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도한호 교수의 목회와 상식’-20

모습


이번 주간에는 우리가 오남용(誤濫用)하는 말 중에 모습을 살펴보기로 한다. “모습은 사람을 묘사할 때 사용하는 말로서, 옆모습, 웃는 모습, 뒷모습, 산길을 걷는 여인의 모습, 거울 앞에 앉은 누나의 모습, 등으로 자연스럽게 사용되는 은은하고 아름다운 우리말이다.

그런데, 근래에는 주로 매스컴을 통해서 이 말이 엉뚱한 의미로 오남용 되는 사례가 많다. 필자가 메모한 오용사례 몇 가지를 검토해 보기로 한다.

 

1) 사람이 아닌 일과 몬을 [잘못]가리키는 경우

다음 예문은 장맛비가 내려서 한강과 인근 지천이 범람했을 때의 현장 취재 리포트 내용이다:

이것은 오목교 <모습>입니다. 여기는 청대교 북단<모습>입니다. 물이 없는 <모습>인데요.지금은 물이 차 있는 <모습>입니다.”

이 경우에는, “오목교 모습대신 오목교 전경”, “물이 없는 모습 대신” “물이 빠진 상태혹은 조금 전까지는 물이 없었는데 지금은 물이 찼습니다하고 말해야 한다.

부동산 활성화를 말하면서, “일부 지역에서는 거래량이 늘어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하고 말하는 것도 잘못이다. 그래프를 보고 레이저빔으로 지적하면서 설명하는 경우라고 할지라도 거래량이 늘어나는 현상,” 또는 추세라고 해야 한다


2) 운동경기에서 잘못 사용되는 경우

공이[] 회전이 좋기 때문에 방망이가 많이 부러지는 <모습>이 나옵니다.”

“43패로 앞서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2008.5.24. 롯데-SK 야구 해설).

[육상경기 기록] “아직도 부족한 <모습>입니다”(2012. 4.15 06:15, MBN).

원성진 9, 결승전에서도 좋은 <모습> 보여 주시기 바라겠습니다[바랍니다].”

방망이가 부러지는 것이나 경기력이 떨어진 현상을 말 할 때는 굳이 모습이란 말을 쓸 것이 아니라, 그냥 방망이가 자주 부러지는군요” “아직도 기록이 많이 떨어져 있습니다등으로 말해야 한다. 프로 기사 원성진 9단에게는 좋은 모습이 아니라, “좋은 바둑을 보여 달라고 해야 한다.

말을 직업으로 하는 이들이 사람과 일, 또는 일과 몬(사물)을 구분하지 못하는 것은 행여 그들이 나태해서 개선의 의지가 없는 탓이 아닐까. 모습은 사람을 그릴 때[] 사용한다. 잊지 마시기를!

 




총회

더보기
115차 정기총회 목사 인준 대상자 교육
114차 총회(총회장 이욥 목사)는 지난 6월 30일과 7월 1일 양일간 한국침례신학대학교(총장 피영민) 페트라홀에서 각 지방회가 목사 청원한 124명의 예비 목회자가 참석한 가운데 115차 정기총회 목사인준대상자 교육을 진행했다. 개회예배는 총회 교육부장 김성렬 목사(만남의)의 사회로 한국침신대 피영민 총장이 대표로 기도한 뒤, 이욥 총회장이 “베드로가 스카웃 받은 비결”(눅 5:3~11)이란 제목으로 설교했다. 이욥 목사는 설교를 통해, “베드로는 부족함이 많은 사람 중 하나였지만 예수님께서 사용하셨던 크신 뜻이 있었기에 귀한 일꾼으로 사용받았다”며 “하나님은 외모나 성격, 학력과는 무관하게 하나님께서 택하신 뜻대로 사용하셨다. 이번 인준 교육을 받는 이들에게도 하나님의 부르심의 귀한 여정을 감당하며 놀라운 인도하심을 경험하기를 원한다”고 전한 뒤, 축도로 개회예배를 마쳤다. 이어 총회 총무 김일엽 목사가 이번 교육 일정에 대해 설명하며 “목사 인준자 교육은 우리 교단 목회자로 인증을 받는 첫걸음이기에 침례교회의 사명감을 품으며 1박 2일 동안 다시금 사명을 재점검하고 확인하는 자리가 되기를 바란다”고 격려하며 오리엔테이션을 진행했다. 첫 강의는 해외선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