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신기방기

김종훈 목사의 목회이야기-93

김종훈 목사
오산교회

얼마 전 금요일과 주일은 좀 힘든 날이었다. 금요일 새벽, 새벽기도를 인도하려 나오려는데 갑자기 몸살 기운이 감돌면서 딱 쉬고 싶단 생각이 들었지 뭔가? 하지만 그 새벽, 갑자기 설교를 누군가에게 맡기기도 그래서 힘들지만 나가서 인도는 했는데, 그때부터 하루 종일 몸살기는 더 커져버렸다.


기도하면서 버텨보려 했지만 잘되지 않았다. 철야기도회 인도라도 누구한테 부탁할까 했지만, 그 역시 갑작스레 맡기기가 어려웠다. 그래서 아무래도 이대론 안되겠다 싶어 오후 늦게 급히 내과를 찾았다. 주사 한방을 억지로 부탁을 하고는 약도 좀 세게 조제해 달라 부탁해 먹고는 철야기도회를 인도했다. 그래서인지 정신까지도 몽롱해져 그 기도회가 어떻게 지나갔는지 기억도 없다. 술 취하면 필름 끊긴다더니 약에 취한 나도 그랬다.


하지만 프로(?)답게 애써 태연한 척은 했다. 물론 예민한 성도들은 눈치 채셨을 수 있다. “목사님이 다른 때보다 좀 힘들어 보이신다.” 그래서 철야기도회가 끝나기 무섭게 사택으로 돌아왔다. 아내와 딸아이는 아직 기도중이라는 문자를 받고는 “먼저 자겠다”며 누웠다. 그렇게 약 기운에 취하니 토요일 아침 늦게까지 잤다. 그러고 나니 신기방기, 몸은 한결 가벼워지더라.


그렇게 몸과 마음을 추스르고 토요일 사역을 열심히 한 뒤, 사택으로 돌아가 주일을 위해 11시쯤 잠을 청했나? 그런데 또 문제가 생겼다. 몸살기는 가라앉았는데 웬일인지 이번엔 잠이 오질 않는다. 이리도 눕고 저리도 누워보았지만 소용없었다. 전에도 그런 적이 없진 않았으나 그래도 새벽 1~2시께는 잠들었었는데, 그날은 그 시간도 훌쩍 넘겼다. 주일 아침엔 어김없이 5시30분에는 일어나야하는데, 큰일 났단 생각에 더 잠은 달아났다. 너무나 괴롭고 힘들었고, 기도조차도 먹히지 않았다. 그제야 비로소 불면증에 시달리는 몇 성도들 생각도 났다. 그들도 얼마나 괴로웠을까?


그렇게 눈만 감은 채 한숨의 잠도 이루지 못하고 시간만 보냈다. 정말 내겐 처음 있는 일. 그렇게 마침내 5시 30분, 알람소리는 들렸다. 정말이지 몸이 천근만근, 오죽하면 주일설교조차 맡기고 싶었을까? 하지만 그 역시 상황이 안 되니 억지로 몸을 일으켜 무겁기 한량없는 눈을 비비며 일어나 샤워를 하고는 양복을 차려입고 교회를 향했다. 그래서인지 그날만큼 주일을 위해 간절히 기도한 적은 없는 것 같다.


“하나님 나 좀 살려 달라”고 간절히 붙들었다. 그렇게 또 난 여느 때와 똑같이 다섯 번의 주일설교를 다 소화했다. 하지만 그 설교를 어떻게 했는지는 기억이 없다. 그래서 궁금해졌다. 혹 횡설수설은 안했을까 싶어, 교회 홈페이지에 업로드 된 금요일설교와 주일설교를 다시 들었다.  그렇게 내 설교 모습을 인터넷을 통해 다시 보는데 참으로 신기방기. 놀랍게도 다소 피곤해 보이는 건 있었으나 여느 때와 다름없이 프로답게(?) 잘 소화했을 뿐 아니라, 오히려 더 은혜가 넘침도 느꼈다.


솔직히 말해 딴 때보다 더 성령충만해 보였다. ‘아, 그래서 지난 금요일 밤 성도들의 기도소리가 유난히 컸었구나. 아, 그래서 지난주일 설교가 더 은혜로웠다는 평도 하셨구나’ 싶었다. 참으로 신기방기.
그래서 이 부족한 종은 또 깨닫는다. ‘역시 이 일은 내 힘으로 하는 게 아니다. 성령께 의지하여 그 분의 힘으로만 하는 것이다. 몸살 나게 하시고, 잠 못들 게 하신 데에도 다 이유가 있다’
이렇게 깨달음을 주시니 이 또한 감사하다. 신기방기할 뿐이다. 하지만 아무리 그래도 몸살은 안 났으면 좋겠고, 잠은 잘 잤으면 좋겠다. 우리 교단 목사님들 모두 다 그러셨으면 좋겠다.



총회

더보기
114차 총회, KT·금융결제원과 손잡고 ‘스마트 목회 환경’ 구축
우리교단 114차 총회(총회장 이욥)는 지난 6월 19일 여의도총회빌딩에서 KT(대표 김영섭), 금융결제원(원장 박종석)과 함께 ‘스마트 목회 환경 구축을 위한 3자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디지털 기술과 신앙이 결합된 새로운 목회·선교 생태계 조성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번 협약의 핵심은 전국 3750개 침례교회와 산하 기관을 대상으로 △스마트헌금 키오스크 △침례교 전용 플랫폼 △스마트 카페 복합공간 등을 도입해 디지털 기반의 목회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는 단순한 편의성을 넘어서, MZ세대와의 소통, 기부 문화의 신뢰성 제고, 친환경 사회 공헌 확대 등 다방면에서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협약에 따라 각 기관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맡는다. 총회는 교회 및 기관의 스마트 인프라 도입을 위한 행정 지원과 참여 기반을 조성하고, KT는 통신 및 디지털 전환(DX) 기술을 바탕으로 플랫폼 개발과 키오스크 설치, 유지보수를 책임진다. 금융결제원은 결제서비스 및 기부 시스템 연동 등 금융 인프라를 제공해, 신도들이 손쉽게 스마트 환경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날 협약식에서 이욥 총회장은 “이번 협약은 복음 전파 방식의 혁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