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요즘 나의 두 마음

김종훈 목사의 목회이야기-89

벌써 큰 딸이 두 번째 유학길에 오른 지도 4개월. 미국에서의 고교 졸업 후 대학까지 진학했었지만, 학비와 향수병 등의 이유로 결국엔 돌아와 여기서 대학을 졸업하고 직장도 다니던 중, 다시 또 한 번의 도전장을 내민 연유다. ‘그냥 있는 곳에서 편하게 다니다 신랑도 만났으면….’하는 아비 마음이야 왜 없겠냐마는 기도하며 결정했다 해서 또 한 번 더 뒷바라지 하게 됐다.


물론 꿈꾸던 통번역대학원에 진학하게 된 건 기쁘다. 아는 분들은 참 좋은 학교란다. 하지만 그래도 또 2년간 얼굴 못보고 살아야 하는 부모는 여전히 허전하다. 그래서 좋기도 하지만 섭섭하기도 한, 나의 두 마음.
얼마 전 한 성도가, 만류에도 불구하고 성도 다섯 명도 안 되는 개척교회를 섬기겠다고 기어이 떠났다. 그렇게 어려우면 교회 차원에서라도 돕겠다 했지만, 그 뜻한 바는 꺾지 못했다.


참 많은 관심과 기도를 베풀었는데, 그 또한 우리 교회를 좋아했는데, 우리 교회에도 필요한 일꾼인데, 혹 그러다 다른 상처나 입지 않을까 염려도 되지만, 이미 그렇게 결정해버렸다 하니 어찌나 섭섭하던지. 물론 언젠간 돌아오리라 믿고, 교적도 안지우고 기다리겠다며 나름 쿨하게 응했지만 그래도 섭섭한 이 마음은 어쩔 수 없다. 하지만 다시 생각해보니 그 입장에선 귀한 결정이란 생각도 든다.


어느 누가 그 뻔한 고생을 사서 할까? 누구는 먼 나라에 가서라도 선교하는데, 쓰러져 가는 가까운 교회 가서 선교하겠다는 게 나쁜 건 아니지 않나. 그래서 다시 마음 바꾸어 진심 축복도 해드렸다. 기도도 약속했다. 그런데도 이상하게 돌아서면 지워지지 않는 이 섭섭함. 어쩔 수 없는 나의 두 마음.


지난 월요일, 교역자들과 세미나를 다녀오는 길에 최근 통닭집을 개업한 성도 가게를 들렀다. 저녁 시간도 되고 해서 교역자들에게 닭 한 마리씩이라도 들려 보낼 작정으로, 개업한 가게 개시(開市)라도 해드릴 작정으로 찾았다. 아니나 다를까 집사님은 너무나 반가워하셨고 우리는 당당하게 치킨 5마리를 주문했다. 그랬더니 더 신나게 튀기시는 것 같아, 오기를 잘했단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그 집사님, 포장을 다 마치고 건네며 “목사님. 오늘 이건 제가 대접하겠습니다” 이러신다. 그래서 난 “절대 안된다”며, 직접 계산대로 가서 카드를 긁으려 했다. 그런데 작동법을 몰라 주춤하는 사이 집사님이 냉큼 오셔서 취소시켜 버렸다. 물론 섬기고픈 그 마음이야 왜 감사하지 않겠냐마는, 한편으론 괜히 가서 부담만 드린 것 같아 마음이 그렇다. 대신 간절한 축복기도만 해드리고 가게를 나왔는데, 그래서 고맙기도 하고 미안하기도 한 이 마음은 여전히 남는 나의 두 마음.


두주 전 주일 저녁, 심방 한 군데를 갔다. 항암치료를 받고 있는 집사님 댁이라 더 간절히 예배하며 안수기도도 했다. 그런데 갑자기 기도 받던 남편 집사님이 눈물을 훔친다.
이유를 물으니, 지난 해 특별새벽기도회 때 자기는 너무 피곤해 못 나갔는데, 아내는 기어이 두 아이를 힘겹게 다 업고 나가는 모습이 생각나서란다. 혹시라도 자기가 그때 같이 못 나가줘서 아내가 이렇게 아프게 된 건 아닌가 싶어 그 미안함에 눈물이 났단다. 남편으로서 참 가슴시린 고백이다.


그런데 그 얘기를 듣는 나도 같은 눈물이 났다. 나 또한 미안해서이다. 목회자인 나로서야 그렇게라도 애들 데리고 나왔다는 건 고마운 일이지만, 이 여집사님이 그렇게 힘든 가운데서도 나왔었구나 생각하니 ‘괜히 내가 특별새벽기도회 만들어 이 가정 힘들게 했나’하는 생각도 들어서다. 그래서 미안했고, 그래서 고마웠다.
아, 대체 내 마음은 왜 이럴까? 고마움과 미안함, 이해됨과 섭섭함이 왜 이렇게 한 번에 밀려올까? 게다가 이 두 마음은 앞으로도 계속 그럴 것 같아 더 걱정이다.


김종훈 목사

오산교회



총회

더보기
114차 총회, KT·금융결제원과 손잡고 ‘스마트 목회 환경’ 구축
우리교단 114차 총회(총회장 이욥)는 지난 6월 19일 여의도총회빌딩에서 KT(대표 김영섭), 금융결제원(원장 박종석)과 함께 ‘스마트 목회 환경 구축을 위한 3자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디지털 기술과 신앙이 결합된 새로운 목회·선교 생태계 조성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번 협약의 핵심은 전국 3750개 침례교회와 산하 기관을 대상으로 △스마트헌금 키오스크 △침례교 전용 플랫폼 △스마트 카페 복합공간 등을 도입해 디지털 기반의 목회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는 단순한 편의성을 넘어서, MZ세대와의 소통, 기부 문화의 신뢰성 제고, 친환경 사회 공헌 확대 등 다방면에서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협약에 따라 각 기관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맡는다. 총회는 교회 및 기관의 스마트 인프라 도입을 위한 행정 지원과 참여 기반을 조성하고, KT는 통신 및 디지털 전환(DX) 기술을 바탕으로 플랫폼 개발과 키오스크 설치, 유지보수를 책임진다. 금융결제원은 결제서비스 및 기부 시스템 연동 등 금융 인프라를 제공해, 신도들이 손쉽게 스마트 환경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날 협약식에서 이욥 총회장은 “이번 협약은 복음 전파 방식의 혁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