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찬송에 숨겨진 이야기> 완성되기까지 13년이 걸린 찬송


내 구주 예수를 더욱 사랑(314/511)

작사: 엘리자베스 프렌티스

(Elizabeth Payson Prentiss, 1818-1878)

작곡: 윌리엄 도언(William Howard Doane, 1832-1915)

  

1. 내 구주 예수를 더욱 사랑, 엎드려 비는 말 들으소서

내 진정 소원이 내 구주 예수를, 더욱 사랑 더욱 사랑

2. 이전엔 세상 낙 기뻤어도, 지금 내 기쁨은 오직 예수

다만 내 비는 말 내 구주 예수를, 더욱 사랑 더욱 사랑

3. 이 세상 떠날 때 찬양하고, 숨질 때 하는 말 이것 일세

다만 내 비는 말 내 구주 예수를, 더욱 사랑 더욱 사랑

 

엘리자베스 프렌티스(Elizabeth Prentiss)는 많은 작품을 남긴 19세기 여류 시인이다. 에드워드 페이슨 목사의 딸로 독실하고 교양 있는 환경에서 자라난 그녀는 고향인 미국 포틀랜드와 여러 도시에서 교사로서 활동했다. 27세 때 장로교 목사인 조지 프렌티스와 결혼하면서 직장을 그만두었지만 연약한 몸에도 불구하고 쉴 새 없이 집필 활동을 계속했다.


그 당시 베스트셀러의 기준은 20만부가 팔리는 것이었는데, 프렌티스가 쓴 천성을 향하여’(Stepping Heavenward)의 판매량은 그 기준을 훌쩍 뛰어넘었다. 그녀의 다른 책 가정의 꽃’(The Flower of the Family)도 인기가 대단했다. 또한 123편의 시를 모아놓은 신앙의 시도 많은 사람들로부터 사랑을 받았다.


그녀는 두 아이를 기르며 행복한 가정을 이루며 살고 있었는데 갑작스럽게 불행이 덮쳤다. 결혼한 지 11년이 되던 해였다. 뉴욕을 중심으로 번져나가던 전염병은 삽시간에 많은 아이들의 목숨을 앗아갔고, 얼마 지나지 않아 프렌티스의 두 아이도 모두 세상을 떠나게 되었다.


연약한 그녀에게는 견디기 어려운 충격이었다. 숨쉬기조차 힘든 날들이 시작되었다. 모든 희망이 순식간에 산산조각이 난 것 같았다. “목회자의 가정에서 태어나 믿음을 지키고 살았는데, 하나님을 찬양하는 아름다운 시를 쓰며 헌신했던 나에게 이런 불행이 닥칠 수 있단 말인가그녀의 짧은 생각으로는 하나님의 뜻을 도무지 이해할 수 없었다.


남편인 조지 프렌티스 목사는 깊은 실의에 빠진 아내를 위로했다. “여보, 많은 가정들이 아이들을 잃고 슬퍼하고 있소. 지금이 우리가 성도들에게 늘 가르쳐온 하나님의 말씀을 실천할 시간인 것 같소. 우리의 기쁨과 소망은 하나님이잖소. 우리가 이해할 수 없는 하나님의 크신 계획이 있을 것이오. 이럴 때일수록 아브라함과 같은 믿음을 가지고 하나님을 더욱 의지합시다. 아이들은 더 좋은 곳에서 우리 주님과 함께 있을 겁니다


남편이 믿는 하나님이 그녀에게 다가왔다. 하나님은 죄인을 구원하시기 위해 외아들인 예수를 이 땅에 보내셔서 십자가의 치욕을 받기까지 우리들을 사랑하신 것을 다시 깨닫게 되었다. 온갖 견디기 어려운 고난을 당하시고 죽기까지 인간을 사랑하신 예수님의 사랑을 말로 다 표현할 수 없었다. 엘리자베스 프렌티스는 주님에 대한 원망이 크신 사랑으로 다가오는 영감을 시로 적었다.


, 그리스도여, 주님을 더욱 사랑합니다이 시가 바로 찬송 내 구주 예수를 더욱 사랑이다. 이 찬송은 견딜 수 없는 슬픔을 말씀으로 극복한 후 주님에 대한 간절한 사랑을 표현하고 있다. 1절은 주님께 엎드려 비는 말은 오직 내 구주 예수를 더욱 사랑한다는 고백이다.


2절은 이 전에 세상의 낙을 기뻐했지만 이제는 예수님만 기뻐하겠다고 지나온 삶에 대한 후회와 새로운 다짐을 하고 있다. 여기까지 쓴 후 프렌티스는 더 이상 생각이 떠오르질 않아 글쓰기를 멈추었다. 시간이 흘러 두 아이를 잃은 지 13년이 지나갔다. 프렌티스는 쌓여있는 종이무더기를 정리하다가 미완성으로 남겨놓은 그 시가 적힌 메모장을 발견했다.


당시 뉴욕 유니온신학교의 교수였던 남편은 시를 마저 완성시켜보라고 아내를 격려했다. 프렌티스 부인은 아이들을 잃은 슬픔을 다시 들추어내는 것이 괴로웠지만 인류를 구원하기 위해 돌아가신 주님의 사랑이 주는 기쁨과는 견줄 수 없었다. 다시금 주님의 크신 사랑이 밀물처럼 몰려왔다.


그녀는 미완성으로 남겨진 3-4절을 써내려갔다. “슬픔이 찾아와도, 절망과 고통이 밀려와도, 감미롭고 감미로운 주님 말씀이 나를 노래하게 합니다.” 그녀는 이제 더 큰 슬픔이라도 오려면 오라고 강하게 외친다. 그 무엇도 주님께서 주시는 기쁨을 빼앗아 갈 수 없다는 적극적인 고백이다. 한국찬송가에는 원문의 3절이 생략되었다.

 

슬픔이 찾아와도, 절망과 고통이 밀려와도

Let sorrow do its work, come grief and pain;

주님의 말씀은 감미롭고 감미롭습니다.

Sweet are Thy messengers, sweet their refrain,

주님의 말씀은 나를 이렇게 노래하게 합니다.

When they can sing with me:

, 그리스도여, 주님을 더욱 사랑합니다.

More love, O Christ, to Thee;

더욱 사랑합니다, 주님을 더욱 사랑합니다!

More love to Thee, more love to Thee!

 

그리고 마지막 절을 이어나갔다. “이 세상 떠날 때 찬양하고, 숨질 때 하는 말 이것일세. 다만 내 비는 말, 내 구주 예수를 더욱 사랑, 더욱 사랑합니다숨질 때에도 주님께 사랑을 고백하리라는 위대한 찬송이다. 나의 예수님, 더욱 사랑합니다! 더욱 사랑합니다! 더욱 사랑합니다!


김남수 교수

침신대 교회음악과

 



총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