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하늘 붓 가는데로” 56년 살아온 부부 이야기


이 이야기는 남의 이야기가 아니라 바로 필자 자신의 이야기이다. 신랑인 내가 22세 그리고 신부인 아내가 19세에 청춘남녀는 짝을 이루었고 금년 내 나이 78세인 즉 56년을 같이 살아왔다는 말이 정확한 것 아닌가? 은혼식이니 금혼식이니 하는 것은 말만 들었지 나와 아내 사이에는 결혼 몇 주년이니 하는 가족적 행사는 아예 없었다.


그 이유는 간단하다 언제나 결혼식이니까. 듣는 바에 의하면 부부 사이가 별로 좋지 않는 부부간에 생일이니 결혼기념일이니 해서 외식도 하고 선물도 주는 모양인데 우리는 긴 세월 같이 살아도 그런 것이 없이 잘도 살아오고 있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


사느라고 바빠서 못 챙겼다는 것도 이유는 될지 모르나 그것 보다는 언제나 청춘만세 결혼축제 신혼 생활(?)같이 살아가는데 굳이 뭘(?)하는 삶의 현장 때문이다. 그게 가능하냐 라고 혹 질문하는 사람들이 있긴 한 되 나는 되묻는다. “당신에겐 그게 불가하더냐?”라고. 대답은 피하고 있었다.


지금 내가 한 우리 부부의 삶이 참인가는 것을 굳이 남에게 증거 해 보일 것은 없고, 단지 나와 아내가 어느 날 그것이 사실이라는 것을 우리 두 사람만 알 수 있도록 증명된 사건이랄까 뭐 그런 것이 있었다.

아내는 자기 일로 시내로 먼저 나갔고 나는 나대로 집에 있다가 마침 시내에 있는 딸네 집으로 점심초대를 받고 있었다.


내가 탄 버스가 앞으로 진행하고 있는데 저 멀리 까물까물하게 보이는 버스 정류소가 있었다. 이미 이곳 정류소에서 차가 발진할 때 어머, 저기 아내 같은 여자가 서 있네하고 내 눈을 의심했다. 물론 우리는 딸네 집에서 만나기로 했었지 중도에서 만난다는 약속은 없었다. 차가 점점 앞에 있고 정류장으로 가까이 갈수록 그 여인은 나의 아내로 보여 졌고 마침내 정류장에 도착했을 때 그녀는 나의 아내였다.


이 넓은 서울 땅에서 약속도 없이 아내를 만난다는 것은 수학 확률 상 거의 불가능한 일이 아닌가? 그런대로 그 확률이 맞았다. 분명 그것은 아내였다. 차가 멈췄다. 아내는 허둥지중 사람들 사이에 끼여서 승차하고 있었다. 나는 그때 마침 앞좌석 맨 앞에 앉아 있었다. 아내는 나를 보지도 못한 채 승차에만 신경 쓰면서 승강기에 오르는데 나는 아내의 손을 덥석 잡았다.


아내는 승차카드 찍느라고 정신이 없었다. 나는 손을 꽉 잡고 여기 하면서 자리를 안내 했다. 아내는 그제서야 영감 남편인 줄 알고 좌정했었다. “여보, 누가 손을 꽉 잡으니 놀라지 않았소?” 라고 물으니, 아내의 대답인즉 잡는 순간에 당신의 따스함을 느꼈어요였으니 56년 살아온 부부이야기는 이런것이련가 싶다. ()는 그냥 일뿐이다. 그리스도와 친교하자고해서 행해지는 행사가 교회 안에 너무 많지 않은가?  



총회

더보기
114차 총회, KT·금융결제원과 손잡고 ‘스마트 목회 환경’ 구축
우리교단 114차 총회(총회장 이욥)는 지난 6월 19일 여의도총회빌딩에서 KT(대표 김영섭), 금융결제원(원장 박종석)과 함께 ‘스마트 목회 환경 구축을 위한 3자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디지털 기술과 신앙이 결합된 새로운 목회·선교 생태계 조성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번 협약의 핵심은 전국 3750개 침례교회와 산하 기관을 대상으로 △스마트헌금 키오스크 △침례교 전용 플랫폼 △스마트 카페 복합공간 등을 도입해 디지털 기반의 목회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는 단순한 편의성을 넘어서, MZ세대와의 소통, 기부 문화의 신뢰성 제고, 친환경 사회 공헌 확대 등 다방면에서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협약에 따라 각 기관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맡는다. 총회는 교회 및 기관의 스마트 인프라 도입을 위한 행정 지원과 참여 기반을 조성하고, KT는 통신 및 디지털 전환(DX) 기술을 바탕으로 플랫폼 개발과 키오스크 설치, 유지보수를 책임진다. 금융결제원은 결제서비스 및 기부 시스템 연동 등 금융 인프라를 제공해, 신도들이 손쉽게 스마트 환경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날 협약식에서 이욥 총회장은 “이번 협약은 복음 전파 방식의 혁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