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하늘붓 가는데로-43 값 안치룬 가치는 없다

외국에서 뮤지컬 가수로 활동하던 자매가 여름휴가를 맞이하여 귀국해서 나의 집을 방문했었다. 그때 마침 모 모임장이 전화를 걸어왔다. 그 모임에서 설교를 해달라는 부탁인데 노목사에게는 영광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설교부탁을 수락한 후 이 뮤지컬 가수를 그 모임장도 알만한 것 같기에 나의 집에 방문해서 상담 중이라고 하니까, 주저하지 않고 그 가수를 그 모임에서 특송을 하도록 부탁을 해 달라는 요청이었다. 나는 순간 당황했다. 일언지하에 아니요라고 했었다.

왜 내가 당황했는가? 전문인이 하는 일에는 언제나 전문인다운 과정이 필요하다. 일주일 뒤에 있을 30여명 모시는 작은 모임에서 아무런 준비도 없이 노래한다는 자체가 어려운 일이 아닌가? 그리고 확신하기로 그 가수가 거기서 노래를 부르면 최소한의 예우는 어쩔 것 인가. 뻔한 일이다. 무료봉사다. 타고난 목청으로 늘 부르던 노래 한곡 빼면 될 걸 하는 생각이 순수하다(?)고 해야 할 것인가?

사람들은 남이 이룬 공적은 쉽게 사용하려하면서 그 공적을 이루기 위해 투자(?)한 내역에 대해서는 모른다.

서울지방에 모신학교를 시작한다면서 학장이란분이 나에게 강의를 부탁하면서 학교사정이 어려우니 무료강의를 부탁하기에 일언지하에 점잖게 사양했었다. 공적에 대한 대가를 상업적으로 받자는 것이 아니고 양편의 지녀야할 윤리의식 때문이라는 이유에서다.

나는 속으로 생각했다. 그런 학교의 그런 학장 할 바에는 아예 시발하지를 말라고. 성경도 말한다. 망대를 세우다가 중도에 그칠 예산이거든 안하는 것만 못하고. 대적을 물리치려거든 대적보다 더 큰 군사를 준비하라고 했던 것이다. “너희 중에 누가 망대를 세우고자 할찐대 자기의 가진 것이 준공하기까지에 족할는지 먼저 앉아 그 비용을 예산하지 아니하겠느냐 그렇게 아니하여 그 기초만 쌓고 능히 이루지 못하면 보는 자가 다 비웃어 가로되 이 사람이 역사를 시작하고 능히 이루지 못하였다 하리라 또 어느 임금이 다른 임금과 싸우러 갈 때에 먼저 앉아 일만으로서 저 이만을 가지고 오는 자를 대적할 수 있을까 헤아리지 아니하겠느냐 만일 못할 터이면 저가 아직 멀리 있을 동안에 사신을 보내어 화친을 청할찌니라”(14:28~32)

값없이 구원을 받았다그렇다. 우리가 값 치루지 않고 구원받았다. 그게 은혜다. 그러나 우리가 값 치루지 아니했을지언정 하나님은 대단한 값을 치루셨다. 죄인을 대신해서 십자가상에서 피로 값을 치루셨다. 혈가(血價)를 치루셨다. 온 세상에 값 안치룬 가치는 없다. 모든 가치는 치룬 값의 결과이다. 가격은 가치의 상업거래상의 척도일 뿐, 가치는 그냥 지니고 있는 값이다. 값없이 구원받은 것은 인간 우리 편의 입장이고 하나님 편의 입장은 아니다.

일하는 소에게 망을 씌우지 말라고 했었다.

성경에 일렀으되 곡식을 밟아 떠는 소의 입에 망을 씌우지 말라 하였고 또 일군이 그 삯을 받는 것이 마땅하다 하였느니라”(딤전5:18)

사람 사는 세상에 상부상조(相扶相助)하자고. 일시키는 사람은 당당히 노임을 주려하고 일하는 사람은 뭘요하는 자세만 갖춰있다면, 자본주의도 공산주의도 맥을 잃을 것이다. 그래서 교회공동체의 삶의 모습이 드러날 것이다.

水流(수류) 권혁봉



총회

더보기
114차 총회, KT·금융결제원과 손잡고 ‘스마트 목회 환경’ 구축
우리교단 114차 총회(총회장 이욥)는 지난 6월 19일 여의도총회빌딩에서 KT(대표 김영섭), 금융결제원(원장 박종석)과 함께 ‘스마트 목회 환경 구축을 위한 3자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디지털 기술과 신앙이 결합된 새로운 목회·선교 생태계 조성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번 협약의 핵심은 전국 3750개 침례교회와 산하 기관을 대상으로 △스마트헌금 키오스크 △침례교 전용 플랫폼 △스마트 카페 복합공간 등을 도입해 디지털 기반의 목회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는 단순한 편의성을 넘어서, MZ세대와의 소통, 기부 문화의 신뢰성 제고, 친환경 사회 공헌 확대 등 다방면에서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협약에 따라 각 기관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맡는다. 총회는 교회 및 기관의 스마트 인프라 도입을 위한 행정 지원과 참여 기반을 조성하고, KT는 통신 및 디지털 전환(DX) 기술을 바탕으로 플랫폼 개발과 키오스크 설치, 유지보수를 책임진다. 금융결제원은 결제서비스 및 기부 시스템 연동 등 금융 인프라를 제공해, 신도들이 손쉽게 스마트 환경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날 협약식에서 이욥 총회장은 “이번 협약은 복음 전파 방식의 혁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