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성폭력 피해자 부모가 해야 할 일(3)

박종화 목사의 가정사역-20
빛과사랑교회

치료자로서의 상담자는 성폭행 피해 당시에 신체적. 심리적으로 어떤 느낌이었는지 자세히 물어봐야 한다. 대부분 그 느낌을 말로 표현하지를 못하는데 신체적으로 느꼈던 느낌과 감정을 무엇이라고 잘 표현하지 못하면 적절한 말로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 우울, 슬픔, 두려움, 불안, 분노, 쾌감 등을 말할 수 있다. 성폭행이 오랜 기간에 걸쳐서 반복됐거나 가해자가 한 사람이 아니라 여러 사람일 수도 있다. 이런 경우 양가감정처럼 두려움과 함께 일부분 신체적인 쾌감을 느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은 피해의 증상이요, 피해의 결과라는 사실을 인지시켜 줘야 하며 자신의 잘못이 아니라 전적으로 가해자 잘못이라는 사실을 가르쳐 줘야 한다.


일곱째, 많은 시간을 고통 가운데 있었던 자신에 대한 애도와 슬픔을 표현하는 단계다.     
성폭력 때문에 그동안 자신의 삶이 상실당했다는 데서 오는 슬픔과 우울한 마음, 그리고 분노의 감정이 교차되면서 찾아오게 된다.


슬픔은 작별을 고하고 애도는 상실을 슬퍼하는 에너지로 사랑하는 사람이 사별했을 때 슬퍼하므로 그 당시 느꼈던 고통과 작별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 다시 살아갈 수 있는 힘을 제공해 주게 된다. 이러한 작업도 일회성에 그치지 않는다. 치유의 여러 단계가 필요 할 때마다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며 점차로 치유가 된다. 상담자는 피해자의 마음을 이해하고 피해자의 말을 경청하며, 지지해 주고 피해자의 감정을 말로 표현하도록 도와줘야 한다. 내담자가 치료자 앞에서 슬픔과 애도의 표현으로 울음을 터뜨릴 경우 포옹해 주고 울음을 제지해서는 안 되고 슬픔에 대한 표현을 잘 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분위기를 만들어 줘야 한다. 


여덟째, 왜곡된 사고나 신념을 인지시키는 단계다. 
성폭행의 피해로 인한 심리적인 충격은 감정을 오염시키는 것뿐 만 아니라 인간관계에 있어서도 인지 왜곡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그러므로 이 단계에서는 자신의 왜곡된 사고나 생각을 확인하게 하고 그러한 왜곡된 사고를 계속 유지할 경우 자신의 삶에 얼마나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될 것인가를 가르쳐 주고 왜곡된 생각에 도전하도록 한다.


긍정적인 생각이 무엇이며, 고통이 수반되겠지만 직면을 통해 자신의 삶에 도움이 되는 행동들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 “내가 당한 일은 회복될 수 없다”, “나의 죄 때문이다”, “세상에 알려져 창피하다”, “남자는 모두 도둑놈” 등의 신념을 가질 수 있다. 그러한 신념의 결과로 아마도 수치심과 죄책감을 떠안고 자포자기하는 심정으로 약물이나 알코올 중독, 또는 성 중독 등의 중독 된 행동을 나타낼 수 있다. 어느 경우에는 사람들 특히 남자에게 폐쇄적인 사람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사고와 행동들로 가정이나 사회에서 적응을 잘 못하고 많은 시간을 고통 가운데 살며 역기능이 더 강화될 수 있다. 이러한 부정적인 신념들은 자신의 인생을 파멸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도록 도와야 한다. 왜곡된 신념이 역기능적인 삶을 유지하게 만드는 원인이 된다는 것과 스스로 마음만 먹으면 충분히 상처에서 헤쳐 나올 수 있다고 격려하며 긍정적 사고를 가질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 과거 어린 시절에 성폭행을 당했지만 그 피해의 고통을 이겨내고 현재는 상담자가 되어 전국으로 성(性)에 대한 강연을 나가고 상담을 하며 당당하게 살고 있는 분의 예를 들어도 좋을 것이다.


아홉째, 성폭행 피해에 대하여 다른 사람에게 공개하는 단계다. 
치료에 도움이 된다면 가해자와 대면을 할 수도 있다. 사실 가장 좋은 직면은 가해자가 참여하는 직면이다. 어린 시절 나에게 상처를 준 아버지가 가족치료를 목적으로 함께 동참해 직면할 때 효과가 더 좋다. 물론 상담자의 도움을 받아 아버지와 자녀의 개별 상담과 적절 할 때 함께하는 상담을 통하여 안정된 분위기 가운데 직면을 유도하는 것이 좋다. 성폭행 피해자의 치료에 있어서도 법적으로 구속된 가해자와의 직면이 필요하다면 피해자를 위한 가해자의 교육, 그리고 피해자의 부모나 성직자, 심리상담사,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느낄 수 있는 분위기를 고려한 장소와 그 모든 것을 통제할 수 있는 기관에 관계된 사람 등이 배치될 수도 있다. 처음에는 이면경(裏面鏡:방안의 가해자는 거울 뒤 공간의 피해자를 보지 못하지만 피해자는 가해자를 볼 수 있게 만들어 놓은 거울) 뒤에서 상담자와 가해자와의 상담을 지켜보게 할 수도 있다. 



총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