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회의 향후 10년은 구약성경의 요셉이 애굽에서 7년 풍년 후 7년 흉년을 경험하는 기간이 될 수 있다. 한국교회의 침체 기간이 30년이 경과하는 시기이다. 한 세대 동안 갈등과 현실 유지에 매달려 오고 있는 한국교회는 80%에 가까운 교회가 작은 교회들이다.
침체가 장기화 될 경우에 닥칠 위험은 여러 가지가 있다. 작은 교회가 무너지고, 교인들은 노령화가 되면서 자립이 어려워지고 다음세대를 준비할 여력이 상실 되게 된다. 앞으로 10년은 한국교회가 위기와 기회가 복잡하게 공존하는 미래에 직면 할 수 있고, 몰락과 부흥의 갈림 길이 될 수 있다.
2010년 통계청의 인구센서스 자료를 기반으로 저출산, 고령화의 파급, 한국교회의 위기 요소들을 고려 할 때에 2050년에는 한국교회 교인 숫자가 500~600만 명으로 감소 할 수 있고, 그 중에 60~70%는 55세 이상 은퇴자일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하고 있다.
21세기는 대형교회들도 많을 것이지만, 작은 교회가 부각돼야 할 시기가 됐다. 전 세계적으로 ‘작고 강한 교회’운동이 일어나고 있고 이미 전개되고 있다. 작고 강한 교회의 시대이다. 한국교회의 작은 교회가 강하게 되는 일은 하나님의 사역이 활기차고, 교회의 침체를 막고, 다음세대를 연결하는 가장 강력한 자원이기 때문이다. 한국교회의 침체 원인들은 여러 가지가 있고, 침체를 극복하는 방법도 목회자의 역량과 지역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작은 교회가 성장하기 위해 전제 조건들이 있다. 목사가 교회가 성장하기 위해 대가를 지불하기 원해야 하고, 교인들도 교회성장을 위해 기꺼이 대가를 지불하기 원하고, 교회는 전도의 목표가 제자 삼는 것임을 동의하고, 교회가 심각한 임종적 질병을 가지 않아야 한다.
세계에서 가장 크고 빨리 성장하는 교회들 중에 중요한 성장요인들의 하나는 지도자인 목사의 믿음이다. 교회 지도자가 하나님께서 그의 교회를 통하여 행하기 원하는 것에 대한 분명한 비전을 갖고 그 비전을 교회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때, 그의 믿음은 교회 성장을 일으킨다.
믿음의 은사는 성령의 능력을 행하는 은사이며 하나님을 위한 임무를 수행하고 모든 장애물에도 불구하고 그 임무를 수행시키는 하나님이 주신 능력이다. 교회란 예수를 믿고 구원받은 사람들의 공동체이다. 작은 교회 성장에서 교회의 건강을 결정하는 것은 사람들의 머리와 손과 마음의 건강이다.
그 결과는 각자를 향한 하나님의 뜻을 성취하며, 자신의 특성을 개발하고,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는 영향력을 미치는 교회로 성장하는 것이다. 그러기에 교회성장은 질적 성장을 통해 이뤄진다. 질적 성장은 교회를 이루는 사람들의 손과 발 그리고 머리를 통하여 나타나는 질적 수준을 말한다. 단지 교회의 일원일 뿐인데 믿음의 질적인 부분을 통해 반향이 나타나고 질적 성장은 전염성이 있어서 스스로 증식한다.
「남침례교단 교회성장 계획서」는 교회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기본 요인들을 기도와 영적 은사, 지도력, 능정적인 태도, 분명한 비전, 효과적인 전도로 제시하고 있다. 침체하던 교회가 성장하기 시작하는 중요한 요인은 다섯 가지가 있다. 그것들은 교회성장을 원하는 긍정적 태도변화, 교회의 기본 프로그램의 활성화, 목회자 지도력 확립, 열정적인 전도와 분명한 목회관 확립을 들고 있다.
본 논문에서 한국교회현실에 적용할 수 있는 강소형교회 만들기 방안들을 위한 시도를 했다. 일차적으로 문헌 연구를 하였고, 강소형교회들의 사례 조사와 침례교단 68교회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강소형교회가 되기 위한 내용을 30가지 원리로 제시했다.
작은 교회가 강소형교회가 될 특징이 8가지 분야이었다. 건강한 교회의 특징은 목사, 평신도, 사역, 조직, 소그룹, 전도, 성경적인 우선순위와 나눔을 가지는 교회이다. 본 연구 조사에서 침례교단 목회자들은 교단전체가 작은 교회를 협력하여 강소형 교회를 만드는 사업에 91%가 동참하겠다고 응답하고 있다.
최현서 명예 교수
침신대 실천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