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위안부(慰安婦) 문제

‘도한호 목사의 목회와 상식’- 117

일본이 대동아 전쟁 중에 한국과 동남아의 소녀들을 강제 동원해서 군의 성노예로 이용한 소위 군 위안부 강제동원문제는 위안부생존자들의 증언과 방대한 기록물에 분명하게 나타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베신조(安培晋三) 수상은 지속적으로 이를 부인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인 가운데서도 무라야마 도미이치(村山富市) 총리대신과 하시모토 류타로 총리대신은 이를 인정하고 사과했으며(1994, 1996), 소다 가스히로(想田和弘) 같은 이는 생전에 자신의 트위터에 2,000번 이상 위안부 고발 기사를 올리기도 했다.


위안부 문제로 한?일 간에 갈등이 깊어지는 가운데 우리 정부는 20151218일에 군 위안부 문제 관련 한?일 합의사항” 5개 조항을 발표했다. 그런데 이 합의는 위안부 생존자들과의 의견교환이나 합의 내용에 대한 국민적 공감을 얻지 못하고 나온 것이어서 국민을 당황스럽게 했다.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2항은, 일본 정부는 책임을 통감하며 아베 총리는 사죄와 반성의 마음을 표현한다.

3-4항은, 일본정부가 한국정부에 보상을 완료한 후에는 피차 다시 언급하지 않는다.


5항은, 소녀상 문제는 한국 정부가 관련 단체와의 협의를 통해 적절히 해결을 위해 노력한다. 그러나 아베 수상은 합의 다음날, 일본은 위안부를 강제 동원한 일이 없다고 공개적으로 부인했다. 그렇다면 그가 무슨 책임을 통감하고 무엇을 사죄한다는 말인가? 3~4항에서 언급한 금전적 보상은 우리 정부와 국민 정서가 얼마나 동떨어져 있는지 극명하게 보여준다. 이 치욕스런 역사적 만행에 대한 7천만 민족의 의분을 가해자의 진솔한 시인과 사죄도 없이 돈(10억 엔)으로 달래려 하다니 한심한 발상이다.


합의문발표 후 대통령은 소녀상에 대해서는 아무 것도 결정한 것이 없다고 여러 번에 걸쳐 공개적으로 언급했으나 5항에는 합의사항이 버젓이 나와 있다. 대통령의 생각을 알 수 없다. 지금은 이 조항으로 인해 주객이 전도 되어서 한국이 되레 추궁을 받는 입장이 되었다. 소녀상은 일본의 합당한 사죄가 없는 한 원하든 원하지 않든 세계 방방곡곡으로 퍼져나갈 것이며 그것을 막을 장사는 아무도 없다. 일본은, 이와 같은 사태는 일본이 엄연한 역사적 사실을 지속적으로 부인한 반작용으로 생긴 결과물일 뿐, 대한민국 국민 어느 누구도 바라지 않았던 결과임을 알기 바란다.


2007년에 미연방하원 결의안 4항은 위안부의 존재를 소름끼치는 범죄”(horrible crime)라고 표현하고 참상을 다음세대에 알려야 한다고 주장했고, 2013년 뉴욕주 상원은 뉴욕 주에 세워진 위안부 소녀상은 위안부를 온 세계에 알리기 위해 필요하다고 결의했다. 독일이 나치의 만행을 시인하고 사죄했다고 해서 지구상 어느 나라가 독일을 비난하는가? 아베수상이 대일본의 길을 버리고 소인국의 길을 택한 것이 애석하다. 그렇게 한다고 해서 역사를 고쳐 쓸 수 있을까? 일본인은 부지런하고 정직하며 예를 아는 민족인데 일부 정치 지도자들이 국민을 호도하는 것이 안타까울 뿐이다.



총회

더보기
더 큰 믿음으로 도약하는 ‘라이즈 업 뱁티스트’
3500여 침례교회가 함께하는 2025 전국침례교회 연합기도회 ‘라이즈 업 뱁티스트’가 지난 6월 1일 저녁 7시 30분, 대전은포교회(이욥 목사)에서 시작됐다. 이번 기도회는 6월 13일까지(6월 7일 제외) 전국 12개 교회에서 열리며, 기독교한국침례회 총회 유튜브를 통해 생중계되고 있다. ‘더 큰 믿음으로 도약하라!’란 주제로 진행되는 이번 연합기도회는 대전은포교회에서 첫 문을 열었다. 대전은포교회 찬양팀의 찬양으로 시작된 예배는 대전침례교연합회 회장 임헌규 목사(자성)의 기도, 다음세대캠프 홍보 영상 상영으로 이어졌다. 총회 전도부장 이황규 목사(주우리)의 인사에 이어 총회장 이욥 목사가 환영사를, 총회 총무 김일엽 목사가 광고를 전했다. 이욥 총회장은 “올해로 5년 차를 맞은 라이즈 업 뱁티스트가 어느 때보다 말씀과 기도를 사모하는 시간이 될 것이라 확신한다”며 “3500여 교회 목회자들이 함께하면서 성령의 역사, 치유, 영혼 구원의 역사가 펼쳐지길 바란다”고 밝혔다. 헌금 시간에는 찬양팀 ‘더 웨이’가 특별찬양을 했고, 참석자들이 함께 공동기도문을 낭독했다. 공동기도문에는 △나라와 민족 △라이즈 업 뱁티스트 △다음세대를 위한 기도 제목이 포함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