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왜 탄소중립인가?

탄소중립 창조회복교회 만들기-1
김정욱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환경협력대사

지난 2021년 5월에 개최된 G20 정상회의에서 각국의 대표들은 기후변화로 인한 인류의 파멸을 막기 위해 산업화 이전보다 기온이 1.5도 이상 올라서는 안 된다는 목표를 세웠다. 만약 기온이 2도가 상승할 경우에는 북극의 빙하가 회복 불가능할 정도로 손상되고, 해양생물의 40%를 지탱하는 산호초가 전멸하며, 기후난민이 수억 명 발생하여 인류가 이를 감당할 수 없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지구 기온은 이미 1.1도가 올라 있기 때문에 앞으로 0.4도의 여유만을 가지고 있을 뿐이다. 목표인 1.5도를 지켜내기 위해선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과 흡수량의 균형을 맞춰야 한다. 이것을 ‘탄소중립’이라 일컫는다. 탄소중립이야말로 현재 인류가 풀어야 할 가장 위급한 과제이다. 이미 130여 나라가 탄소중립을 하겠다고 선언했고, 우리나라도 이에 동참하기로 했다. 


그리고 우리나라도 올해 탄소중립기본법을 발효시켰다. 이 법에 의하면,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이루겠다는 목표 아래, 매 5년마다 ‘국가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을 세우고 이에 따라 온실가스를 줄이도록 되어 있는데, 우리나라에서 만들어지는 모든 법령과 정책들은 다 이 정책을 따라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즉, 우리나라에서 만들어지는 모든 정책들은 2050 탄소중립을 그 기저에 둬야 한다.


탄소중립을 이루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에너지 정책이 가장 중요하다. 근본적으로 재생 에너지를 개발해야만 하는데, 재생 에너지는 대량생산, 대량수송, 대량소비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에너지 절약 정책이 큰 몫을 담당해야 한다. 그래서 기후정책에 모범적인 덴마크, 독일, 영국 같은 나라들은 앞으로 에너지 사용을 절반으로 줄이겠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나타나고 있듯이, 세상이 혼란해지면 에너지도 식량과 더불어 무기화된다. 우리나라는 이 기회에 재생 에너지로 에너지 자립을 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정신만 차리면 에너지를 절약할 수가 있고 기술만 있으면 재생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그러면 온실가스와 미세먼지 문제도 자연히 해결되고 에너지 안보도 이루어진다.


탄소중립을 위한 에너지 정책은 중앙정부에서 기본계획을 만들지만 그 시행은 지역에서 이뤄져야만 한다. 그래서 모든 지자체들도 탄소중립 계획을 만들도록 되어 있는데, 모범적으로 앞서 나가는 지자체들도 더러 있지만, 아직도 이러한 정책이 표를 얻는데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지역의 땅값을 올리는 개발정책들은 잘 시행되지만 탄소중립 정책은 제대로 자리 잡지 못한 곳이 많다. 우리나라는 박근혜 정부에 이르기까지 한 번도 온실가스를 줄여본 적이 없기 때문에 이에 길들여져 있다. 비록 환경단체들이 탄소중립 정책을 촉구하고 있지만 아직 큰 영향력은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 기독교계에서 큰 호응이 일어나 여러 교단과 단체에서 앞다퉈 탄소중립 선언을 하고 협약을 맺고 행동 강령을 만드는 등 활발한 운동을 벌이고 있다. 


‘녹색교회’, ‘창조회복교회 만들기’ 운동도 그중의 하나인데, 햇빛 발전소 건설, 기타 재생 에너지 개발, 에너지 절약, 환경상품 보급, 사막에 나무 심기, 절제 생활 등 여러 가지 운동을 벌이며 교회 간 정보를 교환하고 또 연대하여 생명 운동을 진행하고 있다. 모쪼록 이런 운동이 널리 퍼져 성공적인 탄소중립을 이루는 데 큰 보탬이 되기를 바란다.



총회

더보기
114차 총회, KT·금융결제원과 손잡고 ‘스마트 목회 환경’ 구축
우리교단 114차 총회(총회장 이욥)는 지난 6월 19일 여의도총회빌딩에서 KT(대표 김영섭), 금융결제원(원장 박종석)과 함께 ‘스마트 목회 환경 구축을 위한 3자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디지털 기술과 신앙이 결합된 새로운 목회·선교 생태계 조성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번 협약의 핵심은 전국 3750개 침례교회와 산하 기관을 대상으로 △스마트헌금 키오스크 △침례교 전용 플랫폼 △스마트 카페 복합공간 등을 도입해 디지털 기반의 목회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는 단순한 편의성을 넘어서, MZ세대와의 소통, 기부 문화의 신뢰성 제고, 친환경 사회 공헌 확대 등 다방면에서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협약에 따라 각 기관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맡는다. 총회는 교회 및 기관의 스마트 인프라 도입을 위한 행정 지원과 참여 기반을 조성하고, KT는 통신 및 디지털 전환(DX) 기술을 바탕으로 플랫폼 개발과 키오스크 설치, 유지보수를 책임진다. 금융결제원은 결제서비스 및 기부 시스템 연동 등 금융 인프라를 제공해, 신도들이 손쉽게 스마트 환경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날 협약식에서 이욥 총회장은 “이번 협약은 복음 전파 방식의 혁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