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유행가수처럼 설교할 수 없을까

하늘붓 가는대로 -131

권혁봉 목사
한우리교회 원로

요사이 젊은 가수들의 노래는 그 몸 움직임이 너무 혼란스러워서 정신을 잃게 한다. 심하게 표현하면 소아마비 장애인의 몸놀림 같은 것을 보노라면 동정심마저 든다. 그리고 천부의 자기 목소리로 소리를 낼 것이지 온갖 변성(變聲)이란 변성은 다 내어서 어쩌면 광인(狂人)의 길거리 외침 같게도 들린다. 귀가 따갑다.


그런데 대중가요 가수 신모 군의 노래를 듣는 것은 또 다른 즐거움을 내게 준다. 신모 가수는 요사이 젊은이 무리에 속하지만 다른 젊은이 가수와는 창법이나 그 창 태도가 전혀 다르다. 내가 신모 가수의 노래하는 모습을 보고 즐기는 데에는 그럴만한 나 나름대로의 이유가 있다. 


우선 그는 노래 부를 때 조금의 미동(微動)도 없다. 조그마한 미풍(微風)도 없는 양 결코 그 몸이 흔들리지 않는다. 그는 완전히 부동자세로 노래를 부른다. 어쩌면 그의 머리카락 한 가닥도 움직이지 않는 것 같고 그의 의상의 한 폭도 꼼짝하지 않고 몸에 딱 달라붙어 있다.


그의 몸과 옷은 일체가 되어 있다. 흥분하는 격한 모습도 없다. 어떤 노래를 불러도 항상 그런 자세로 임했다. 어쩌면 저렇게 순박할까? 손발을 허공에 대고 한 번 흔들어 볼만도 한 데 끄떡없다. 그는 그런 유혹도 받지 않는가 보다.


자세만이 아니라 그의 음성도 천부의 음성 그대로이다. 변성이나 괴성(怪聲)이 없다. 잔잔한 호수처럼 고요히 흐르는 심신산곡의 도랑물 소리처럼 차근차근히 그리고 고요히 흘러나온다. 소리가 교만하지 않다. 그의 음색에 변덕이 없다. 자기 목소리로 자기 노래를 하고 있다. 그게 신모 유행가수다.


할 이야기가 그리도 없어서 굳이 크게 별로 유명하지 않은 한 가수에게 목사가 꽤나 혹해 있던가. 암, 그럴 이유가 있다. 신모 가수의 노래를 듣고 있노라면 ‘오늘날 대부분의 목사들도 그렇게 설교할 수 없을까’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오늘날 어떤 일부 목사들을 보노라면 행장(行裝)이 요란스럽지 않나 싶다. 그 가운은 왜 굳이 입고서 설교하기에 불편을 느낄까? 마치 절간의 승복 같은 것을 입고서 손을 들고 내릴 때마다 거추장스러워 하는 모습을 본다. 제자리에 경건하게(?) 서 있지를 못하고 강단 온 사방을 이리 뛰고 저리 뛰지를 않나 또 절규나 하듯 변성 및 괴성으로 외치지를 않나 이럴 때에 나는 저 목사 왜 저러나 싶은 심정은 이 노목(老牧)의 단순한 기우(杞憂)일까.


성도 청중도 그런 광경에 익숙한 모양이다. 조용하면 졸린다고? 큰 문제로다. 언제 신모 가수의 고요한 노래에 귓맛이 들 듯 우리 설교 듣는 자도 그렇게 될까.



총회

더보기
이욥 총회장 직무정지 가처분 2심도 기각
김OO 목사, 차OO 목사, 김OO 목사 3인이 이욥 총회장을 상대로 제기한 직무집행정지가처분이 항고심에서도 기각 판정을 받았다. 서울고등법원 제25-1 민사부는 지난 3월 25일 사건번호 2025라2147 직무집행정지가처분에 대해 “채권자의 가처분신청은 보전할 권리와 그 보전의 필요성에 대한 소명이 부족해 이유 없다. 그뿐만 아니라 가처분 채무자의 적격을 그르쳐 부적법하다고 보아야 한다. 이와 결론을 같이해 채권자의 가처분신청을 기각한 1심 결정은 결과적으로 정당하고, 채권자의 항고는 이유 없으므로 이를 모두 기각하며, 항고비용은 패소한 채권자들이 부담하기로 한다”고 판결했다. 채권자 3인은 법원에 1심 결정을 취소하고 총회장 선출결의 무효확인 사건의 본안판결 확정시까지 이욥 총회장의 직무를 정지시켜달라고 재차 요구했지만 법원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법원은 “이 법원도 채권자의 가처분명령신청은 그 피보전권리에 대한 소명이 부족하고, 보전의 필요성이 있다고 볼 수도 없다고 판단한다”며 판결 이유를 설명했다. 채권자들이 항고 이유로 들고 있는 주장들이 1심에서 내세운 주장과 실질적으로 별로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 또한 법원은 “대표자의 선임 결의 효력에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