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하늘 붓 가는데로”-29

혼(魂)의 가수 밥 말리(Bob Marley, 1945-1981)


가수 밥 말리의 조국은 자메이카다. 그 나라는 어떤 나라였던가? 언론보도에 의하면 대강 다음과 같은 나라였다. 자메이카는 북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 사이, 카리브해 북구에 있는 나라다. 16세기부터 스페인과 영국의 식민 지배를 받은 아픈 역사를 가졌지요, 또한 1830년대에 서인도제도에서 흑인 노예제도가 폐지될 때까지 노예무역의 중심지가 되기도 했다.


1962년에야 영국 연방내의 독립국이 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오랫동안 스페인과 영국의 지배를 받은 탓으로 허약한 나라이며 세계 사람들의 이목을 받지 못한 나라였다. 그런데 이 나라가 우사인 볼트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사나이 때문에 유명해졌기도 하지만 이것 못지않게 온 세계 사람들의 정서에 다가 그 나라를 기억하게 만든 것은 레게(Reggae)음악을 퍼트린 가수 밥 말리가 있었기 때문이다.


밥 말리는 도대체 어떤 인물이었던가? 모 일간 신문에는 다음과 같이 밥 말리를 소개하고 있었다 :

밥 말리는 1945년 자메이카 수도인 킹스턴의 빈민가에서 백인 아버지와 흑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어요. 일찍 아버지를 여읜 말리는 가난하고 힘겨운 어린 시절을 보냈습니다. 음악을 좋아하고 노래를 잘 불렀던 그는 쓰레기통에서 찾은 잡동사니로 악기를 만들어 연주하곤 했어요. 집안 형편이 어려워 열다섯 살에 학교를 그만두고 거친 노동 현장에서 일하면서도 그는 음악을 통해 위안을 얻었다고 해요. 그러던 중 우연히 참가한 노래 대회에서 말리는 유명 가수이자 비평가였던 조 힉스의 눈에 띄게 됩니다. 그에게 음악가의 인생이 새로 펼쳐진 것이었다.


밥 말리는 레게음악을 전했다. 이것은 경쾌하고 흥겨운 리듬을 탄 자메이카의 민속음악에서 출발한 장르였다. 사람들은 레게를 가리켜 자메이카의 영혼이 담긴 음악이라고 했었다. 그의 레게음악은 스페인과 영국이 식민 지배를 받아온 자메이카 삶들의 슬픔이 녹아 있는 음악이었다.


밥 말리는 유행가를 불러 가볍게 돈 버는 길로 들어서지 않고, 조국 자메이카의 슬픔과 또 온 세상의 불평등과 피 흘리는 싸움을 그만두자는 레게음악을 불렀다. 그는 자유와 평등, 평화의 메시지를 담은 레게음악을 음악 했던 자였다. 그는 자메이카와 온 인류의 혼()을 담은 살아 있는 음악을 음악 했었다.


그는 이 세상에서 전쟁이나 불화가 사라지고 평화가 찾아와야 한다고 생각하고, 흑백인종, 빈부결투, 지도층의 권력다툼으로 피 흘리는 조국의 모습에 가슴아파했던 사람이었다. 작고 힘없는 조국 자메이카와 흑인의 아픔을 세상에 알린 밥 말리. 그를 통해 레게음악은 자유와 저항, 평등을 상징하는 음악으로 세계인의 가슴에 새겨졌다.


결국 그는 혼이 있는 가수로 살다가 떠났다. 혼이 없는 삶이 삶일까? 혼이 없는 정치 지도자, 혼이 없는 교회 지도자, 혼이 없는 그리스도인의 삶이 삶일까! 자메이카에는 혼의 가수 밥 말리가 있어서 행복하고 유명해졌다.

 

水流(수류) 권혁봉 



총회

더보기
114차 총회, KT·금융결제원과 손잡고 ‘스마트 목회 환경’ 구축
우리교단 114차 총회(총회장 이욥)는 지난 6월 19일 여의도총회빌딩에서 KT(대표 김영섭), 금융결제원(원장 박종석)과 함께 ‘스마트 목회 환경 구축을 위한 3자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디지털 기술과 신앙이 결합된 새로운 목회·선교 생태계 조성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번 협약의 핵심은 전국 3750개 침례교회와 산하 기관을 대상으로 △스마트헌금 키오스크 △침례교 전용 플랫폼 △스마트 카페 복합공간 등을 도입해 디지털 기반의 목회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는 단순한 편의성을 넘어서, MZ세대와의 소통, 기부 문화의 신뢰성 제고, 친환경 사회 공헌 확대 등 다방면에서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협약에 따라 각 기관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맡는다. 총회는 교회 및 기관의 스마트 인프라 도입을 위한 행정 지원과 참여 기반을 조성하고, KT는 통신 및 디지털 전환(DX) 기술을 바탕으로 플랫폼 개발과 키오스크 설치, 유지보수를 책임진다. 금융결제원은 결제서비스 및 기부 시스템 연동 등 금융 인프라를 제공해, 신도들이 손쉽게 스마트 환경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날 협약식에서 이욥 총회장은 “이번 협약은 복음 전파 방식의 혁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