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청년이 살아야 교회가 산다-1

“청년이 살아야 교회가 산다”는 평소의 주장과 이 시대 보다 절실해진 젊은이 사역의 가치를 일깨우는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까 하는 마음에 기대어 용기를 내어 본다.
필자는 1992년 침례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1학년 때부터 2017년 현재까지 약 25년 동안 전국의 여러 지역교회와 대학캠퍼스에서 젊은 영혼들을 줄곧 섬겨왔다.
교육전도사로 처음 부임한 청주의 작은 교회 담임 목사님은 내가 대학시절 캠퍼스 “대학생성경읽기선교회”(U.B.F)라는 선교단체에서 약 3년 훈련받은 것을 근거로 청년대학부를 맡겼다.
최근 6년은 서울대학교회 담임목사(2012.3~2016.2)와 서울대 캠퍼스 선교사(2016.3~현재)로서 현장에서 젊은 영혼들을 계속 섬겨왔다.


처음의 때는 20대 중반이었고 친구, 또는 형이나 오빠의 마음으로 사역을 시작했지만, 이제는 어느덧 대학생 자녀를 둘이나 둔 가장이 되었을 뿐 아니라, 부모의 마음으로 맡겨주신 젊은 영혼들을 섬기는 입장이 됐다.
그렇다면 50대에 접어든 나는 왜 여전히 젊은이 사역 현장을 떠나지 못하고 있을까? 이유는 간단하다. 이곳이 바로 주님이 친히 맡겨주신 개인적 소명의 자리이자 한국 교회가 가장 시급히 회복해야 할 달란트 농사의 자리라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은 현재 미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은 선교사를 파송한 나라가 됐고, 개신교 각 교단의 세계 최대 교회들은 모두 한국에 있다는 이야기가 오래전부터 회자된다. 그런데 이러한 오늘 날 한국교회의 결실은 약 130년 전 청년이 살아난 땅에서 온 언더우드, 아펜젤러, 존 헤론, 말콤 펙윅 등 20대 서양 청년 선교사들의 소명과 헌신 덕분이었다. 안타깝게도 한국 교회는 지난 약 20여 년 동안 다른 종교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수많은 전도 프로그램과 전도특공대의 가동에도 불구하고 약 850만 정도에서 성장이 멈춰 있다.


특별히 청년대학생층 비율이 급격히 줄어왔다. 학원복음주의협의회(협의회)에서 전문조사기관의 의뢰해서 2017년 1월부터 진행한 한국 대학생 의식과 생활 조사의 결과 발표에 따르면 현재 대학생 전체에서 기독교인이 차지하는 비율은 약 15%정도이고, 구원의 확신이 있는 경우는 10%정도였다. 말하자면 10명 중 1명만이 그리스도인으로서 90%는 전도대상자들이 된다.
그러나 현실 인식의 왜곡이 있다. 현재 한국교회는 세월이 흐름에 따라 자연스럽게 숫자가 늘어난 장년층 교인들과 그들의 대다수가 선호하는 대형교회를 중심으로 한 일부교회들의 큰 성장이 가져다 준 착시효과 때문이다.


분명한 것은 오늘 날 한국교회에 유년주일학교와 중고등부가 없는 작은 교회들이 부지기수이다. 종교사회학자들은 한국 교회 구성 연령층이 이미 노쇠화 되어 있고, 청년층 이하의 토대가 붕괴되어 있기에 이대로라면 반드시 한 세대 후에는 약 300만 명 정도로 감소될 수밖에 없을 것으로 예상한다.
“청년이 살아야 교회가 산다”는 주장은 단순한 표어가 아니라 한국교회의 현 위기를 구원할 생명의 깃발이다. 앞으로 필자는 지난 25년 동안의 현장 사역 경험과 이야기를 매개로 왜 한국 교회가 다시 살아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젊은이 사역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최선이며 중요한지를 나눠보려고 한다.


석종준 목사

서울대 캠퍼스 선교사
상대원교회 협동 침신대 학부 신대원 출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