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하나님의 사랑 전파를 위해 목수가 된 그의 이야기

‘소명-하늘의 별’

 

자신에게 맡겨진 영혼들을 사랑했던 선교사의 이야기

감독 신현원출연 조태환 선교사외 가족내레이션 송채환전국 CGV 상영

 

지금까지 소명시리즈를 제작해오며 하나님의 사랑을 전하는 이들을 영상으로 담아온 신현원 감독이 소명 4소명-하늘의 별로 돌아왔다.

 

신현원 감독은 지난 20108월말 소명 3편의 강원희 선교사를 촬영한 뒤 오른 비행기 안에서 처음으로 조태환 선교사와 만났다. 직접적으로 만난게 아닌 신문을 보다가 거기에 나온 필리핀 선교사 피살기사를 본 것이다. 비행기에서 내린 후에는 자신이 아는 선교사님의 사모님과 딸이 대학원서를 접수해야한다고해서 원주까지 차로 함께 동행했고 사모님의 스케줄을 묻다가 필리핀에서 함께 사역하던 선교사님의 장례식장을 가야한다는 소리를 듣게 된다.

 

그 순간 그의 머릿속에는 비행기에서 본 신문기사가 스쳐지나가고 그가 본 신문기사의 주인공의 장례식장을 간다는 사모님의 이야기를 들으며 몸에 전율이 흘렀다.

 

신 감독은 함께 간 장례식장에서 처음에는 너무 피곤했기 때문에 쉬려했지만 마음속에 강하게 조문을 해야한다는 생각이 밀려와 장례식장으로 올라가 조문을 드렸다. 이미 필리핀에서 장례를 치르고 한국으로 들어온 것이고 그곳에서 조태환 선교사의 유족인 오순옥 사모와 하은, 예은을 만나게 됐다.

 

집으로 오는길에 신 감독의 머릿속에서는 조태환 선교사의 영정사진과 사람이 많지 않았던 장례식장의 모습만 떠올랐다. 열심히 사시다가 가신분인데 많은 사람이 왔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면서 그의 머릿속에는 기록이라는 두글자가 스쳐 지나갔다. 그리고 그는 꼬박 밤비행기를 타고 원주까지 다녀온 피곤한 몸을 이끌고 사무실에서 카메라를 챙겨 장례식장으로 향했다.

 

이렇게 시작된 소명-하늘의 별은 쓰레기 마을이라고 불리는 필리핀 아렌다 마을을 배경으로 조태환 선교사와 가족을 중심으로 다큐멘터리 형식으로 진행된다. 그는 대학교 등록금으로 쓰기 위해 막노동으로 모아둔 5000만원을 들고 1999년 아렌다 쓰레기 마을로 들어간다.

 

<아렌다마을>

 

조선교사는 그곳에서 제대로된 집한채 없이 판자와 천막으로 만들어진 집에서 생활하는 모습을 발견하게 되는데 마을이 쓰레기로 뒤덥혀 있다보니 태풍이 와서 홍수라도 나면 집안으로 쓰레기들이 밀려 들어와 집안이 쓰레기로 가득차는 형국이 된다.

 

이런 모습을 안타깝게 여긴 조태환 선교사는 자신이 목수가 되어 사랑의 집짓기를 시작하게 된다. 그리고 44세의 나이로 금품을 노린 괴한이 쏜 총에 맞아 그는 생을 마감한다. 허나 그 자리는 조태환 선교사의 아내인 오순옥 사모가 뒤를 이어 계속해서 사랑의 집짓기를 진행하고 있다.

 

<집짓는 모습>

 

3년간의 제작 기간이 걸린 소명-하늘의 별을 보면 조태환 선교사가 남긴 사랑의 흔적들을 아렌다 마을에 지어진 집을 통해 고스란히 느낄수 있다. 그 곳 사람들은 아직도 그를 잊지 못하고 그의 죽음을 슬퍼하고 있다.

 

내레이션을 담당했던 배우 송채환은 녹음을 진행하면서 계속해서 눈물을 쏟았다고 한다. 영화를 보는 내내 송채환이 느꼈던 감정을 고스란히 느낄수 있었다.

 

직접 목수가 되어 하나님의 사랑을 전하는 본보기의 삶을 살았던 조태환 선교사의 이야기는 지난 321일 전국 CGV에서 개봉된 절찬상영중에 있다.

 

따뜻한 봄바람이 불어오는 초봄, 자신의 삶을 바치며 자신에게 맡겨진 영혼들을 사랑했던 선교사의 이야기로 마음도 따뜻해지는 시간이 되길 기대한다.

 



총회

더보기
114차 총회, KT·금융결제원과 손잡고 ‘스마트 목회 환경’ 구축
우리교단 114차 총회(총회장 이욥)는 지난 6월 19일 여의도총회빌딩에서 KT(대표 김영섭), 금융결제원(원장 박종석)과 함께 ‘스마트 목회 환경 구축을 위한 3자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디지털 기술과 신앙이 결합된 새로운 목회·선교 생태계 조성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번 협약의 핵심은 전국 3750개 침례교회와 산하 기관을 대상으로 △스마트헌금 키오스크 △침례교 전용 플랫폼 △스마트 카페 복합공간 등을 도입해 디지털 기반의 목회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는 단순한 편의성을 넘어서, MZ세대와의 소통, 기부 문화의 신뢰성 제고, 친환경 사회 공헌 확대 등 다방면에서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협약에 따라 각 기관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맡는다. 총회는 교회 및 기관의 스마트 인프라 도입을 위한 행정 지원과 참여 기반을 조성하고, KT는 통신 및 디지털 전환(DX) 기술을 바탕으로 플랫폼 개발과 키오스크 설치, 유지보수를 책임진다. 금융결제원은 결제서비스 및 기부 시스템 연동 등 금융 인프라를 제공해, 신도들이 손쉽게 스마트 환경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날 협약식에서 이욥 총회장은 “이번 협약은 복음 전파 방식의 혁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