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유명한 목사님께서 교회로 집회를 오셨을 때 이리저리 여행이 많아 시차 때문에 피곤하시지 않느냐고 물은 적이 있다. 한국에서 미국에 오면 밤낮이 바뀌는 시차 덕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한두 주 꼬박 고생한다. 그런데 이 목사님께서는 시차 때문에 고생하지 않는다고 하셨다. 아무 때나 잠이 오면 자고, 깨면 일어나 책을 읽거나 기도를 하신단다.
아침까지 억지로 자야겠다는 생각이 없으시니, 잠이 안 오는 밤이나 새벽이 고역스럽지 않으신 것이다. 그 말씀을 들으니 문득 갱년기를 그다지 힘들지 않게 잘 지나가셨다는 한 집사님 생각도 난다.
그분에게도 갱년기의 흔한 증상인 불면증이 어김없이 찾아왔다. 그런데 자다 깨지면 그냥 일어나서 이 일 저 일 보다가 잠이 오면 자고, 안 오면 그냥 일어나 일을 가신단다.
그럼 다음 날은 어찌 되었건 푹 주무신다나…. 이 정도로 긍정적이면 불면증이 있어도 문제 될 것이 없다. 어찌 됐건 다음 날은 잘 테니까. 그러다 또 잠이 안 오면 다른 일 하면 되니까….
사람들이 상담을 원하는 주된 이유 중 하나는 증상을 없애는 데에 있다. 다들 골칫거리를 없애고 싶은 건 당연하다. 화가 치미는 현상을 없애고, 불면증을 없애고, 우울감과 불안감을 없애고 싶어 한다.
남편의 문제를 없애고, 집안에서의 싸움을 없애고, 사회에서의 갈등을 없애야 한다. 우리 교회가 자라는데 방해되는 장애물들을 싹 없애고 싶다. 문제가 없던 옛날로 돌아가자고 한다.
그런데 이런 문제가 단시간 내에 없어지지 않으면 문제 해결을 못 해주는 누군가를 원망하기 시작한다. 시원치 않은 상담자를 비난하기도 하고, 가족을 증오하기도 하고, 동료나 상사, 그리고 목회자가 비난의 표적이 되기도 한다. 무엇보다 자신을 제일 많이 비난한다. 나는 왜 이런 문제 하나도 극복을 못할까, 대체 남들보다 뭐가 모자라 이러고 있나, 등등 별별 생각을 다한다. 그런데 이 증상들, 문제들을 없애는데 지나치게 집중하면 할수록 문제가 더 크게 느껴질 수도 있다. 그 문제가 너무 힘이 커져서 점점 내 삶 전체를 마비시키고, 나 자신은 아무런 힘이 없는 것처럼 생각된다. 문제가 나를 지배하고 삼켜버린 것이다.
위에서 말한 목사님이나 집사님은 잠이 안 온다는 문제가 꽤 힘들 수도 있지만 그 문제를 그냥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인 분들이다. 문제를 없애려고 기를 쓰고 애쓰지도 않았다. 그리고 그 순간 할 수 있는 일에 집중했다. 그래서 문제가 될 수 있는 시차가 독서하는 시간이 되어 버렸다.
불면증이 다음 날에 꿀잠을 자게 하는 다리가 되어 버렸다. 증상이나 문제들을 제거하려고 애쓰기보다는 받아들이기 시작하면서 오히려 그 문제가 작아져 버리는 희한한 현상이다. 아내나 남편의 단점을 고치려고 안간힘을 쓰다가 헤어지겠다고 마지막에 상담을 찾는 분들에게도 마찬가지의 현상이 일어난다. 하다 하다 안돼서 포기하고 상대의 모자람을 받아들이기 시작하면서 부부관계가 회복되는 일을 종종 목격한다. 돈 한 푼에 벌벌 떠는 남편을 노랭이라고 욕을 하다가, 어린 시절 갑자기 망한 집안 때문에 고통받았던 남편의 기억을 이해하면서 관계가 전환되기 시작하는 것이다.
우리 교회에 참 존경받고 사랑받는 권사님께서 계신다. 다리 관절과 허리가 너무 안 좋으신 탓에 늘 구부정하시고 절뚝절뚝 걸으신다. 다른 사람들에게 방해될까봐 예배시간 후에도 제일 늦게 일어나 나오신다. 그런데 그 육신의 고통이 권사님 얼굴의 웃음을 결코 지울 수 없었다. 늘 농담을 즐기시고 한없이 다정하시다.
몸이 좀 어떠시냐고 물으면 빙그레 웃으시며 대답하신다. “나이 드니까 다들 여기저기 아프다네요. 저만 안 아플 수 있나요? 아픈 것도 다 그러려니 하면, 이렇게 나와 예배할 수 있는 것도 너무 감사하지요.” 나이듦과 육신의 노쇠함까지 겸허하고 담담하게 받아들이신, 그래서 기쁨과 감사도 빼앗기지 않으시는 모습이 늘 도전이 되고 귀감이 된다. 그분 안에 누구도 빼앗을 수 없는 평안함과 견고함이 있다.
수용하기 시작하면서 치유되기 시작한다. 어쩌면 변화는 뒤집어 바꾸려고 애쓰는 수많은 시도가 아니라 받아들임에서 시작될 수도 있다. 문제와 마주하기를 두려워하지 않는 용기에서부터 시작일 수 있다. 병을 받아들이고 마주할 때 치료책을 찾아낼 수 있는 것처럼 문제와 함께 가야 하는 삶을 받아들일 때 그다음 단계가 보인다. 더 중요한 것이 보인다. 문제와 동행하는 것을 배울 때 문제는 해결로 향하는 디딤돌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