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로뎀나무 아래서1>후회하는 시간이 아깝습니다


결혼을 앞둔 신부들이 결혼 전 날까지 끊임없이 스스로에게 묻는 질문이 나 지금 이 결혼을 해도 되는 걸까?’ ‘정말 후회하지 않을 수 있을까?’라는 것은 이제는 비밀도 아닙니다. 그런데 이런 류의 질문은 결혼 전의 신부들만 하는 것이라고 단정 지을 수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상황만 다르지 우리는 어떤 선택의 기로에 섰을 때 이런 질문들을 수도 없이 스스로에게 던지기 때문입니다.


교회 임직식을 준비할 때 전날까지 담임목사가 상담하는 내용 중에는 제가 이 직분을 정말 받아도 될까요?”라든지, “저는 합당한 사람이 아닌 것 같은데요?” 같은 내용이 적지 않습니다. 그런데 가만히 생각해 보니까 저 역시 목사안수를 받을 때 이 질문을 저에게 했던 것 같습니다.


정말 내가 목사가 되도 될까?’ ‘내가 정말 이 직분을 감당할 수 있을까?’ 이런 것이었습니다. 김남준 목사님의 저서 제목 중에 자네 정말 그 길을 가려나?” 라는 것이 있는데 그게 꼭 저에게 하는 질문 같았습니다.


그런데 그 번민의 밤을 지나 정신없이 목사가 된 후에는 더 큰 문제가 있었습니다. 목사로 준비되어 있지 않은 자신을 하나씩 더 확실하게 발견하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전도사 때는 멋모르게 해대던 설교가 점점 만만치 않아지고, 학교에서 배운 건 현장에서는 무용지물에 가까웠습니다.


그렇게 소중해 했던 내 이상과 비전은 눈앞에 펼쳐지는 상황과 상상을 뛰어넘는 성도들의 필요 앞에서 현실이 되어지지 못했습니다. 다들 그렇게 시작하는지는 모르겠지만 저는 그랬습니다. 당연히 미래가 그렇게 밝아 보이거나 기대되지도 않았습니다. 청소년기를 괴롭혔던 우울증이 다시 제 안에 부흥의 전기를 맞을 뻔 했습니다.


역시 잘못된 선택이었던 것 같다.’ ‘나는 정말 되는 게 없는 놈이야. 내가 무슨 목회를 한다고.’ 그러던 어느 날 제가 발견하게 되었던 것은 그 부족한 종에게서 시선과 관심을 놓지 않으시는 우리 주님과 그런 목회자를 기다려주고 있는 성도들이었습니다.


내 가족들이야 어쨌든 날 응원하고 기도해주고 관심을 가져준다고 하더라도, 사실 번민에 싸여 성장통을 앓고 있는 목회자를 기다려주는 성도들은 하나님께서 주신 고귀한 선물이 아닐 수 없었습니다. 그러고도 갑작스럽고 기적적인 성장이나 변화는 없었습니다. 단지 어제 보다는 오늘이 조금 나아지고, 한 달 전 보다는 이번 달이 좀 낫고, 일 년 전보다는 올해를 훨씬 잘 선방했고 이런 일이 이십여 년이 지나게 됐습니다.


지금에 와서 생각해 봅니다. ‘그렇게 고민하고 후회하던 시간에 오히려 더 노력하고 확신을 가지고 달려갔다면 더 멀리, 더 많이 갔을텐데라고 말입니다. 신부들이 결혼 선택을 번민하던 시간에, ‘어떻게 이 신혼을 아름답게, 이 결혼을 행복하게 영위할까?’를 고민했다면, 임직 예정자들이 임직의 부담감에 휘청거릴 시간에 오히려 이 직분을 통해 어떻게 하나님께 영광을 돌릴까?’를 고민했다면, 아마 더 행복한 결혼식의 신부와 탁월한 임직자가 되었을 것입니다.


누군가 시간을 그 사람의 연령대에 비례하여 지나간다 했습니다. 10대는 10km, 20대는 20km, 30대는 30km로 그 지나가는 시간의 속도를 느낀다고 합니다. 그러니 5,60대는 시간이 없습니다. 그래서 아무 유익이 없는 후회하는 시간이 너무 아깝습니다. 에베소서 5:16절은 세월을 아끼라했습니다. 이제 새롭게 맞은 2015년은 염려와 후회보다는 기대와 확신으로 시간을 아낄 줄 아는 우리 모두가 되기를 주님의 이름으로 축원합니다.

 

배동훈 목사

육본교회 신우담당 사역 



총회

더보기
114차 총회, KT·금융결제원과 손잡고 ‘스마트 목회 환경’ 구축
우리교단 114차 총회(총회장 이욥)는 지난 6월 19일 여의도총회빌딩에서 KT(대표 김영섭), 금융결제원(원장 박종석)과 함께 ‘스마트 목회 환경 구축을 위한 3자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디지털 기술과 신앙이 결합된 새로운 목회·선교 생태계 조성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번 협약의 핵심은 전국 3750개 침례교회와 산하 기관을 대상으로 △스마트헌금 키오스크 △침례교 전용 플랫폼 △스마트 카페 복합공간 등을 도입해 디지털 기반의 목회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는 단순한 편의성을 넘어서, MZ세대와의 소통, 기부 문화의 신뢰성 제고, 친환경 사회 공헌 확대 등 다방면에서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협약에 따라 각 기관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맡는다. 총회는 교회 및 기관의 스마트 인프라 도입을 위한 행정 지원과 참여 기반을 조성하고, KT는 통신 및 디지털 전환(DX) 기술을 바탕으로 플랫폼 개발과 키오스크 설치, 유지보수를 책임진다. 금융결제원은 결제서비스 및 기부 시스템 연동 등 금융 인프라를 제공해, 신도들이 손쉽게 스마트 환경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날 협약식에서 이욥 총회장은 “이번 협약은 복음 전파 방식의 혁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