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복음의 현장 영국을 가다

군산지구촌교회 임성재 목사

 

영국(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즈)은 침례교와 구세군, 장로교, 감리교, 성결교 등 거의 모든 개신교파가 시작된 영육 부흥의 땅입니다. 말씀을 사랑했던 센스 어필 오감설교의 대명사 찰스 스펄전 목사를 지근에서 만날 수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설교의 선한 영향력을 느낄 수 있다.


요한 웨슬레는 설교할 강단도 교회도 없을 때 말을 타고 다니면서 세계는 나의 교구다(All The World is My Parish)라고 외치며 전도했다. 최근 필자는 영국을 탐방하면서 영국민과 만나는 세계인들에게 성경과 설교, 찬양이 선교적 유튜브 명함을 건넸다. 


그들에게는 무명의 목사일지라도 세계 언어로 번역이 제공되기 때문에 그들의 영혼을 중보하며 복음을 건네면서 역사적 현장을 밟고 다녔다.


영국은 한 때 전국민이 기독교인이라 불리는 때가 있었지만 현재는 1% 내외의 소수 기독교인들이 믿음을 지키고 전수하고 있는 땅이다. 전세계에 신앙의 꽃을 피웠던 나라이기에 우리가 흠모하는 땅이기도 하다. 그리고 바울 이후 “남은 자”를 철저하게 구별시킴으로 역사해 오신 하나님 복음의 역사를 되짚어 보는 탐방을 기획하며 그들의 성정을 살펴보는 귀한 시간이었다.


목회자가 되고 침례교 목사가 되면서 설교의 황태자인 찰스 스펄전이나 근대 선교의 아버지인 윌리엄 캐리가 설교하고 목양하던 교회들을 방문해 그들의 마음을 조금이나마 본받고 싶었다.


먼저 언약교도들이 로마가톨릭교회의 박해를 피해 수도원을 형성한 아이오나 섬을 방문했다. 존 오웬 등 청교도들의 영성을 경험하기도 했다. 신앙의 자유를 찾으러 메이플라워호를 타고 미국을 건설하러 간 노예폐지론자 토마스 클락슨, 존 뉴턴(어메이징 그레이스교회), 감리교 창시자로 전해진 요한 웨슬레, 그리고 찰스 웨슬레, 장로교 창시자이자 스코틀랜드 종교 개혁자인 존 낙스, 더 나아가 교황의 신적권위에 맞서 성경적 믿음을 수호하다 순교한 종교개혁자들, 평양대부흥의 진원지였던 웨일즈 부흥의 역사적인 교회들을 돌아봤다. 대학원 때 필수 교재였던 청교도 신학의 왕자 존 오웬의 성정을 느끼기에 충분했다.


복음 변증가이자, 순전한 기독교, 나니아 연대기를 지은 CS 루이스와 최초 한국성경번역선교회 존 로스, 조선 대동강에서 순교한 토마스 선교사, 베들레헴교회 마틴 로이드 존스, 울소울스교회 존 스토트, 중보기도의 대명사 리즈 하윌즈, 부흥설교가 조지 휫필드, 5만 번의 기도 응답자 조지 뮬러, 목숨을 걸고 아프리카 선교에 헌신하다 아프리카에서 죽은 뒤 심장은 아프리카에, 시신은 영국에 묻혀 있는 리빙스턴의 모습을 다시 상기해본다.


복음에 사로잡힌 그들을 느끼며 우리들의 교회에 진정한 부흥을 중보한다. 하나님이 그들을 사용하신 이유들을 계속 발견하며 절치부심하게 된다. 어떤 기회나 성경적인 영적 부흥의 진원지인 유적지를 꼭 경험한다면 새로운 부흥을 꿈꿀 것이다. 자라나는 세대에게 꿈을 불어 넣을 것이다.


우리 침례교회가 말씀에 사로잡힌 제2, 제3의 스펄전 목사같은 목회자가 많이 세워지기를 소망한다.



총회

더보기
“우중에도 우리의 기도는 멈추지 않는다”
세찬 비바람이 몰아치는 충남 강경 옥녀봉에서 찬송과 기도의 부르짖음이 울려 퍼졌다. 114차 총회(총회장 이욥 목사)는 지난 5월 10일 강경 옥녀봉 ㄱ자 복원교회에서 신사참배거부 교단기념일 감사예배를 드렸다. 이날 예배는 81년 전, 1944년 5월 10일 일제총독부 함흥재판소에서 신사참배를 거부한다는 이유로 교단이 폐쇄된 날을 기리고 믿음의 선진들의 뜻을 되새기는 행사로 진행했다. 1부 감사예배는 총회 교육부장 김성렬 목사(만남의)의 사회로 평신도부장 김태욱 목사(두란노)가 대표로 기도했다. 이어 전국여성선교연합회 글로리아합창단이 찬양하고 총회 여성부장 하숙현 권사(범일)가 성경을 봉독한 뒤, 이욥 총회장이 “하나님 말씀 순종에 목숨 건 사람들”(렘 38:5~6)이란 제목으로 설교했다. 이욥 총회장은 설교를 통해, “예레미야는 제사장의 아들이자 선지자로 무너지는 유다 왕국의 마지막을 보며 애통한 선지자였지만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해 백성들의 불순종과 왕국의 멸망을 예언하며 다시 하나님께로 돌아오라는 메시지를 선포했다”며 “우리 믿음의 선진들이 일제 강점기 신사참배를 거부하고 오직 하나님의 말씀을 지키면서 고난과 수난을 겪으며 오늘에 이르렀다는 사실에 교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