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세상에 숨겨진 진실한 사랑을 찾아냅니다”

2015 제12회 서울국제사랑영화제, “생명, 빛, 아이들”이란 주제로 오는 4월 23일 개막


서울국제사랑영화제(Seoul International Agape Film Festival, SIAFF)가 작년과는 다르게 사랑영화제로서의 가치와 이름에 합당한 내실을 채우는데 주력한다는 뜻을 밝혔다.


지난 326일 필름포럼에서 기자회견을 가진 SIAFF의 배혜화 집행위원장과 임세은 프로그래머, 임성빈 조직위원장은 작년과는 다르게 규모에 중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주제에 맞게 내실을 갖춘 영화제로 만들 것을 강조했다.


배혜와 집행위원장은 이번 영화제는 생명, , 아이들이라는 주제에 걸맞게 아이들을 주인공으로 하는 영화가 주를 이룬다. 세상이 어렵다고 하지만 세상에 부유하는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희망을 이야기 하고자하며 살맛나는 세상을 만들려고 노력했다

그런데 우리 영화제는 적은 사람들이 숨가쁘게 뛰어다니면서 일을 하는데 힘들게 일을 해도 생각보다 밖에서 인정받는 것이 적지 않나 생각한다. 다들 이 영화제가 처음 시작했을 때 십년도 가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벌써 12년째다. 기독영화인들이 마땅히 갈 곳을 찾지 못해 처음 시작했던 것인 만큼 크리스천들이 기독교영화에 더욱 관심을 가지고 영화제에도 관심을 가져주길 바란다고 전했다


 이번 영화제의 홍보대사로 위촉받은 배우 김유리는 서울국제사랑영화제의 홍보대사가 된 만큼 영화제 기간 동안 계속해서 필름포럼을 방문하며 홍보대사로서의 역할에 충실히 할 예정이다. 또한 이번 영화제를 통해 하나님과 더욱 친밀해 지는 계기가 되길 소망한다고 말했다.


작년과는 다르게 53편의 영화를 상영하며 규모는 줄었지만 그만큼 탄탄해진 내용과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찾아올 서울국제 사랑영화제는 오는 423일 개막식을 시작으로 430일까지필름포럼에서 진행되며 개막작은 모두의 천사 가디(Ghadi Lebanon, Qatar2014|Director Amin Dora)로 국내에서는 처음 상영되는 레바논 영화이다.


개막식을 시작으로 영화제는 아가페 초이스(Agape Choice), 미션 초이스(Mission Choice), 스페셜(Special) 섹션으로 나눠 진행된다. 아가페 초이스(Agape Choice)는 진실한 사랑의 가치를 지닌 영화들을 소개하는 사랑영화제만의 고유 섹션으로 올해는 생명, , 아이들이라는 주제를 폭넓게 적용해 아이들과 생명의 문제들을 다룬 영화들로 구성했다.


미션 초이스(Mission Choice)는 사랑영화제의 정통섹션으로 기독교적 가치와 복음의 메시지를 담은 영화로 구성했으며 스페셜(Special) 섹션은 그 해의 주제를 더욱 특별하고 세부적으로 접근한 섹션으로 올해는 생명, , 아이들이라는 주제에서 아이들의 꿈과 미래를 만들어가는 공간을 중심으로 스페셜을 구성했다. 아이들이 주로 거주하는 공적, 사적 공간인 학교와 가정을 중심으로 일어나는 이야기를 담은 영화를 선정했다.



총회

더보기
“우중에도 우리의 기도는 멈추지 않는다”
세찬 비바람이 몰아치는 충남 강경 옥녀봉에서 찬송과 기도의 부르짖음이 울려 퍼졌다. 114차 총회(총회장 이욥 목사)는 지난 5월 10일 강경 옥녀봉 ㄱ자 복원교회에서 신사참배거부 교단기념일 감사예배를 드렸다. 이날 예배는 81년 전, 1944년 5월 10일 일제총독부 함흥재판소에서 신사참배를 거부한다는 이유로 교단이 폐쇄된 날을 기리고 믿음의 선진들의 뜻을 되새기는 행사로 진행했다. 1부 감사예배는 총회 교육부장 김성렬 목사(만남의)의 사회로 평신도부장 김태욱 목사(두란노)가 대표로 기도했다. 이어 전국여성선교연합회 글로리아합창단이 찬양하고 총회 여성부장 하숙현 권사(범일)가 성경을 봉독한 뒤, 이욥 총회장이 “하나님 말씀 순종에 목숨 건 사람들”(렘 38:5~6)이란 제목으로 설교했다. 이욥 총회장은 설교를 통해, “예레미야는 제사장의 아들이자 선지자로 무너지는 유다 왕국의 마지막을 보며 애통한 선지자였지만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해 백성들의 불순종과 왕국의 멸망을 예언하며 다시 하나님께로 돌아오라는 메시지를 선포했다”며 “우리 믿음의 선진들이 일제 강점기 신사참배를 거부하고 오직 하나님의 말씀을 지키면서 고난과 수난을 겪으며 오늘에 이르렀다는 사실에 교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