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81년만에 최악의 대지진 일어난 네팔에 희망을

현지 선교사, “카투만두 유령도시로 변해…식량 식수 부족, 여진 공포”


해외선교회, 전국교회에 긴급 구호 후원 요청


네팔 현지 시각 지난 425일 오전 11시 카투만두에서 82떨어진 산지 지역에서 발생한 진도 7.5의 강진으로 81년만에 최악의 참사가 벌어지고 있다. 현재도 여진으로 인해 피해지역이 점점 확산되면서 희생자 피해도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이미 5천여명이 넘었으며 최소 1만명 이상이 사망한 것으로 외신은 전했다.


현재 진앙지는 카트만두 북서쪽으로 82Km, 관광도시인 포카라에서 동쪽으로 68Km로 떨어진 곳 파악된 상태. 진앙지가 땅밑 15km로 얕고 건물들 상태가 낙후해 인명과 재산피해를 추산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현재 네팔에는 침례교 해외선교회 소속 전훈재(유연화) 선교사를 비롯해, 김영효(강애란), 안항길(송순화) 선교사가 사역하고 있으며 안식년으로 국내에 체류중인 전훈재 선교사 가족을 제외한 나머지 선교사들인 현지에서 안전한 지역에서 대피한 상태이다.


안항길 선교사는 해외선교회에 긴급 메시지를 보내, “현재 200여회 이상의 여진이 계속 진행되고 있다. 사역지가 어떤 상황이지 현재로서 파악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지진 피해가 예상되지만 현재 선교지를 둘러볼 수 있는 상황이 되지 못해 안타까울 뿐이다. 부디 지체들이 어려움을 겪지 않길 바란 뿐이라고 전했다.


김영효 선교사도 현재 집에 머무는 것이 위험해 대피소로 대피할 준비를 하고 있다. 여진이 계속 진행되면서 비상식량과 물을 확보하는데 어렵다. 전기 공급도 원활하지 못하다. 특히 비상식량을 구하기 위해 위험을 무릅쓰고 다니고 있다. 수도 카투만두는 전기도 끊기고 유령도시로 변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교회와 성도들의 기도와 후원이 절실하다고 호소했다. 이에 침례교 해외선교회(회장 이재경 목사)는 지난 427일 긴급 회의를 진행하고 지진 피해를 입은 네팔과 현지 활동하고 있는 선교사들의 안전 대책을 논의했다.


이재경 회장은 현재 전화는 계속 불통된 상황으로 카카오톡 메시지를 통해 현지 상황을 전달받고 있다. 선교사들도 급하게 안전지대로 대피한 상황이라 지교회 상황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 전훈재 선교사의 썩디살리교회의 교회담이 무너졌다는 내용 정도 파악한 상황이다. 구체적인 상황은 본격적인 복구 작업이 이뤄져야 확인할 수 있을 듯 싶다면서

신변의 위협까지 느끼고 있는 현지 선교사들이 하루 속히 선교지를 찾아 구호할 수 있도록 본부에서도 최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다. 전국교회가 이번 일에 함께 동참해줘서 절망의 네팔을 희망의 네팔로 일으킬 수 있도록 기도와 후원을 부탁한다고 전했다.



총회

더보기
이욥 총회장 직무정지 가처분 2심도 기각
김OO 목사, 차OO 목사, 김OO 목사 3인이 이욥 총회장을 상대로 제기한 직무집행정지가처분이 항고심에서도 기각 판정을 받았다. 서울고등법원 제25-1 민사부는 지난 3월 25일 사건번호 2025라2147 직무집행정지가처분에 대해 “채권자의 가처분신청은 보전할 권리와 그 보전의 필요성에 대한 소명이 부족해 이유 없다. 그뿐만 아니라 가처분 채무자의 적격을 그르쳐 부적법하다고 보아야 한다. 이와 결론을 같이해 채권자의 가처분신청을 기각한 1심 결정은 결과적으로 정당하고, 채권자의 항고는 이유 없으므로 이를 모두 기각하며, 항고비용은 패소한 채권자들이 부담하기로 한다”고 판결했다. 채권자 3인은 법원에 1심 결정을 취소하고 총회장 선출결의 무효확인 사건의 본안판결 확정시까지 이욥 총회장의 직무를 정지시켜달라고 재차 요구했지만 법원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법원은 “이 법원도 채권자의 가처분명령신청은 그 피보전권리에 대한 소명이 부족하고, 보전의 필요성이 있다고 볼 수도 없다고 판단한다”며 판결 이유를 설명했다. 채권자들이 항고 이유로 들고 있는 주장들이 1심에서 내세운 주장과 실질적으로 별로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 또한 법원은 “대표자의 선임 결의 효력에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