서 17년간 의료선교를 하며 하나님의 복음을 불같이 전파 했던 인물이다.

 

1935, 빌 왈레스가 차고지에서 처음으로 하나님께 소명을 받은 10년 후 청년 외과의사 빌 왈레스는 샌프란시스코항을 떠나 중국으로 향했다. 그가 향한 중국은 현재도 선교가 어려운 곳이지만 당시에는 공산주의가 극에 달했을 때였기 때문에 선교에 굉장한 탄압을 받았다. 그런 그는 19512월 중국 공산주의자들에 의해 감옥에서 순교하게 된다.

 

그는 누구보다 자신의 소명을 중요시 여기고 하나님께서 맡기신 중국인들을 사랑했으며 찬사나 주목 받기를 거부한 겸손한 순종의 삶을 살다갔다.

 

이 책을 지은 제시플레쳐는 빌 왈레스에 대해 나는 빌 왈레스의 전기를 읽고 하나님의 부르심에 절대적으로 순종하고 나의 생애를 하나님께 맡기겠다는 결정을 하게 되었다. 그래서 이 빌 왈레스의 전기는 나에게 선교사가 되게 해준 가장 의미심장한 계기들 중의 하나이다.

 

빌 왈레스의 생애와 사역은 참으로 빌립보서 1:21절에 나타난 내게 사는 것이 그리스도니 죽는 것도 유익함이라고 한 사도바울의 삶의 원리를 그대로 보여주었다라고 말했다.

 

청년의사 빌 왈레스의 내게 사는 것이 그리스도니는 빌 왈레스가 어떻게 소명을 받고 하나님 앞에서 어떠한 일을 해왔는지 자세하게 명시하고 있다. 또한 그의 삶을 말하면서 그의 아름다운 순종이 얼마나 많은 이들을 살렸으며 한 명의 선교자가 어떠한 구원의 역사를 이루었는지를 이야기하면서 나태한 신앙생활에 빠진 우리에게 경각심을 불러일으킨다.

 

청년의사 빌 왈레스의 내게 사는 것이 그리스도니안에 보면 그가 순교하기 전 어떠한 고통을 겪었으며 그 고통을 어떻게 견뎠는지 이렇게 말했다.

 

감옥에서 빌은 매일같이 어떤 때는 몇 시간마다 또는 밤이 새도록 잠을 못자면서 심문실로 불려갔다. 일생을 오직 한가지 일, 즉 주 예수 그리스도를 섬기면 의술을 가지고 중국인에게 봉사한, 참 순수하고 감수성 많은 이 젊은 의사에게 공산주의자들은 단테에 신곡에 나오는 악령들도 생각할 수 없는 갖가지 죄명을 꾸며냈다. 심문이 거듭될 때마다 심문은 점점 더 사나운 물결처럼 거칠어졌다.

어떤 때는 심문을 받고 정신이 몽롱해지기도 했다. 정신착란 증세를 보였고 그래서 헛소리로 고함을 지르기도 했다. 점점 허탈 상태에 빠져들었다. 그러나 빌은 믿음을 가지고 심문에 대결해 싸웠다.

빌은 이 같은 수난을 당하면서 언제나 자기를 사랑하시는 주님이 자기와 함께 해주신다는 사실을 믿고 견디며 이렇게 말했다. 주님께 모든 것을 맡기도 의지하니 괜찮습니다’”

 

선하고 의로운 일을 했지만 공산주의라는 벽에 부딪혀 고통 속에서 한 조각의 인생을 살고 그 고통을 하나님을 믿으며 견뎌온 순교자 빌 왈레스. 현재도 세계 많은 나라에는 빌 왈레스와 같은 삶을 살다가는 수많은 선교사들이 있다.

 

우리가 현재 대한민국에서 종교의 자유를 느끼며 나태한 신앙생활을 해나가는 동안 종교의 자유를 가지려 맞서 싸우고 하나님의 복음을 전하기 위해 한 영혼이라도 더 구원하기 위해 동분서주 하고 극한의 상황에 부딪혀 순교를 하는 선교사들이 아직도 많다는 것이다.

 

청년의사 빌 왈레스의 내게 사는 것이 그리스도니를 통해 우리의 신앙을 재점검하고 하나님의 부르심에 올바르게 순종할 수 있는 계기가 되며 우리의 삶에 거룩한 도전이 되기를 소망한다.

 

 



총회

더보기
114차 총회, KT·금융결제원과 손잡고 ‘스마트 목회 환경’ 구축
우리교단 114차 총회(총회장 이욥)는 지난 6월 19일 여의도총회빌딩에서 KT(대표 김영섭), 금융결제원(원장 박종석)과 함께 ‘스마트 목회 환경 구축을 위한 3자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디지털 기술과 신앙이 결합된 새로운 목회·선교 생태계 조성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번 협약의 핵심은 전국 3750개 침례교회와 산하 기관을 대상으로 △스마트헌금 키오스크 △침례교 전용 플랫폼 △스마트 카페 복합공간 등을 도입해 디지털 기반의 목회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는 단순한 편의성을 넘어서, MZ세대와의 소통, 기부 문화의 신뢰성 제고, 친환경 사회 공헌 확대 등 다방면에서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협약에 따라 각 기관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맡는다. 총회는 교회 및 기관의 스마트 인프라 도입을 위한 행정 지원과 참여 기반을 조성하고, KT는 통신 및 디지털 전환(DX) 기술을 바탕으로 플랫폼 개발과 키오스크 설치, 유지보수를 책임진다. 금융결제원은 결제서비스 및 기부 시스템 연동 등 금융 인프라를 제공해, 신도들이 손쉽게 스마트 환경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날 협약식에서 이욥 총회장은 “이번 협약은 복음 전파 방식의 혁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