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백동편지-45 아직 12척의 배가 있습니다

김태용 목사 / 백동교회

“신(臣)에게는 아직 12척의 배가 남아 있습니다.” 우리가 잘 아는 대로 명량해전을 앞두고 이순신 장군이 남긴 말이다.
해남 우수영과 진도를 연결하고 있는 진도대교가 놓여 있는 곳인 울돌목에서 1597 년 일본군 300척이 넘는 배후의 배와 울돌 목으로 진입한 133척과 싸워야 했던 조선군 에게 남은 판옥선 12척과 지휘선이 전부였던 상황에서 이순신 장군은 승리의 함성을 봤던 것이다.


50년간 개척자로 일하셨던 어느 원로 목회자께서, 항상 열악한 조건에서 몸으로 부딪혀 나가야 했던 개척 일군으로서 어려울 적마다 이순신 장군이 최악의 조건에서도 굴하지도 포기하지도 아니하고 긍정적인 사고와 최선의 열정으로 임하였던 모습을 떠올리며 각오를 다졌다고 한다.
진도에서는 매년 10월이면 진도대교에서 명량 축제가 열린다. 백과사전의 기록으로 울돌목은 해남군 문내면 학동과 진도군 녹진 사이의 좁은 해협을 말한다.


이곳의 가장 짧은 거리는 300여 미터이며, 가장 깊은 곳의 수심은 약 20미터이다. 이러한 지형적 요건으로 인해 이곳에는 급류가 흐르는데 특히 만조 시에는 시속 23킬로미 터의 빠른 물살이 흐른다. 물살은 굴곡이 심한 암초 사이를 소용돌 이치며 흐르는데 격류가 암초에 부딪혀 귀가 울릴 정도로 우레와 같은 소리를 내고, 이소리가 마치 바다가 우는 것 같다는 말로 명량(鳴梁)이라고 부른다.


또한 수적인 불리함을 실감한 이순신은 탐망선이나 보급선을 전함 판옥선 배후에 대기시키는 한편 아낙네들을 모아 군복을 입히고 수십 명씩 무리를 지어 산봉우리를 돌도록 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진도대교 옆에는 강강수월래 터가 관광지로 남아 있다. 하지만 올해는 코로나19로 그행사마저 모두 취소됐다. 모두가 힘들고 위축되어 있는 시간이지만 아직 우리에게는 남아 있는 것이 있다. 작고 보잘것없는 것처럼 보일지라도 “너희를 향한 내 생각은 재앙이 아니라 장래와 소망을 주려 함이라”(렘 29:11)하신 약속을 믿는 믿음이 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장마와 태풍으로 다잃어버린 모습을 보며 망연자실하다. 어디를 봐도 도움이 될 것이 하나도 없어 보인다.
하지만 아직 남아 있는 것을 볼 수 있는 눈은 감지 말자.
비록 모함을 당하여 백의종군의 몸이라 할지라도 남은 것을 바라보며 통곡하는 심정으로 상소하던 모습을 기억하자.


“아직 우리에게 12척의 배가 있습니다.”라는 말이 누군가에게 어려움을 이길 수 있는 각오를 하게 했듯이, 우리 모두 서로를 향해 “아직 우리에게는 남은 것이 있습니다.”라고 위로와 격려의 말로 시인하자.


포로 가운데 당하는 고통 속의 부르짖음을 들으신 여호와 하나님께서 불평하고 원망하는 소리도 들으신다. 우리의 입에서 나오는 말로 하나님께서 들으시고 기뻐하실 입을 열자. “그들에게 이르기를 여호와의 말씀에 나의 삶을 가리켜 맹세하노라 너희 말이 내 귀에 들린대로 내가 너희에게 행하리 니”(민14:28) 주님, 우리의 믿음의 눈을 열게 하시고 입으로 시인하게 하소서.



총회

더보기
이욥 총회장 직무정지 가처분 2심도 기각
김OO 목사, 차OO 목사, 김OO 목사 3인이 이욥 총회장을 상대로 제기한 직무집행정지가처분이 항고심에서도 기각 판정을 받았다. 서울고등법원 제25-1 민사부는 지난 3월 25일 사건번호 2025라2147 직무집행정지가처분에 대해 “채권자의 가처분신청은 보전할 권리와 그 보전의 필요성에 대한 소명이 부족해 이유 없다. 그뿐만 아니라 가처분 채무자의 적격을 그르쳐 부적법하다고 보아야 한다. 이와 결론을 같이해 채권자의 가처분신청을 기각한 1심 결정은 결과적으로 정당하고, 채권자의 항고는 이유 없으므로 이를 모두 기각하며, 항고비용은 패소한 채권자들이 부담하기로 한다”고 판결했다. 채권자 3인은 법원에 1심 결정을 취소하고 총회장 선출결의 무효확인 사건의 본안판결 확정시까지 이욥 총회장의 직무를 정지시켜달라고 재차 요구했지만 법원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법원은 “이 법원도 채권자의 가처분명령신청은 그 피보전권리에 대한 소명이 부족하고, 보전의 필요성이 있다고 볼 수도 없다고 판단한다”며 판결 이유를 설명했다. 채권자들이 항고 이유로 들고 있는 주장들이 1심에서 내세운 주장과 실질적으로 별로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 또한 법원은 “대표자의 선임 결의 효력에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