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작은 교회의 개념
예배의 출석률을 언급 할 때는 주일 낮 예배에 참석하는 성도수를 기준으로 한다. 작은 교회라는 용어를 정의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고, 쉽지 않은 많은 제한적인 내용이 있다. 현대문화는 ‘작은’이란 개념에 편견적인 개념을 가지고 있다.
교회가 태어난 문화적 배경과 지역과 교회적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교회는 주님의 피 값으로 사신 교회이기에 세상적인 용어인 ‘작은’이라는 용어가 합당하지 않을 경우가 있다(행 20:28). 예수님이 언급하신 복음의 생명력을 깨닫고 있는 사역자에게는 숫자가 많이 문제가 되지 않기 때문이다(요 12:24).
교회를 분류할 때에 보통 연구를 위하여 주일 낮 평균 예배자 수를 중심으로 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에는 침례를 받고 입교한 교인들을 중심으로 하나 한국교회의 분류인 전체교인을 중심으로 분류하고자 한다.
한국교회의 대표적 연구기관인 교회성장연구소는 「한국교회 경쟁력보고서」에서 출석성도 수를 기준으로 소형교회(100미만의 교회), 중소형교회(100~300명 미만), 중중형교회(300~600명 미만), 중형교회(600~1000명 미만), 중대형교회(1000~2000명 미만), 대형교회(2000명 이상)으로 분류하고 있다.
미국의 대표적인 교회성장 연구가인 Lyle E. Schaller는 미국교회의 1/3이 100명 미만의 소형교회이고, 1/3이 100명에서 200명 미만의 중형교회에 다니고, 나머지 38%가 200명이 넘는 교회에 다닌다고 언급한다. 예배 성도수가 40명 미만은 초소형교회라고 부른다.
본 연구에서 침례교단을 중심으로 연구를 하기에 초소형교회(개척교회, 미자립교회, 1~50명 이하), 소형교회(51~100명 이하), 중소형교회(101~200명 이하), 중형교회(201~500명 이하), 중대형교회(501~1000명), 대형교회(1001~2000명)로 분류하고 있으며 초대형 교회는 2000명 이상으로 분류했다.
3. 작은 교회의 구조적 특징
작은 교회는 사회적, 문화적 변화들에 영향을 받는데, 내적인 요인들이 있고, 외부에 의해 영향을 받는 외부적 요인이 있다. 변화는 건설적이면서 파괴적일 가능성이 있다.
작은 교회 분위기는 사람들과 기관에 의해 결정이 된다. 패배적 기대감이 동요와 절망을 만들어 내는 반면 낙관적 사고방식은 적극적 반응을 촉진하고 교회의 삶에 영향을 미치며 교회의 분위기에 영향을 미친다.
작은 교회는 우유부단하다가 부지중에 스스로의 운명을 결정한다. 결단성이 없이 엉거주춤하면 수동성이 자체 내의 모든 창조성을 눌러 버린다. 작은 교회에 외부에서 영향을 주는 것은 사회의 변화, 교인들의 이동, 신규 회원 대 기존 회원, 지도자 대 성도, 이 가족 대 저 가족, 그리고 교단과의 관계가 있다.
성경은 작은 교회에 대해 신학적 의의를 제시하고 있다. 구약성경에서 교회의 모형은 ‘남은 자’인데 언제나 소수였다(사 10:20~23). 노아의 8식구, 애굽으로 이주한 야곱의 75인 가족, 여호수아와 갈렙, 엘리야 시대 7000명, 그리고 바벨론 포로에서의 귀환은 그 시대 작은 자들이었다.
신약시대의 교회는 집에서 모였고 모임의 숫자는 작은 수 일 수밖에 없었다(고전 16:19). 그리고 한국교회의 80% 가량은 성인출석 100명 미만의 교회이다.
교회는 그의 자원과 배경에 비춰서 얼마나 충실히 사명을 다했는 가에 따라서 판단되어야 한다. 각각의 교회는 크기에 관계없이 그리스도의 몸의 위해 기여한다. 큰 교회나 작은 교회나 사역자가 착하고 충성되게 사역하면 하나님은 같은 상급을 주신다(마 25:14~29).
작은 교회의 구조적 특성은 먼저 재정운용에서 큰 교회에 비해 덜 체계적이다. 큰 교회의 재정운용구조와는 비교적 단순하다. 작은 교회의 특징은 지도력의 개발 기회가 많으며 용이하다. 작은 교회는 개인의 잠재력 개발을 쉽게 제공하고, 큰 교회보다 지도력을 인정받을 가능성이 높다.
작은 교회는 구조적으로 힘든 환경에 처해 있다. 큰 교회는 위험에 노출되었을 때 분열되고 깨질 수 있으나, 작은 교회는 위험에 생존의 문제가 걸리게 된다. 작은 교회는 자원자 형식의 조직이고, 전문 사역자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담임목회자 한 사람이 담당한다.
작은 교회는 큰 교회보다 평신도자원자에게 의존하게 되고, 한 사람이 성가대 지휘자와 주일학교 교사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사역을 하게 된다. 대부분의 작은 교회는 재정운용에서 큰 교회보다 덜 체계적이고, 인쇄 매체에서 체계적이지 않고, 가족적이고, 성도들의 관계가 가깝고, 위원회보다는 개인들이 일을 주도할 수 있고, 서로 이해를 잘할 수 있는 구조이다.
작은 교회의 구조는 큰 교회나 중간교회의 성격과 다른 특성을 지니고 있다. 목회자가 적극적이고 목회관이 분명한 경우에 교인들과의 의사소통을 통해 사역을 만족스럽게 진행 할 수가 있다. 작은 교회는 강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작은 교회는 기능적인 관계보다 인간적인 관계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작은 교회는 교인간의 친밀감으로 형성되어 있기에 강할 수 있다. 큰 교회는 익명이 많기에 관계형성이 원할 하지 않으나 작은 교회는 교제를 통해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다. 작은 교회는 목회자의 지도력이 쉽게 인정받을 수 있게, 작은 교회가 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최현서 명예 교수
침신대 실천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