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사과철학

‘도한호 목사의 목회와 상식’- 113

신학대학 예과에 입학해서 교양과목 위주의 수업을 받을 때 제일 재미있었던 과목은 김영철 교수의 경재원론(최호진 저)이었고 제일 어려웠던 강의는 서동순 교수의 철학개론(김진섭 저)이었다.

김영철 교수는 한 시간 내 꼼짝하지 않고 한 자리에 서서 높낮이가 없는 음성으로 강의해서 학생들이 지루해 했지만 나는 예습도 하면서 흥미롭게 수강했다. 거기에 비해 서 교수는 출퇴근길에 일어난 이야기도 하고 가끔은 유머도 하셨지만 교재로 채택한 철학개론이 너무 어려워서 강의에 흥미를 잃었다.


4월의 마지막 주간 철학개론 시간에, 선생님은 다음 주에는 소풍을 가게 되어서 강의를 못해 미안하다는 말씀을 하셨다. 나는 속으로 원 별 말씀을 다 하십니다하고 쾌재를 불렀다. 선생님은 흑판에 ‘Apple Philosophy’라고 쓰시고는 수강생 중에서 나이가 제일 많은 함용환(?)에게 한 번 읽어보라고 하셨다. 함용환은, 자기 말로, 미군부대에서 하우스보이를 한 일도 있었고 또 영어를 열심히 했기 때문에 애풀 필라소피라고 똑똑하게 읽었다. 선생님은 앞자리에 앉아 있는 내게, “도군, ‘애풀 필라소피가 무슨 뜻이지?” 하고 물으셨다. 나는, “애풀은 사과, 필로소피는 철학입니다.” 하고 대답했다. 선생님은, “도군, 철학이란 낱말풀이가 아니야. 철학이 단어 해석이라면 누구나 철학가가 되게? 그렇게 쉬운 것이라면 내가 왜 묻겠나?” 하시더니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하셨다.


여기 사과가 열 개씩 두 무더기가 있는데 두 사람이 각각 열 개씩을 먹었다고 가정 하세. 그런데 한 사람은 좋은 사과 열 개를 먹었고 다른 한 사람은 나쁜 사과만 열 개를 먹었어. 누가 말해 보게. 두 사람이 같은 사과를 열개씩 먹었는데 왜 이렇게 다른 결과가 나왔을까?”

그 때 별명이 철학자인 두현이가 대답했다.

교수님, 그건 말입니다. 처음 사람은 흠이 없고 맛있어 보이는 것부터 차례로 먹었고, 두 번째 사람은 좋은 것은 아껴두고 나쁜 것부터 골라서 열 개를 먹었기 때문입니다.”


맞았어. 정답이야. 그런데 철학은 정의(定義)가 내려진 사실이라도 단정하지 않고 양보적으로 표현하는 것일세. , ‘나쁜 것부터 골라서 열 개를 먹었기 때문입니다해서는 안 되고, ‘나쁜 것부터 열 개를 먹었기 때문일 것입니다해야 하는 거야. 알겠는가?”

요컨대 사과철학은 좋은 것 선한 것을 먼저 취하고 매사를 긍정하라는 교훈이 아니겠나. 행복이란 스스로 행복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만이 가질 수 있는 덕목이란 말이네.”

좋은 것은 동생 주려고 못생긴 것부터 먹었는데요. , 이런 말은 철학을 논하는 마당에서는 금기라네. 도덕에서 설파할 주제이지.”

나는 철학에 한 발 다가선 것 같았다.



총회

더보기
114차 총회, KT·금융결제원과 손잡고 ‘스마트 목회 환경’ 구축
우리교단 114차 총회(총회장 이욥)는 지난 6월 19일 여의도총회빌딩에서 KT(대표 김영섭), 금융결제원(원장 박종석)과 함께 ‘스마트 목회 환경 구축을 위한 3자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디지털 기술과 신앙이 결합된 새로운 목회·선교 생태계 조성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번 협약의 핵심은 전국 3750개 침례교회와 산하 기관을 대상으로 △스마트헌금 키오스크 △침례교 전용 플랫폼 △스마트 카페 복합공간 등을 도입해 디지털 기반의 목회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는 단순한 편의성을 넘어서, MZ세대와의 소통, 기부 문화의 신뢰성 제고, 친환경 사회 공헌 확대 등 다방면에서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협약에 따라 각 기관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맡는다. 총회는 교회 및 기관의 스마트 인프라 도입을 위한 행정 지원과 참여 기반을 조성하고, KT는 통신 및 디지털 전환(DX) 기술을 바탕으로 플랫폼 개발과 키오스크 설치, 유지보수를 책임진다. 금융결제원은 결제서비스 및 기부 시스템 연동 등 금융 인프라를 제공해, 신도들이 손쉽게 스마트 환경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날 협약식에서 이욥 총회장은 “이번 협약은 복음 전파 방식의 혁신