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도한호 교수의 목회와 상식’-26

직업의식


필자가 어린 시절에는 의사가 외출할 때는 언제나 왕진가방을 들고 다녔다. 그것은 목회자가 항상 성경찬송을 지참하고 다니는 것과 마찬가지 이유에서일 것이다. 의사는 언제 어디서 도움을 필요로 하는 환자를 만날지 모르기 때문이며, 목사는 상담을 하거나 말씀 전할 것을 대비해야하기 때문일 것이다.

필자가 다닌 미국의 신학교(대학원대학교)에서는 교수는 물론 전교생이 넥타이를 매고 등교해야 하고 캠퍼스에서는 반바지와 청바지 및 운동화 착용까지도 금했다. 그것은 대학원 학생부터는 목회자로서의 품위를 유지해야하고 외출 시에는 언제 어디서든 예배를 인도 하거나 의식(儀式)을 집행할 준비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는 이유 때문이었다. 바로 이와 같은 이유로 군인은 군복을 입고 총을 들고 다니며 기자는 수첩을 가지고 다니고 사진가는 자나 깨나 카메라를 손에서 놓지 않는다.

교회가 아무리 흔하고 목사의 수자가 아무리 많다 해도 목사는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을 위해 자나 깨나 경성(警省)하고 있어야 하는 사람이 아닌가. 차제에, 목회학에서 지적하는 평가항목에 곁들여서 자신의 목회 사역을 한번 평가해보는 것이 어떨까.


목회 중간 평가

1) 교회가 왜 나를 초청했으며 교회는 내게 무엇을 기대하는가?

2) 나는 교회나 일터에서 무엇을 해야 하는 사람인가?

3) 한 해 또는 일정기간 동안 이룩한 나의 업적은 무엇인가?

4) 전도활동은 어떻게 하고 있으며 개인전도는 몇 사람에게 했는가?

5) 그 결과로 신자는 얼마나 증가 또는 감소했는가?

6) 증감의 원인이 무엇인가?

7) 나의 목회 사역에 대한 신자들의 평가는 무엇인가?

8) 만족 불만족 간에 그 원인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9) 연초에 세운 목표는 얼마나 성취 했는가?

10) 나의 설교는 신자들에게 감동을 주는가?

11) 신자들이 내게 호의적이거나 싫어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12) 나의 장기 목회 계획은 무엇인가?


목회는 분명 하나님의 부르심으로 시작했지만 간혹은 직장인의 직업의식에도 미치지 못하는 목회를 하는 이도 있는 것 같다. 목회자에게 직업의식 운운하는 것 자체가 격에 맞지 않지만 목회자도 최소한 직장에 출근해서 근무한다는 각오를 가지고 목회에 임해야 할 것이다. 반성하며 내놓는 권면이다. 



총회

더보기
115차 정기총회 목사 인준 대상자 교육
114차 총회(총회장 이욥 목사)는 지난 6월 30일과 7월 1일 양일간 한국침례신학대학교(총장 피영민) 페트라홀에서 각 지방회가 목사 청원한 124명의 예비 목회자가 참석한 가운데 115차 정기총회 목사인준대상자 교육을 진행했다. 개회예배는 총회 교육부장 김성렬 목사(만남의)의 사회로 한국침신대 피영민 총장이 대표로 기도한 뒤, 이욥 총회장이 “베드로가 스카웃 받은 비결”(눅 5:3~11)이란 제목으로 설교했다. 이욥 목사는 설교를 통해, “베드로는 부족함이 많은 사람 중 하나였지만 예수님께서 사용하셨던 크신 뜻이 있었기에 귀한 일꾼으로 사용받았다”며 “하나님은 외모나 성격, 학력과는 무관하게 하나님께서 택하신 뜻대로 사용하셨다. 이번 인준 교육을 받는 이들에게도 하나님의 부르심의 귀한 여정을 감당하며 놀라운 인도하심을 경험하기를 원한다”고 전한 뒤, 축도로 개회예배를 마쳤다. 이어 총회 총무 김일엽 목사가 이번 교육 일정에 대해 설명하며 “목사 인준자 교육은 우리 교단 목회자로 인증을 받는 첫걸음이기에 침례교회의 사명감을 품으며 1박 2일 동안 다시금 사명을 재점검하고 확인하는 자리가 되기를 바란다”고 격려하며 오리엔테이션을 진행했다. 첫 강의는 해외선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