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한국교회가 성경 말씀대로 구원기관이 되고 세상의 빛과 소금이 되기 위해 죄의 고백과 회개의 실천이 필요합니다. 한 곳만 선택한다면 누구로부터 시작해야 합니까?
1) 목회자(31명, 46%). 2) 평신도(1명, 1%). 3) 목회자와 평신도 모두(36명, 53%).
6. 교회가 회복해야 할 일이 있으면 무엇입니까? 모두 선택해 주십시오.
1) 분명한 복음 제시(59명, 87%). 2) 목회자의 자질과 도덕성 회복(59명, 87%). 3) 사회 신뢰도 회복(45명, 66%). 4) 분열과 갈등을 회복하는 교회의 건강운동938명, 56%). 5) 교회의 수적, 질적 회복 운동(32명, 47%). 6) 세상을 섬기는 교회상 정립(29명, 43%). 7) 기타는 기록해 주십시오(16명, 24%).
기타 답변내용
1) 도덕적으로나 윤리적으로 본이 되는 목회자, 성도, 교회가 되어야 한다.
2) 성도의 정체성 확립, 기도와 순종.
3) 오직 말씀 오직 기도. 양적인 성장보다 복음에 생명 건 제자 양육. 하나님의 음성듣기, 개인의 잡년과 고정관념 제거.
4) 회개를 촉구하며 천국과 지옥이 선포되는 주일강단 설교와 기도운동.
5) 말씀대로 순종하는 삶과 기도회복.
6) 성령충만 운동.
7) 교회간의 진정한 소통, 목회자와 교인간의 소통, 교인간의 소통, 일반인과 소통원활.
8) 수평이동 금지. 100 계시록에 나타난 교회의 본질을 듣고 알아 순종.
9) 복음의 깊이를 연구해서 경험해야 함.
10) 초대교회가 사도들의 가르침을 받은 것처럼 그러한 가르침을 회복해야 함. 바울은 이방인의 사도로서 오직 예수가 그리스도 되심을 증거 해함. 바로 이것을 오늘날 교회가 증거하는 일을 회복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11) 성경적으로 교회가 교회다워지고 성도가 성도다워져야 한다.
12) 성경의 권위회복
13) 성령의 사역이 복음과 조화를 이룸.
14) 왜 한국교회가 숫자에 그렇게 민감한가? 중요한 것은 예수의 좋은 제자를 길러내야 하는 것이다.
7. 종교인구 조사에서 우리나라 사람 중에 종교가 없는 사람이 전체 인구의 47%가 됩니다. 개신교의 비율이 18.3%인데, 우리 기독교인들이 회개하고 예수님의 명령에 따라 미래 20년 동안 더 전도 한다면 전체 인구의 몇 %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1) 20%(현재 유지0(10명, 15%). 2) 30%(27%, 40명). 3) 40%(19명, 28%). 4) 50%이상(10명, 155).
8. 침례교단과 한국교회는 80%이상이 작은 교회입니다. 작은 교회들이 성장하지 못하고 침체현상이 계속되면 2050년에는 한국교회 신도수가 500~600만 명 가량이 되고 그 중에 60~70%가 55세 이상 은퇴자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준비 중에 있는 기침 200만 전도 운동과 5천 교회 운동은 목회자와 평신도의 연합 운동입니다. 하나님의 선교 명령에 응답하는 운동이고, 교회의 안팎의 문제와 어려움을 치유하는 운동입니다. 초대교회의 아름다운 신앙 전통과 능력을 회복하고, 교단 역사 다음 20세기를 준비하는 운동입니다. 기독교 한국침례교회 총회가 중심이 되고 전문 사역자들이 돕고 대형교회와 소형교회들의 목회자들이 연합하고 침례교단의 모든 역량을 전도운동에 집중, 협동하는 운동일 때에 참여하실 의향이 있으십니까?
1) 있다(62명, 91%). 2) 없다(4명, 7%). 3) 무응답(2명, 2%).
9. 소형교회들은 목회자의 역량과 지역과 환경에 따라 강소형교회가 되기 위해 필요가 다르나 꼭 필요한 것이 있다면 모두 선택해 주시고 기타가 있으면 적어 주십시오.
1) 영성(61명, 91%). 2) 인성(53명, 78%). 3) 윤리 도덕문제(48명, 71%). 4) 지도력(47명, 69%). 5) 전도훈련(45명, 69). 6) 인내심(43명, 63%). 7) 지성(43명, 63%). 80 금전문제(40명 59%). 9) 건강(40명, 59%). 10) 제자훈련(39명, 57%). 11) 설교훈련(38명, 56%) 12) 기타(소형교회 목회자들이 행동할 일들. 25명, 37%)
기타 답변내용
1) 언행일치.
2) 말씀과 기도의 전념, 요동하지 않고 주님의 영을 실제로 기다림.
3) 인내함으로 기도, 전도가 요구됨.
4) 전도, 기도, 영혼 사랑.
5) 금전에 신경쓰지 않고 목회와 말씀과 전도만 하면 좋겠다.
6) 지역 친화적 목회(지역민들을 복음을 떠나서 사귀고, 관심과 배려를 보이며 책임있게 행동하는 것).
7) 기도훈련(신학교 과정 중에 컬리큐럼으로 기도학 이수)
8) 목회자의 삶에서 기도시간, 말씀시간, 주님과 교제하는 시간이 있어야 한다. 진정한 삶의 본, 또는 능력을 보여야 한다.
9) 전도하다 지쳐 찾아오는 우울증, 낙심, 스스로 주저앉아 있는 영적 게으름.
10) 신구약 성경에 능한 자가 되어야 한다.
11) 성도들이 인정하는 일을 해야 교회가 회복된다. 사람들이 교회, 목회자, 성도들이 싫어서 떠난다. 교회이름으로, 성도이름으로, 목회자의 이름으로 꾸준한 봉사만이 강소형교회가 되는 길이다(문제점은 경제력 부족임).
12) 현장감이 있고 목회사역에 관한 교육의 지속적 시도.
13) 인간관계훈련.
14) 지역사회와 협력.
15)인문학.
16) 계속 교육이 되도록 해마다 목회자를 위한 영성, 지성 인성 세미나를 열어서 깆도하며 공부하는 과정을 반드시 이수하게 해야 한다.
17)소형교회의 눈높이에 맞는 전기적 훈련 아이템이나 세미나를 본인이 선정하여 정기적으로 지속적으로 참여하여 자기관리를 해야 한다.
18) 연합 즉 결속력.
19) 성령운동, 기도운동과 독서.
20) 분명한 비전과 소명의식.
21) 교역자 먼저 진리와 사명으로 나아가야 한다.
22) 하나님만 바라며 영혼을 사랑해야 한다.
23) 십자가 신앙에서 부활 신앙으로 전진하여 십자가에만 머물러 있지 않고 부활하신 주님이 항상 나와 함께 하신다는 임재 신앙이 필요하다.
24) 무엇보다 소명감이 분명해야 한다. 하나님의 부르심을 입었으면 할 일을 찾게 한다. 25) 지역 사회와 소통을 위한 연구와 눈높이 전도전략과 실행이 필요함.
최현서 명예 교수
침신대 실천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