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노은산책 80> 노인(老人)

 

예전에는 부모님 환갑잔치가 성대하게 치러졌으나 오늘날에는 칠순잔치도 마다한다. 인생 70이 장수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13년째 계속되어온 은빛대학65세 이상 어르신이 대상이지만 60대는 참석하길 꺼리신다.

 

교회에 새로 등록하신 노인분도 자신은 젊은 목장에 넣어 달라신다. 노인도 노인을 싫어함은 재력도 체력도 떨어지고, 몸에서 냄새가 나고, 잔소리가 많아지고, 엉뚱한 행동을 하기 때문이다. 이젠 노인이라는 말조차 싫어하니 어르신이라 해야 한다.

 

102일 제17회 노인의 날, 안타까운 소식은 부산의 도심 주택가 단칸방에서 숨진 지 5년이 넘은 것으로 추정되는 60대 할머니의 시신이 백골 상태로 발견됐다. 추위를 피하려는 듯 두꺼운 겨울옷을 잔뜩 껴입은 채였다.

 

발견 당시 할머니는 완전한 백골 상태였으며 목장갑을 끼고 겨울옷을 아홉 겹이나 입고 있었다. 경찰은 홀로 살아온 할머니가 추위와 굶주림으로 사망한 것으로 추정했다. 건강보험료가 20088월 이후 체납돼 독촉장이 쌓여 있었던 점 등으로 미뤄 사망 시점이 2008년 말일 것이라고 밝혔다. 할머니 철저히 혼자였다. 결혼도 하지 않았고 친구도 없었다.

 

전체 독거노인의 42.4%가 최저생계비 이하로 생활한다. 대부분의 독거노인은 자녀가 있지만 보호받지 못해 비참한 생활을 하고 있다. 복지부 조사 결과 독거노인의 97%가 평균 3.86명의 생존 자녀를 두고 있지만 주 1회 이상 자녀와 접촉하는 비율은 34.9%에 불과하다.

 

노인인구가 급증하는 사회에 새롭게 부각되는 학문이 20세기 초 독일의 면역학자 이리야 메치니코프의 노년학(Gerontology)이다. 노년학은 단지 고령자의 건강 유지와 치료만을 다루는 게 아니라 연금 문제를 포함한 복지, 고령자의 사회참가, 생활여건 등 폭넓은 범위를 연구 대상으로 삼는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2013년 현재 65세 이상 독거노인은 1252,000명으로 전체 노인(6138,000)20.4%에 해당된다. 노인 4명 중 1명이 혼자 사는 셈이다. 이제 교회는 급속히 늘어나는 초고령화 사회를 서둘러 준비해야 한다. 60세에 은퇴하고 인생의 1/4에 해당하는 20년을 어떻게 품위있게 살아야 하는지.

 

김용혁 목사

대전노은교회



총회

더보기
114차 총회, KT·금융결제원과 손잡고 ‘스마트 목회 환경’ 구축
우리교단 114차 총회(총회장 이욥)는 지난 6월 19일 여의도총회빌딩에서 KT(대표 김영섭), 금융결제원(원장 박종석)과 함께 ‘스마트 목회 환경 구축을 위한 3자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디지털 기술과 신앙이 결합된 새로운 목회·선교 생태계 조성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번 협약의 핵심은 전국 3750개 침례교회와 산하 기관을 대상으로 △스마트헌금 키오스크 △침례교 전용 플랫폼 △스마트 카페 복합공간 등을 도입해 디지털 기반의 목회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는 단순한 편의성을 넘어서, MZ세대와의 소통, 기부 문화의 신뢰성 제고, 친환경 사회 공헌 확대 등 다방면에서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협약에 따라 각 기관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맡는다. 총회는 교회 및 기관의 스마트 인프라 도입을 위한 행정 지원과 참여 기반을 조성하고, KT는 통신 및 디지털 전환(DX) 기술을 바탕으로 플랫폼 개발과 키오스크 설치, 유지보수를 책임진다. 금융결제원은 결제서비스 및 기부 시스템 연동 등 금융 인프라를 제공해, 신도들이 손쉽게 스마트 환경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날 협약식에서 이욥 총회장은 “이번 협약은 복음 전파 방식의 혁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